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드림 수료를 통해 6개월 구독권을 선물 받았다데이터 사이언스(AI) 분야의 강의를 둘러보았는데 참으로 처참하다. 우선 패캠 강의를 여러개 보고 깨달은 점이 있다.1) 초격차 강의 앞에 초격차라는 글자를 붙인 강의들은 대부분 짬뽕 강의이다. 즉 여러 강의들을 모아서 하나로 묶어서 판매하는 강의인데 이게 정말 괘씸하긴하다. 딥러닝 초격차에서 볼 수 있는 강의는 컴퓨터 비전 초격차에서도 볼 수 있다. 하나의 강의를 여러 군데 재활용을 한다. 또 다른 괘씸한 점은 각 파트마다 다른 강사가 주도하여 강의를 하는데 강사마다 강의의 질의 차이가 현저하다. 대부분 강의 질이 좋지않기 때문에 그나마 평준화가 되어있지만 한 명은 잘하고 4명은 못하는 식의 구성도 꽤 있다. 2) 라이브 코딩이 없다 대부분 코드 구현에 ..
1. 강의 개요강의명: 평생 무료로 써먹는 나만의 ChatGPT 영어 선생님플랫폼/제공 기관: 패스트캠퍼스강의자: 2명인데 누군지 모름강의 주제 및 대상:영어 입문자2. 수강 계기이 강의를 선택한 이유이어드림에서 무료 6개월 구독권을 받았는데, 상단에 위치하여 수강하게 되었다. 또 영어를 잘하면 좋으니까?기존 지식 및 강의와의 연관성선행지식이나 이런 건 필요없다3. 강의 내용 및 구성주요 주제 및 다루는 내용강의 방식녹화 영상분량 및 학습 시간30분4. 강의의 장점유익했던 점없는듯실질적으로 배운 점그냥 보통 인터넷에 떠도는 일반 말을 길게 써놓았다.5. 강의의 단점 및 개선점아쉬웠던 부분강의자가 쓸데 없는 말을 많이한다. 영어를 즐겨라 혹은 내적 동기를 키워라 이런 쓸데 없는 말을 강의 분량에서 엄청 차..
패스트캠퍼스 딥러닝 유치원 강의를 보았다. https://fastcampus.co.kr/pages/29297 처음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유치원 Online. | 패스트캠퍼스한 번 결제로 평생소장 | '딥러닝'을 처음 시작하는 딥린이를 위한 맞춤 강의! 딥러닝 개념 + 수식 + 코딩 실습까지 딥러닝 정복에 필요한 3박자를 골고루 채워드립니다. 딥러닝 분야 베스트셀러fastcampus.co.kr 위는 해당 강의의 링크 결론부터 말하자면, 평점: 1.0/ 5.0별점:★☆ ☆ ☆ ☆ 이정도라 하겠다. 즉, 솔직히 돈 내고 보려면 안 사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강의를 들었던 이유는 이어드림스쿨을 하는 중에 VOD를 받았다.VOD를 같이 병행하면 좋다길래 들었는데, 이 강의의 좋은 점이 있지 않았다. 강의에서..

## 총평- **만족도** ★★★★★ - 이어드림에서 강의를 한 20개 주는데, 거기서 왠만한 건 다 이걸 돈 주고 산다고 할 정도였는데, 이 강의는 거의 유일하게 괜찮은 강의였다. 나중에 돈 아까운 강의들도 리뷰를 하겠다. - **추천 여부**: OpenCV 중에 꽤 쉽게 설명한다. 이 강사가 낸 책 중에 C++로 된 책도 있는데 내용은 비슷하고 C++로 하는 것 같다. 아마 C++이 근본이기에 나중에 한 번 봐야겠다. ## 강의 제목 ##- 강의명: OpenCV를 활용한 컴퓨터비전과 딥러닝- 강의 플랫폼: 패스트캠퍼스- 강사: 황선규## 강의 개요- **강의 내용 요약**: OpenCV의 기초 사용법, 함수 등을 예제와 함꼐 알려준다. 또한 영상 관련 기초적인 지식도 알려주기 때문에 듣기 편하다. ..

Decision Tree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란?:질문과 조건을 통해 데이터를 분류하고 예측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마치 나무가 가지를 뻗어나가듯 결정을 이끌어냅니다. 위와 같은 도형들이 있다. 위의 도형을 분류한다고 해보자.어떻게 해야할까? 우리는 처음에 물어볼 수 있다. Q. 이 도형은 동그라미니?그렇다면 동그라미인 것 4개와 동그라미가 아닌 4개로 분류된다. Q. 이 도형은 삼각형이니?그렇다면 삼각형인 것과 삼각형이 아닌 것(동그라미와 네모)로 분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질문을 하면서 분류를 해나가는 것이 의사결정나무이다.왜 나무냐면 이를 나무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분류하는 것이 잘 분류한 것일까?-> 엔트로피를 사용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식을..
Chapter 1. 강화학습이란 무엇인가?강화학습은 학습 주체가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은?-> 학습주체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로 자신의 행동을 바꿔나가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테니스를 친다고 하면, 처음엔 어정쩡한 자세를 테니스 라켓을 휘두를 것이다.그러면 공도 이상한 곳으로 가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이 결과를 보고 자신의 행동을 수정해 더 나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팔의 각도를 바꾸든가 타이밍을 바꾸든가 등 여러 가지 행동을 하면 결과는 바뀔 것이고 여러번 수행한다면 이전보다 나은 결과로 이끌 것이다. Chapter 2. 강화학습의 특징보상(reward)란 결과의 좋고 나쁨을 뜻한다.위의 예시에서 보면, 공이 제대로 날라가는지가 결과라고 할 수 있다.결국 보상이 최대화..
오늘은 진로 특강이 있는 날이다. 오늘 배운(?) 내용을 정리하자면 1) 학습블로그를 꾸준히 작성해라. 2) 진로특강 내용 두 가지이다. 1)번은 그냥 말 그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2)번에서 들은 내용을 정리하자면 취업에 있어서 1. 고졸은 쉽지 않다. 다른 직무에 비헤 소수이기 때문에 증명을 많이헤야 한다. 2. 수학 공부를 하는 것이 수학적 사고를 기를 수 있기에 하는 것이 좋다. 단순히 그냥 업무에 쓰이는 내용만 공부할 것이라면 그냥 그게 무엇인지 아는 정도면 충분하다. 선형대수, 미적분, 해석학이 중요하고 첫 시작은 선형대수가 좋다(강의의 커리를 따르는 것이 좋다고 한다). 3. 직무기술서를 잘 참고하여 정리한디. 그를 비탕으로 어떤 스킬이 필요할지를 지금부터 준비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보세사
- c++
- 열혈프로그래밍
- 티스토리챌린지
- 윤성우
- stl
- 통계
- 여인권
- 사회심리학
- K-MOOC
- 류근관
- 뇌와행동의기초
- jlpt
- 인프런
- 강화학습
- 회계
- C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C/C++
- Python
- 인지부조화
- 일본어
- 백준
- 데이터분석
- 오블완
- 코딩테스트
- 심리학
- 파이썬
- 일문따
- 통계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