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상이 있어야만 배울 수 있을까?— 톨먼의 잠재학습 실험으로 본 학습과 수행의 차이🧠 우리가 배움을 판단하는 방식일반적으로 우리는 누군가가 문제를 잘 풀거나 행동을 바꾸는 모습을 보면"저 사람은 잘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즉, 행동 변화(수행)를 통해 학습 여부를 판단하죠.심리학에서도 오래전부터 이런 관점이 지배적이었습니다.특히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이라는 이론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가 기본이었습니다.행동 → 보상 → 행동 강화→ 같은 행동을 반복하면서 학습이 일어난다🔄 조작적 조건형성: 스키너의 레버 실험대표적인 예는 스키너(Skinner)의 실험입니다. 쥐를 상자 안에 넣고, 레버를 누르면 먹이가 나오게 합니다. 처음엔 우연히 레버를 누르다가, 먹이가 나..
🐭 행동을 직접 하지 않아도 배울 수 있을까?— 쥐와 미로, 그리고 심리학자들의 흥미로운 논쟁🧠 배움이란, 직접 해봐야 가능한 걸까?어떤 행동을 했을 때 좋은 결과가 생기면, 우리는 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됩니다. 이 원리를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이라고 합니다. 심리학에서는 이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동물을 자주 실험에 활용하곤 했어요.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쥐와 미로 실험입니다.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Thorndike)는 여기에 대해 아주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어요.“동물이 직접 행동을 해야만 학습이 일어난다.”그렇다면… 쥐가 직접 움직이지 않고도 미로를 학습할 수 있을까요?🚗 쥐를 바구니에 태운 실험이 시작되다Thorndike는 이런 실험을..
- Total
- Today
- Yesterday
- 정보처리기사
- 통계학
- 인지부조화
- 유통관리사
- Python
- 심리학
- 파이썬
- 류근관
- 학습이론
- 백준
- 행동주의
- 회계
- c++
- 보세사
- C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K-MOOC
- 티스토리챌린지
- 학습심리학
- 코딩테스트
- 물류관리사
- 데이터분석
- 오블완
- 행동심리학
- 강화학습
- 조건형성
- 윤성우
- 열혈프로그래밍
- 통계
- 일문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