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저자가 나름 유명한 심리학자 같다. 인용수도 많고, 윌리엄제임스 상도 받았다고 한다. 내용이 다른 사회심리학 책에 비해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딱히 뭐 단점이라고 할 것이 없어서, 사회심리학 개론을 공부할 때 이거로 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보인다. 이 사람의 책 중에 '사회적 동물(social animal)'이라는 책이 유명하다는데, 목차를 보니까 이 책과 별반 다를 바가 없는데 봐야할지 약간 고민이 된다. 다른 재밌는 내용이나 논문이 있다면 찾아볼 것 같다.
편견의 정의 13.1 편견의 세 가지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편견(prejudice) : 특정 집단에 대한 적대적이고 부정적인 태도로서 순전히 그 집단에 속해있다는 사실에 바탕을 둔다. 편견은 태도이며, 강력한 정서적인 힘을 갖고 있다. 편견은 세가지 요소가 있다. 1) 정서적 요소 화남, 불편함, 강하고 약한 정도 등의 태도를 갖는다. 2) 인지적 요소 태도를 형성하는 신념이나 생각 3) 행동적 요소 태도가 생각뿐 아니라 행동으로 나타난다. 인지적 요인:고정 관념 사람은 선천적으로 범주를 만든다. 이런 범주를 만드는 능력은 적응적이다. 신생아들은 특정 인종을 다른 인종보다 선호하는데, 다른인종을 선호하려면 3개월이 지나야 한다. 우리는 동물이나 식물을 분류하여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고, 인간도 마찬가지로 ..
공격성은 선천적인가, 학습되었는가, 아니면 선택적인가 12.1 공격성에 관한 진화적, 문화적, 학습 이론은 어떻게 다른가 공격성(aggression) :다른 사람에게 신체적 손상 또는 심리적 고통을 유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의도적 행위 그냥 행동이 공격적이다라고 하는 것은 공격성과 다르다. 공격성은 명확히 타인에게 해를 가하려는 행위를 의미한다. 공격성은 두 종류가 있다. 1) 적대적 공격성(hostile aggression) :분노감에서 비롯되어 고통이나 상해를 가하려는 목적의 공격성 2) 도구적 공격성(instrumental aggression) :고통을 유발하는 것 이외의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써 공격성 적대적 공격성은 상대에게 화가나서 그로 인해 해를 가하려는 것이고, 도구적 공격성은 미식 ..
친사회적 행동에 내재된 기본 동기: 사람들은 왜 돕는가 11.1 다른 사람을 도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본 동기는 무엇인가 친사회적행동(prosocial behavior) :다른 사람을 이롭게 하는 목적에서 수반된 행동 이타주의(altruism) :돕는 이에게 비용이 포함될지라도 다른 사람을 돕고자 하는 행동 진화심리학: 본능과 유전 진화론은 이타주의를 어떻게 설명하는가? 자신의 생존을 높이는 것이 진화론의 목표라면 남들의 돕는 행동은 어떻게 설명할까? 친족 선택(kin selection) :유전적 친족을 돕는 행동이 자연선택에 일어난다는 견해 자신이 자녀를 갖는 것 외에도 자신의 자녀가 자녀를 갖도록 보장함으로써 유전자가 전달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생존이 더 많이 보장될수록 유전자가 미래에 더 번..
무엇이 매력을 예측하는가? 10.1 사람들은 좋아하고 더 친해지고 싶은 사람을 어떻게 결정하는가? 옆집 사람: 근접성 효과 대인 매력의 가장한 간단한 결정요인 중 하나는 근접성이다. 자주 보고 상호작용하는 사람은 친구와 애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근접성 효과(propinquity effect) :우리가 더 많이 보고 더 많이 상호작용하는 사람일수록 우리의 친구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결과 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 :자극에 더 많이 노출될수록 그것을 좋아하기 더 쉽다는 결과 실제 연구결과 한 학기에 첫인상도 근처에 있는 학생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학기 말에도 근처에 있는 학생들을 더 호감으로 표현했다. 유사성 사람은 관심, 태도, 가치 등이 비슷한 사람에게 끌린다 의견과 성..
집단의 속성과 그것이 사람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자. 집단이란 무엇인가? 9.1 집단이란 무엇이며 왜 사람들은 집단에 속하는가 집단(group) :필요와 목적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미치며 상호 의존적인 셋 이상의 사람 왜 사람들은 집단에 속하는가? 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고 진화론적으로 말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고, 사회적 상황에서 불확실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집단의 구성과 기능 집단은 5~6명에서 몇 십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는 5~6명이다. 학교는 집단이 아니다. 모든 구성원과 영향을 주고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집단과 개인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사회적 규범 사회적 규범은 우리의 행동을 결정한다. 도서관에..
동조:언제 그리고 왜 하는가 8.1 동조는 무엇인가, 그리고 동조는 왜 일어나는가 동조(conformity) :다른 사람으로부터 실제 또는 가상의 영향을 받아서 자신의 행동을 바꾸는 것 정보의 사회영향:무엇이 '옳은가'에 대해 알고자 하는 욕구 8.2 정보적 사회영향이 어떻게 사람들을 동조하게 하는가 정보적 사회영향(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 :다른 사람의 행동을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의 원천으로 보기 대문에 일어나는 동조이다. 애매한 상황에 대한 타인의 해석이 자신의 해석보다 더 정활할 것이며, 이를 통해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게 될 것이라 믿기 때문에 동조하게 된다. 미국의 대학에 처음간다면 교수님을 어떻게 불러야할지 모를 수 있다. 교수님이라고 해야할까, 선생..
광고 등은 우리의 태도를 변화시킨다. 어떤 과정을 통해 우리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 태도의 본질과 기원 7.1 태도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태도의 기원은 무엇인가? 우리는 대상에 대해 태도를 갖고 있다. 멸치를 먹는 것을 좋아하거나 싫어하거나 혹은 별로 관심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대상에는 강력한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태도는 우리가 어느 행동을 할지 결정해주기에 매우 중요하다. 태도는 어디에서 생기는가? 태도는 유전적 기반에 의해 생긴다고 한다. 멀리서 자라도 일란성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보다 더 많은 태도를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인 요인도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태도의 미치는 요소는 3가지가있다. 1) 인지적 요소(cognitive component) :사람들이 태도..
- Total
- Today
- Yesterday
- K-MOOC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C/C++
- Python
- 윤성우
- 류근관
- 오블완
- C
- 정보처리기사
- 심리학
- 데이터분석
- 통계학
- 인프런
- 보세사
- stl
- 일본어
- 티스토리챌린지
- 코딩테스트
- 뇌와행동의기초
- 인지부조화
- EBS
- c++
- jlpt
- 일문따
- 백준
- 여인권
- 회계
- 파이썬
- 사회심리학
- 열혈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