자격증/회계

원가모형 vs 재평가모형

키성열 2025. 4. 7. 02:00
반응형
반응형

✅ 원가모형 vs 재평가모형: 공정가치란 무엇이며, 회계에서 어떻게 다른가?


1. 공정가치란?

📌 정의:

공정가치(Fair Value)는 “시장 참여자들 간에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할 수 있는 가격”을 말합니다. 즉, 거래가 자유로운 시장에서 자산이 얼마에 사고팔릴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합니다.

💡 쉽게 말하면:

  • **“지금 이걸 팔면 얼마에 팔릴까?”**가 공정가치입니다.
  • 반대로, 취득원가는 “이걸 예전에 샀을 때 얼마였나?”를 뜻하죠.

✅ 회계기준(K-IFRS 1113호)에서는 공정가치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질서 있는 거래에서 시장 참여자 사이에 자산이 매도되거나 부채가 이전될 수 있는 가격(시장 기반의 측정치)”

🧭 예시:

  • 회사가 보유한 건물의 취득원가는 1억 원이지만,
  •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 동일 조건 건물을 팔면 1.5억 원 받을 수 있다면,
    → 이 건물의 공정가치 = 1.5억 원

2. 왜 공정가치와 원가가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는가?

🔧 회계는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합니다:

평가방식 기준 공정가치 사용 여부

원가모형 과거 가격 (취득 당시 가격) ❌ 사용하지 않음
재평가모형 현재 가격 (공정가치) ✅ 적극 사용

3. 원가모형 (Cost Model)

💡 철학:

“이 자산은 살 때 얼마 줬는지가 확실하니까, 그걸 기준으로 감가상각하자.”


📌 실제 사례:

상황:

  • 회사가 2020년 1월 1일에 건물을 1억 원에 구입함
  • 내용연수는 10년, 잔존가치 없음
  • 정액법으로 감가상각
  • 회계정책: 원가모형 적용

💬 매년 감가상각 계산:

감가상각비=1억10년=1,000만원/년\text{감가상각비} = \frac{1억}{10년} = 1,000만 원/년


📒 분개 예시 (2021년 12월 31일):

[차변] 감가상각비      10,000,000
   [대변] 감가상각누계액  10,000,000
  • 감가상각비: 손익계산서에 비용으로 반영
  • 감가상각누계액: 자산가치 차감 계정 (재무상태표에서 자산 마이너스 처리)

📌 결과:

  • 장부가액(2021년 말) = 1억 - 2년 감가상각 = 8,000만 원
  • 실제 건물 공정가치가 1.5억 원이 되어도, 회계장부에는 8,000만 원으로 계속 인식됨

4. 재평가모형 (Revaluation Model)

💡 철학:

“자산은 지금 얼마짜리인지가 더 중요하니까, 공정가치 기준으로 조정하자.”


📌 실제 사례:

상황:

  • 동일하게 2020년 1월 1일에 건물을 1억 원에 구입함
  • 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없음, 정액법
  • 회계정책: 재평가모형 적용
  • 2022년 말, 공정가치가 1억 5천만 원으로 상승

📒 Step 1: 감가상각비 먼저 반영

  • 2020년, 2021년 감가상각 총 2,000만 원
[차변] 감가상각비      10,000,000
   [대변] 감가상각누계액  10,000,000

(2021년 말 누적 감가상각: 2,000만 원 → 장부가: 8,000만 원)


📒 Step 2: 2022년 재평가 실시

  • 공정가치: 1.5억
  • 기존 장부가: 8,000만 원
  • 차액: 7,000만 원

이 재평가차액은 자산의 증가로 인식하되, 당기손익이 아니라 기타포괄손익(OCI)에 반영합니다.

[차변] 건물            70,000,000
   [대변] 재평가잉여금     70,000,000

→ ‘재평가잉여금’은 자본 항목에 들어가며, 순이익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결과:

  • 재무상태표에 건물은 1억 5천만 원으로 표시
  • 자본에는 재평가잉여금이 7천만 원 추가됨
  • 투자자는 “이 회사가 실제 1.5억짜리 자산을 갖고 있구나”라고 이해함

5. 요약: 분개 중심으로 본 회계 차이

항목 원가모형 재평가모형

감가상각 분개 감가상각비 / 감가상각누계액 동일
공정가치 상승 시 반영하지 않음 건물 / 재평가잉여금으로 분개
공정가치 하락 시 감액사유 발생 시 손상차손 인식 재평가잉여금 차감 or 손상차손 (손익 계정)
장부가액 기준 취득가액 – 감가상각누계액 – 손상차손 공정가치 – 재평가 이후 감가상각
순이익에 미치는 영향 감가상각비만 매년 비용 처리 감가상각비 외에도 하락 시 손실 가능, 상승 시 손익 영향 없음
재무제표 반영 보수적, 안정적 현실 반영, 가치 변동성 높음

📌 정리

  • 공정가치는 “지금 팔면 얼마냐”를 반영하는 시장 중심 가치이고,
  • 원가모형은 회계적 보수주의, 재평가모형은 재무정보의 현실 반영성에 기반합니다.
  • 각 모형은 회계처리, 분개, 손익 반영 방식이 명확히 다르며, 기업의 목적, 투자자 정보 제공 목적에 따라 선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