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보관의 원칙 총정리

📦 보관의 원칙 총정리

보관은 왜 전략이 되어야 하는가


📚 보관이란?

물류에서 ‘보관’은 흔히 ‘창고에 물건을 쌓아두는 일’ 정도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보관이란 단순히 ‘보존’하는 게 아니라,
물건을 꺼내기 쉽게, 찾기 쉽게, 흐름에 맞게 준비해 두는 것입니다.

보관이 단절되면 물류 전체가 멈춥니다.
아무리 빠르게 물건을 주문받고, 운송 시스템이 완벽해도
창고 안에서 “어디에 뭐가 있는지 몰라서” 또는
“꺼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서” 출고가 지연된다면 모든 과정이 무너집니다.

결국 보관이란

“언제든 꺼낼 수 있도록 준비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이 작동하려면, 그 안에 분명한 운영 원칙이 있어야 합니다.

🧭 보관의 원칙

보관 원칙은 모두 하나의 공통 문제에서 출발합니다:

"어떻게 하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꺼낼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이 바로 아래 다섯 가지 원칙입니다.


 


1️⃣ 회전대응의 원칙

문제:
창고에서 자주 출고되는 물건이 창고 깊은 곳에 있다면,
작업자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먼 거리를 왕복해야 합니다.
이 이동 자체가 시간 낭비이자, 노동력의 비효율입니다.

해결 원칙:
회전율(입출고 빈도)이 높은 품목은 출입구 근처에,
→ 낮은 품목은 창고 안쪽, 덜 사용되는 공간에 배치합니다.

적용 방식:

  • 출고 빈도 데이터를 분석해 상위 20~30% 품목을 A등급으로 분류
  • A등급은 작업 동선상 최전방에 집중 배치
  • B·C등급은 후방 또는 상단 적층 공간 활용

효과:

  • 이동 거리 단축 → 출고 속도 향상
  • 고빈도 품목 피킹 병목 방지
  • 공간을 빈도 기반으로 차등 활용 가능

실제 사례:
전자상거래 창고에서는 매출 상위 제품(회전율이 높은 상품)은
출입구 앞 ‘피킹존’에 집중 배치하고,
단종 예정 상품이나 계절 제품은 창고 후미 또는 상단 랙에 배치합니다.


2️⃣ 선입선출의 원칙 (FIFO)

문제:
식료품, 화장품, 약품 등 유통기한이 있는 제품에서
신제품이 먼저 출고되면 기존 재고는 창고에 쌓여 썩거나 손실됩니다.

해결 원칙:
→ 먼저 입고된 제품이 먼저 출고될 수 있도록 입출고 동선을 설계합니다.

적용 방식:

  • ‘후입고-후출고’ 방식 금지
  • 동일 품목의 경우 입고일자가 빠른 물품부터 앞쪽에 배치
  • 통로를 일방향으로 설정하거나, 랙 시스템에 자동 푸셔(pusher) 설치

효과:

  • 유통기한 관리 체계화
  • 폐기율 감소, 재고 손실 최소화
  • 고객 신뢰도 상승 (신선도 유지)

실제 사례:
대형마트 물류센터에서는 유제품이 입고되면
‘앞문 입고, 뒷문 출고’ 방식으로 무조건 FIFO가 적용되도록 랙을 구성합니다.
이로 인해 입출고 순서를 놓치지 않고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통로대면의 원칙

문제:
물건이 통로를 등지고 배치되면,
작업자는 선반을 돌아가거나 몸을 비틀어야 물건을 꺼낼 수 있습니다.
이때 시간도 걸리고, 허리 부상도 생기며, 실수 확률도 높아집니다.

해결 원칙:
→ 모든 물품이 통로를 향해 정면 배치되도록 구성합니다.

적용 방식:

  • 선반 배치 시 물품 라벨이 통로 방향을 향하게
  • 팔레트 적재 시 전면 라벨이 외부에서 식별되도록 정렬
  • 피킹 작업 통로를 충분히 확보하고 일방향 루트 구성

효과:

  • 피킹 시간 단축 (정면 접근)
  • 낙상·충돌 등의 작업자 사고 방지
  • 시인성과 식별성 향상 → 실수 예방

실제 사례:
부품창고에서 부품 박스의 전면이 모두 통로를 향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걷기만 해도 바로 원하는 박스를 꺼낼 수 있게 합니다.
통로 반대 방향을 향한 박스는 재정렬됩니다.


 


4️⃣ 보관 위치 명확화의 원칙

문제:
“이 물건 어디 있어요?”
“오늘은 A 사원이 안 나와서 어디 있는지 몰라요.”

이런 일이 반복되면 보관은 개인화되고, 재고관리는 무의미해집니다.

해결 원칙:
→ 보관 위치를 명확히 지정하고, 누구나 같은 방식으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적용 방식:

  • 랙마다 고유 식별번호 부여 (예: A-01-03-02)
  • 위치와 품목 매칭 테이블 작성
  • 바코드, QR코드, 컬러 라벨 등 시각 정보화

효과:

  • 누구든지 같은 위치에서 같은 품목을 찾을 수 있음
  • 신입, 대체 인력도 바로 작업 가능
  • 재고조사 정확도 및 속도 향상

실제 사례:
전자부품 창고에서 수만 개 품번이 라벨링된 위치에만 놓이도록 관리됨.
재고관리 시스템과 위치번호가 1:1로 연동되어 오류 없이 피킹 가능


5️⃣ 유사자재 관리의 원칙

문제:
같은 형태의 부품인데 서로 다른 기계용이면
작업자가 헷갈리기 쉽고, 잘못 출고되면 전체 생산이 멈출 수도 있습니다.

해결 원칙:
비슷한 물건은 같은 구역에, 그러나 혼동되지 않게 정리합니다.

적용 방식:

  • 유사 품목은 같은 랙 구역 내 인접한 위치에 배치
  • 색상, 크기, 기능 등이 비슷한 것끼리 군집화
  • 물리적 간격 또는 경계 선을 활용해 혼동 방지

효과:

  • 부품 혼동 예방
  • 작업자의 연속 피킹 동선 확보
  • 분류 관리 간소화

실제 사례:
볼트, 너트, 패킹류 등은 규격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비슷한 사이즈끼리 한 셀에 두되, 구분 라벨과 칸막이로 분리해 작업자가 연속 작업하면서도 실수 없이 처리 가능


 


📑 요약 및 마무리

원칙명 해결하는 문제 핵심 아이디어 기대 효과
회전대응 빈도 높은 물품이 먼 곳에 있음 회전율 기반 위치 배치 이동 동선 최소화
선입선출 오래된 재고가 남음 입고순서 → 출고순서 품질 보존, 폐기율 감소
통로대면 물건 접근이 불편 정면 배치 피킹 속도, 작업 안전
보관위치 명확화 위치 혼동, 개인 의존 위치의 고유화 오류 방지, 작업 일관성
유사자재 관리 유사 품목 혼동 군집화 + 명확한 구분 피킹 정확도 향상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