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회계
표준원가계산(Standard Costing)
키성열
2025. 4. 7. 11:52
반응형
✅ 표준원가계산(Standard Costing)이란?
📌 표준원가계산의 정의
표준원가계산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 때 필요한 재료비, 노무비, 제조간접비 등을
**사전에 정한 기준 원가(표준원가)**로 계산하고,
실제로 발생한 원가와 비교하여 **차이(Variance)**를 분석하는 원가관리 기법입니다.
실제 원가가 아닌,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계산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 원가 통제, 성과평가에 매우 유용한 방식입니다.
✅ 왜 표준원가계산을 사용하는가?
- 생산 활동에서 실제 원가는 매번 다르게 발생합니다.
- 이를 하나하나 추적하기는 비효율적이므로,
- **합리적인 기준을 사전에 설정(표준원가)**하고
- 실제 원가와 비교하여 차이 분석을 통해
- 비효율을 찾아내고 개선하기 위함입니다.
✅ 표준원가의 구성요소
원가 항목 계산 방식
직접재료비 | 표준수량 × 표준단가 |
직접노무비 | 표준시간 × 표준임률 |
제조간접비 | 표준시간 × 배부기준(기계시간 등) |
✅ 차이분석 (Variance Analysis)
표준원가계산의 핵심은 실제원가와 표준원가 간 차이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 차이를 "원가차이(Variance)"라고 부릅니다.
차이 종류 분석 항목
직접재료 차이 | 가격차이, 수량차이 |
직접노무 차이 | 임률차이, 시간차이 |
제조간접비 차이 | 예산차이, 능률차이 등 |
✅ 예시
- 표준재료: 제품 1개당 2kg 필요
- 표준단가: 1,000원
- 실제 생산량: 1,000개
- 실제 사용량: 2,100kg
- 실제 단가: 1,100원
① 표준재료비
→ 2kg × 1,000개 = 2,000kg
→ 2,000kg × 1,000원 = 2,000,000원
② 실제재료비
→ 2,100kg × 1,100원 = 2,310,000원
③ 총차이
→ 2,310,000원 - 2,000,000원 = 310,000원 불리한 차이
✅ 표준원가계산의 장단점
장점 단점
원가 통제가 용이하다 | 표준이 현실과 다르면 왜곡 발생 가능 |
예산편성과 성과평가에 유용하다 | 표준 설정과 유지에 비용이 든다 |
차이 분석을 통해 비효율을 파악 | 복잡한 공정에서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음 |
✅ 표준원가 vs 실제원가 비교
구분 표준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원가 기준 | 사전에 정한 표준 | 실제로 발생한 금액 |
관리와 통제 | 차이 분석 가능 | 분석 어려움 |
복잡성 | 설정은 복잡, 활용은 효율적 | 단순하지만 통제는 어렵다 |
적용 환경 | 대량 생산, 표준화된 공정 | 맞춤 생산, 비정형 공정 |
✅ 정리
표준원가계산은 단순히 원가를 미리 정해놓는 것이 아니라,
경영 성과 측정, 비용 통제, 의사결정에 필수적인 원가관리 기법입니다.
특히 제조업에서 단위당 원가 비교, 예산 계획, 부서 성과 평가 등에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