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좋은 추정량이 필요한가?— 추정량을 평가하기 위한 세 가지 기준의 출발점우리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통해 어떤 ‘숫자’를 계산합니다. 평균, 표준편차, 비율, 회귀계수… 하지만 그런 숫자들, 즉 ‘추정값’이 얼마나 믿을 만한지에 대해선 놀랍도록 많은 사람들이 무관심합니다.예를 들어 어떤 약을 100명에게 줬더니 65명이 나았다고 해봅시다. 이때 "치유율은 65%"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이건 단지 100명 중 65명이 나았다는 사실일 뿐입니다. 우리가 정말 알고 싶은 건 “전체 인구에서 이 약의 진짜 효과는 몇 퍼센트일까?” 입니다. 그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100명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요약하고, 그걸로 진짜 값을 ‘추정’하는 것, 이게 통계의 핵심입니다.그런데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이 생..
📊 통계학은 단지 숫자 계산이 아니다: Specification 문제란 무엇인가?🎯 1. 문제의식: 왜 통계학을 다시 정의해야 하는가?많은 사람들은 통계를 단지 "숫자를 요약하는 기술" 정도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R. A. Fisher는 그렇게 보지 않았습니다. 그는 통계학이 본질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측정하고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 과학이라 주장했습니다.Fisher는 당시 통계학이 계산은 발전했지만 개념은 혼란스럽다고 보았습니다. 예컨대, 평균과 분산이라는 용어가 명확한 수학적 기반 없이 혼용되고, 모집단의 개념도 불명확하게 사용되는 현실을 비판했습니다.그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계학의 문제를 다음 세 가지로 나누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Specification 문제Estimation 문제D..
📘 통계학의 기초를 다시 묻다R. A. Fisher의 1922년 선언: "통계는 과학이 될 수 있는가?"1️⃣ 통계학은 왜 ‘이론 없이’ 성장했는가?1922년, Fisher는 통계학계에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실용적인 기법은 쏟아지지만, 그 기초 원리는 여전히 혼란스럽다. 우리는 평균을 계산하지만, 평균이 무엇인지 정의할 수 있는가?" Fisher는 당시 통계학이 실제 문제 해결에는 유용했지만, 그 핵심 개념들(예: 평균, 표준편차, 확률 등)이 일관성 없이 혼용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합니다.2️⃣ 통계학의 진짜 목적은 무엇인가?Fisher는 통계학의 목적을 다음처럼 간단명료하게 정의합니다: "데이터를 요약하고 본질적인 정보만 남기는 것. 즉, 데이터 축약(reduction of data)이다." 하지..
📄 주의와 수행 연구: 자동성의 신화를 넘어서1회 – 우리가 믿어온 주의와 수행에 관한 착각1. 왜 우리는 '주의'와 '수행'을 연구하게 되었을까?우리가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는 단어들 중 하나가 **‘주의’**입니다."집중해!", "신경 써!"라는 말은 누구나 들어봤을 겁니다.그런데 생각해 보면, 우리는 정말 언제 어떻게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걸까요?그리고 그 주의가 우리의 행동 수행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이 질문은 단순한 심리학적 호기심에서 나온 것이 아닙니다.사실 이 질문은 목숨이 걸린 상황에서 시작되었습니다.1940년대, 제2차 세계대전.당시 군대에서는 레이더 관제사와 비행기 조종사들이 다양한 경고음과 신호 속에서정확히 필요한 정보만 골라내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도록訓練해야 했습니다.인간의 ..
📝 공부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25가지 심리학 원리실제 적용 방법까지 정리📌 왜 학습 원리를 알아야 할까?많은 학생들이"공부 방법"을 묻습니다.하지만 정작 공부 방법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결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Winne와 Nesbit (2010)**은수십 년간의 학습 연구를 바탕으로학습 효과를 높이는 25가지 원리를 정리했습니다. 🎯 학습 효과를 높이는 25가지 원리와 구체적 실천 방법번호 원칙명 내용 실천 방법번호 원칙명 내용 실천 방법 1Contiguity effects관련된 정보는 가까이 제시할수록 학습 효과가 높다노트 필기할 때 글과 그림, 표를 최대한 가까이 정리하기2Perceptual-motor grounding지각·행동 경험과 연결하면 학습 효과가 높다개념을 배울 때 ..
🎓 왜 어떤 학생은 공부를 잘할까?학업 성취 심리학의 출발점📌 공부 잘하는 사람들에게는 공통점이 있을까?학교에 다닐 때나 어른이 되어서도 우리는 종종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왜 저 친구는 항상 성적이 좋을까?""나는 노력하는데 왜 점수가 안 오르지?""공부 잘하는 사람은 도대체 뭐가 다를까?"누구는 머리가 좋아서 그렇다 하고,누구는 부모님이 똑똑해서 그렇다 하고,누구는 타고난 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하지만 교육 심리학자들은 이렇게 단순하게 설명하지 않습니다.캐나다 Simon Fraser University의 Philip H. Winne와 John C. Nesbit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그렇게 쉽게 단정 지을 수 있을까?혹시, 우리가 놓치고 있는 심리학적 원리가 있는 건 아닐까?"그리고 그들은 수십..
🔍 기억에도 법칙이 있을까? — 기억 연구 120년이 남긴 불편한 진실 1️⃣ 기억의 법칙은 정말 존재할까?우리는 흔히 다음과 같은 말을 믿고 살아갑니다."공부는 반복하면 외워진다.""깊이 이해해야 오래 기억된다.""시험은 많이 풀어봐야 실력이 느는 법이다."이런 문장들은 사실상 **'기억의 법칙'**처럼 통용되고 있습니다. 심리학자들도 과거에는 이런 믿음을 과학적 법칙으로 정식화하려고 했습니다.2️⃣ 기억 법칙을 만들고 싶었던 심리학자들초기 심리학자들은 물리학이나 천문학처럼, 인간 행동에도 단순하고 보편적인 법칙이 있을 것이라 믿었습니다. 그리고 특히 기억이라는 주제는 수학처럼 '재현 가능한 법칙'을 찾기에 적합하다고 여겼죠.대표적인 시도들:학자 주장한 법칙Ebbinghaus (1885)망각 곡선 (..
📌 1장. 뇌과학에서 해결되지 않은 질문들🧠 우리는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완벽히 알고 있을까?우리는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말 알고 있을까? 현대 뇌과학은 신경세포(뉴런)의 작동 방식과 뇌의 신경망 연결 구조를 상당히 잘 이해하고 있다.또한, 신경과학(Neuroscience), 인공지능(AI), 인지심리학, 신경경제학 등의 연구 분야가 발전하면서뇌가 학습하고, 기억을 저장하며, 행동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풀리지 않은 중요한 질문들이 남아 있다. 🔎 뇌과학에서 해결되지 않은 5가지 핵심 질문✅ 1. 뇌는 왜 예측을 하는가?우리는 눈앞에 있는 정보를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예측을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친구가 문을 열고..
- Total
- Today
- Yesterday
- 강화학습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c++
- 인프런
- 보세사
- C
- 코딩테스트
- 백준
- 파이썬
- 인지부조화
- 통계학
- stl
- K-MOOC
- 데이터분석
- 류근관
- 열혈프로그래밍
- 여인권
- 정보처리기사
- 일본어
- 뇌와행동의기초
- 일문따
- 윤성우
- 통계
- 회계
- Python
- 사회심리학
- 심리학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C/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