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시산표(試算表, Trial Balance)


✅ 1. 정의

시산표란,
모든 계정의 차변과 대변 잔액을 정리하여, 차변합계와 대변합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작성하는 표입니다.

즉, 분개 → 전기 → 계정잔액까지의 회계 기록이
정확히 맞게 처리되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검산 도구입니다.


📌 2. 왜 시산표가 필요한가?

회계는 복식부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거래는 항상 차변 = 대변의 원칙을 따릅니다.
하지만 사람이 수작업으로 전기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기 금액을 잘못 썼거나
  • 한쪽만 기입했거나
  • 계정과목을 잘못 선택했거나

그래서 시산표를 작성해보면, 👉 차변합계 ≠ 대변합계일 경우 → 명백히 오류가 있는 것
👉 차변합계 = 대변합계일 경우 → 회계 처리 구조는 맞다는 신호
(단, 모든 오류를 잡아내지는 못함 – 아래에서 설명)


⚙️ 3. 시산표의 구성

계정과목 차변잔액 (₩) 대변잔액 (₩)

현금 5,000,000  
매출   10,000,000
급여 2,000,000  
외상매출금 3,000,000  
매입채무   1,000,000
자본금   9,000,000
합계 10,000,000 10,000,000

👉 좌우가 일치하면, 형식상 회계 기록은 정확하다고 판단합니다.


🧾 4. 시산표의 종류

종류 시점 설명

① 합계시산표 분개→전기 후 모든 계정의 차변·대변 금액 합계만 표시
② 잔액시산표 분개→전기 후 모든 계정의 **잔액(차변 또는 대변)**만 표시
③ 수정시산표 결산 정리 후 결산 정리를 반영한 잔액 기준 시산표
④ 재무제표용 시산표 결산 직전 재무제표 작성 준비용 시산표로, 수정사항까지 반영된 최종본

🔍 5. 시산표로 발견할 수 있는 오류 vs. 발견할 수 없는 오류

구분 설명 시산표로 확인 가능 여부

한쪽만 전기한 경우 차변만 또는 대변만 기입 ✅ 예
금액이 다르게 전기된 경우 차변에 5,000, 대변에 6,000 등 ✅ 예
계정과목을 아예 누락한 경우 거래를 기록하지 않음 ❌ 아니오
잘못된 계정과목에 전기한 경우 예: 급여를 복리후생비로 기입 ❌ 아니오
차변·대변을 바꿔 기입한 경우 예: 현금 지급을 수취로 잘못 입력 ❌ 아니오

👉 즉, 시산표가 차변 = 대변이라고 해서 오류가 없다고 확신할 수는 없습니다.


📊 6. 시산표 작성의 절차 요약

  1. 분개장(분개기록) 작성
  2. 원장에 전기 (계정별로)
  3. 각 계정별 잔액 계산
  4. 시산표에 각 계정의 잔액을 차변/대변에 구분하여 정리
  5. 차변합계 = 대변합계 여부 확인

🧩 7. 실제 사용 예시

예: 한 회사가 12월 말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전,
그해 기록된 회계 자료의 정확성을 검토하기 위해
시산표를 작성해봤더니, 차변합계와 대변합계가 맞지 않음.
→ 오류가 있음을 인지하고, 거래 누락이나 전기 실수를 검토함


📘 정리

항목 내용

정의 회계 기록이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해 차변과 대변의 합계를 비교하는 표
목적 회계상의 오류 점검, 재무제표 작성 전 검산 도구로 사용
구조 계정과목별로 잔액 또는 합계차변/대변에 구분하여 나열
오류 점검 일부 오류만 확인 가능 (누락/과목 착오는 불가능)
활용 시점 전기 후, 결산 전, 재무제표 작성 준비 등

 

반응형

'자격증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료 vs 임차료, 대여금 vs 차입금  (0) 2025.04.05
당좌차월 (Bank Overdraft)  (0) 2025.04.05
종합원가계산이란?  (0) 2025.04.04
제조원가란?  (0) 2025.04.04
기타채권과 기타채무  (0) 2025.04.0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