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rrace 무오류 변별 학습 (Errorless Discrimination Learning)기존 학습의 문제점🎯 자극을 ‘구별’하는 학습, 정말 그렇게 단순할까?동물이나 사람에게 “두 가지 자극을 구분하라”고 할 때,심리학에서는 이걸 ‘변별 학습(discrimination learning)’이라고 부릅니다.예를 들어, 비둘기에게 빨간 불이 켜지면 → 쪼면 먹이를 주고(S⁺), 초록 불이 켜지면 → 아무 보상도 주지 않습니다(S⁻).이론상으로는 간단하죠. 시간이 지나면 비둘기는 빨간 불에만 반응하게 될 것입니다.하지만 실제로는 이 학습이 생각보다 오류가 많고, 오래 걸리고, 스트레스도 유발합니다.❗ 1. 오류가 지나치게 많다처음에는 빨간 불과 초록 불의 차이를 모릅니다.그래서 초록 불(S⁻)..

🧠 스펜스(Spence)의 흥분·억제 기울기 이론– 정점 이동은 자극 간 관계 학습이 아닌, 반응 경향의 수치적 결과다🎯 정점 이동이란?📌 정의정점 이동(peak shift)이란,변별 학습 이후, 보상을 받은 자극(S+)보다다른 자극에서 더 강한 반응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S+: 반응 시 보상이 주어지는 자극 S−: 반응 시 보상이 주어지지 않는 자극→ 반응의 최고점(peak)이 S+에서 벗어나 이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실험 설계와 가상 수치 예시🧪 1. 통제 조건 (S+만 제시) 자극 파장 (nm) 520 530 540 550 (S+) 560 반응 빈도 10 30 60 80 (peak) 40 📌 가상의 데..
🎓 조작적 조건화 vs 고전적 조건화: 실험과 예시를 통한 개념 이해🧠 두 조건화의 차이점 먼저 설명하기사람이나 동물이 어떤 행동을 학습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 어떤 자극(예: 종소리)이 자동적인 반응(예: 침 분비)을 유도하게 되는 방식 → 자극이 먼저 오고, 반응은 수동적으로 따라오는 구조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 →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 결과(보상이나 벌)에 따라 행동의 빈도가 바뀌는 방식 → 내가 먼저 행동하고, 그 결과가 행동을 결정하는 구조 ✅ 1. 습득 (Acquisition)행동이나 반응이 처음 학습되는 과정🔹 고전적 조건화 대표 실험: 파블로프의 개 실험 ..
- Total
- Today
- Yesterday
- 윤성우
- 티스토리챌린지
- 열혈프로그래밍
- 유통관리사
- 보세사
- C
- K-MOOC
- 류근관
- 인지부조화
- 학습심리학
- 회계
- 행동심리학
- 데이터분석
- 오블완
- 조건형성
- 행동주의
- 통계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학습이론
- c++
- 강화학습
- 심리학
- 코딩테스트
- 파이썬
- 통계
- Python
- 물류관리사
- 일문따
- 정보처리기사
- 백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