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작업기억의 존재를 증명하는 실험

🧠 작업기억의 존재를 증명하는 실험


🧠 작업기억이란?

작업기억(working memory)은 감각을 통해 들어온 정보를 단기적으로 유지하면서, 그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작·판단·계산 등 ‘작업’에 사용하는 인지 시스템입니다.

작업기억은 단순한 저장소가 아니라, 정보를 “작업 가능한 상태로 머릿속에 떠올려 놓는 공간”입니다.
예를 들어, "2 + 3"을 계산하려면, 숫자 2와 3이 동시에 머릿속에 떠올라 있어야 합니다.
이처럼 작업기억이 없으면 어떤 사고나 판단도 불가능합니다.

문제는 이 작업기억이 뇌 속 어디에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직접적으로 관찰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작업기억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고안하였습니다.
그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지연된 짝맞추기 과제(Delayed Matching to Sample)입니다.


 


2025.06.29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비교인지(Comparative Cognition)란?

 

비교인지(Comparative Cognition)란?

🧠 비교 인지란?🪧 비교 인지의 정의비교 인지(comparative cognition)는 인간과 다양한 동물 종의 인지 과정을 비교함으로써, 각 종이 정보를 어떻게 지각하고, 저장하고, 처리하며, 환경 속에서 이

eunjin123123.tistory.com

 


🧪 지연된 짝맞추기 과제 (Delayed Matching to Sample)


🎯 실험 목적

지연된 짝맞추기 과제의 목적은 명확합니다:

시간이 흐른 뒤에도 동물이 자극 정보를 정확히 기억하고, 그 정보를 근거로 선택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려는 것입니다.

자극을 잠깐 본 뒤에 사라지게 만들고, 시간이 지난 후 그 정보를 떠올려 선택하게 한다면,
그 행동이 단순한 반사(reflex)가 아닌 기억에 기반한 선택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실험 설계

  • 실험 대상: 비둘기, 원숭이, 인간 아동 등 다양한 종
  • 실험 장치: 3개의 반응 키 (가운데 + 양 옆)
  • 중앙 키에 샘플 자극 제시 (예: 빨강, 초록)
  • 지연(delay) 후 양쪽에 비교 자극 제시
  • 샘플 자극과 일치하는 쪽 선택해야 함
  • 정답률 50% 초과 시, 기억 기반 선택으로 간주

⚙️ 실험 절차

  1. 샘플 제시: 중앙 키에 색상 자극 제시 (예: 빨강 또는 초록)
  2. 확인 반응: 피험자가 가운데 키를 쪼면 다음 단계 진행
  3. 지연 시간: 모든 키가 꺼지고 일정 시간 대기 (예: 2~10초)
  4. 비교 자극 제시: 양쪽 키에 두 색 중 하나씩 표시
  5. 선택 및 피드백: 정답 선택 시 보상 제공, 오답 시 보상 없음

📊 실험 결과

  • 지연 시간이 짧을수록 정답률이 높고,
  • 지연 시간이 길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
  • 예: 비둘기 기준, 10초 지연 시 약 66% 정확도 유지

이 결과는 단순 추측(50%)을 초과하므로,
작업기억에 일정 시간 동안 자극 정보가 유지되고 있다는 증거로 해석됩니다.


📋 실험 결과 요약표

지연 시간(초) 2초 4초 6초 8초 10초
평균 정답률 (%) 90% 80% 75% 70% 66%

※ 출처: Grant (1975), Proactive interference in pigeon short-term memory


🔍 해석 및 의의

  • 작업기억이 실재한다는 증거를 행동을 통해 확인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가 희미해지는 경향이 정답률 감소로 표현됨
  • 작업기억은 시간적으로 제한적이고, 쉽게 방해받는 시스템
  • 이 실험은 정량적 행동 지표로 작업기억의 존재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정받음

후속 연구에서는 외부 자극을 삽입했을 때 더 큰 성능 저하가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작업기억이 매우 민감하고 불안정한 시스템이라는 점도 밝혀졌습니다.


 


✅ 요약 및 마무리

✔️ 마무리

  • 작업기억은 정보를 ‘작업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인지 시스템입니다.
  • 지연된 짝맞추기 과제는 작업기억의 존재와 유지 지속성을 행동으로 입증합니다.
  • 지연 시간이 길어질수록 정확도가 하락하는 현상은, 작업기억이 시간에 따라 약화됨을 보여줍니다.

📋 요약표

항목 설명
실험 이름 지연된 짝맞추기 과제 (Delayed Matching to Sample)
실험 목적 자극 정보가 작업기억에 얼마나 유지되는지 측정
핵심 절차 자극 제시 → 지연 시간 → 비교 자극 중 정답 선택
정답률 해석 기준 50% = 무작위 추측, 50%↑ = 작업기억 기반 선택
결과 요약 지연 길어질수록 정답률 하락 → 기억 유지력 감소
인지과학적 의의 작업기억의 실재, 시간적 제한성, 간섭 민감성 입증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