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항만 하역 작업방식
🚢 항만 하역 작업의 개념
항만 하역 작업방식은 선박과 육상 사이에서 화물을 옮길 때 사용하는 표준화된 절차입니다.
항만에서는 다양한 형태와 무게의 화물이 오가고, 이를 비효율적으로 처리하면 정박 시간과 비용이 불필요하게 늘어납니다.
“항만의 경쟁력은 하역 작업의 효율과 안전에서 결정된다.”
이렇게 말할 수 있을 만큼, 하역 작업방식은 항만 운영의 핵심 요소입니다.
🧭 하역 작업방식의 필요성
항만에서 하역 작업방식이 꼭 필요한 이유는 명확합니다.
하역 작업을 표준화하지 않으면 선박이 더 오래 머물게 되고, 작업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물류 전체의 흐름이 느려집니다.
왜냐하면 화물마다 다르고 선박마다 구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 작업자와 화물을 보호하기 위해
- 항만 운영비용을 줄이기 위해
이처럼 하역 작업방식은 효율성과 안전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 항만 하역 작업방식의 종류
아래에서는 각 방식의 탄생 배경, 이유, 방법,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서술합니다.
하나하나가 왜 필요한지를 납득할 수 있도록 풀어내겠습니다.
🚠 LO-LO 방식 (Lift on - Lift off)
배경과 이유
컨테이너와 같이 바퀴가 없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화물은 경사로나 트레일러로 이동할 수 없습니다.
특히 수십 톤에 달하는 철재, 목재, 대형 기계부품 같은 경우는 인력이 옮기기에는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개발된 방식이 LO-LO입니다.
왜 크레인을 쓰게 되었을까요? 바로 수직으로 올려야 공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수평으로만 작업하면 좁은 선박 갑판에 제대로 적재할 수 없고, 무게중심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방법
크레인을 사용해 화물을 들어 올려(Lift on) 선박에 싣고, 다시 들어 내려(Lift off) 육상에 내립니다.
이름 그대로 ‘들어 올리고, 들어 내린다’는 뜻입니다.
이 단순한 방식 덕분에 컨테이너선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입니다.
장점
- 다양한 형태, 크기의 화물에 적용 가능
- 바퀴가 없는 화물도 처리 가능
- 장비만 준비되면 다른 설비가 필요 없음
단점
- 크레인에 의존
- 작업 속도가 느리고 인력도 많이 필요
🚗 RO-RO 방식 (Roll on - Roll off)
배경과 이유
자동차, 트레일러, 바퀴 달린 중장비 같은 화물은 크레인으로 옮기려면 효율이 떨어집니다.
왜냐하면 이런 화물은 이미 바퀴가 있기 때문에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데 굳이 수직으로 들어 올리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그래서 바퀴 달린 화물에는 수평 이동 방식을 적용합니다.
방법
선박에 경사판을 설치해 차량이 스스로 굴러서 올라가고(Roll on), 스스로 굴러서 내려오는(Roll off) 구조입니다.
페리나 자동차 운반선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왜 경사판을 쓰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선박과 부두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경사판으로 높이 차를 극복하면서 수평 이동이 가능해집니다.
장점
- 작업 속도가 빠르고 인력이 적게 듦
- 바퀴 달린 화물에는 최적
단점
- 경사판과 전용 선박이 필요
- 바퀴가 없는 화물에는 적용 불가
🛳️ FO-FO 방식 (Float on - Float off)
배경과 이유
초대형 해양 구조물이나 플랫폼은 너무 크고 무겁기 때문에 크레인도, 경사판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화물을 물에 띄운 상태로 옮기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었습니다.
방법
화물을 물 위에 띄운 채(Float on) 선박에 싣고, 목적지에서도 띄운 채(Float off) 내립니다.
운반 선박은 물을 채웠다 뺐다 하며 화물의 부력을 이용합니다.
장점
- 초대형 구조물 운송 가능
- 크레인과 경사판이 필요 없음
단점
- 고도의 기술 필요
- 전용 선박과 높은 비용
📃 FI-FO 방식 (Free in - Free out)
배경과 이유
FI-FO는 작업 방식이 아니라 비용 계산 방식입니다.
화주가 선적과 양하 비용을 부담함으로써 운임을 낮추고 작업비를 명확히 합니다.
왜 이런 조건이 필요할까요? 선적/양하 작업의 범위와 책임을 계약서에 명시하지 않으면 분쟁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방법
운임에서 하역비를 제외하고, 선적과 양하 작업비를 화주가 부담하도록 하는 조건을 설정합니다.
특징
- 비용 부담을 명확히 함
- 작업 효율과는 직접 관계 없음
🛥️ LASH 방식 (Lighter Aboard Ship)
배경과 이유
강과 바다를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방식입니다.
강에서는 바지선(소형 선박)을 이용해 운송하지만, 이를 바다까지 운송하려면 대형 선박에 옮겨야 합니다.
그래서 강에서 운반한 바지선을 그대로 실어 운송하는 방법을 생각했습니다.
방법
대형 선박에 작은 바지선을 그대로 실어 운송하고, 목적지에서 다시 강으로 투입합니다.
장점
- 강과 해양 간 연결성 강화
- 운송 시간 절약
단점
- 전용 설비 필요
- 복잡한 운송 계획
📝 요약 표
'자격증 > 물류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렛트 풀 시스템 방식 총 정리! 교환방식, 리스, 렌탈, 대차결제 (0) | 2025.07.05 |
---|---|
화인(Shipping Mark) 총정리 (0) | 2025.07.04 |
하역기기 총정리: 탑 핸들러, 로딩 암, 돌리, 호퍼, 스트래들 캐리어 (0) | 2025.07.04 |
수요예측방법 총정리 (0) | 2025.07.04 |
재주문점 주문관리기법 총정리 (0) | 2025.07.0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회계
- 열혈프로그래밍
- 인지부조화
- Python
- 유통관리사
- 보세사
- 행동주의
- 학습이론
- 윤성우
- 백준
- 통계학
- 파이썬
- 학습심리학
- 심리학
- 데이터분석
- 통계
- 행동심리학
- 오블완
- K-MOOC
- 코딩테스트
- 물류관리사
- 류근관
- 조건형성
- 강화학습
- 정보처리기사
- c++
- C
- 티스토리챌린지
- 일문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