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일상 일기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일상 일기 블로그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595)
    • 기타 (5)
    • 머신러닝 (19)
      • 머신러닝 (2)
      • 머신러닝 from scratch (2)
      •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3)
      • 밑바닥부터하는 데이터과학 (3)
      • 강화학습 (9)
    • 논문 리뷰 (40)
      • 1일1리뷰 (37)
      • 딥러닝 (0)
      • 통계 (3)
    • 수학 (7)
      • 수학기초개념 (0)
      • 선형대수 (7)
    • 자격증 (257)
      • 합격수기 (13)
      • 회계 (76)
      • 정보처리기사 (50)
      • 정보보안기사 (7)
      • 물류관리사 (108)
    • 심리학 (200)
      • 인지부조화 (14)
      • 두뇌로부터 문화에 이르는 사회인지 (0)
      • 뇌와 행동의 기초 (1)
      • Design and Analysis: A Rese.. (0)
      • 기억 인지싱경과학 Scott.D.Slotnick (0)
      • 인지신경과학 입문 (2)
      • Research methods in Psychol.. (0)
      • 심리학 연구방법론 (0)
      • 사회심리학 Elliot aronson (0)
      • 정서심리학(emotion, James W.kala.. (11)
      • 동기과학 (0)
      • 문항반응이론 (9)
      • 심리측정 (0)
      • 태도 (3)
      • 동기와 정서 (0)
      • 인지신경과학 (4)
      • 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156)
    • 프로그래밍 (0)
      • 홍정모의 따라배우는 C++ (0)
    • 통계학 (31)
      • 통계이론 (4)
      • 여인권-통계학의 이해 (17)
      • 회귀분석-김충락 (0)
      • 수리통계학개론 (0)
      • 앤디필드의 유쾌한 통계학 (2)
      • Hogg 확률과 통계적 추론 (6)
      • 요인분석 (2)
    • 쓰레기통 (8)
      • 쓰레기통 (3)
    • 국비 (11)
      • 이어드림스쿨 (10)
  • 방명록

학습심리 (12)
모방도 학습이다? Miller와 Dollard의 모방 실험

🔷 모방도 학습이다? Miller와 Dollard의 모방 실험✅ 모방이란 무엇인가요?우리는 일상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따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어, 친구가 먼저 문제를 풀면 나도 그대로 풀어보고, 어머니가 하는 요리를 보고 똑같이 해보려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이런 모방(imitating others)은 마치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그런데 1941년, 심리학자 Miller와 Dollard는 모방을 전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았습니다.“모방은 특별한 능력이 아니라,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으로 충분히 설명된다.”그들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아래에서는 그들의 주장과 실험 결과를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2025. 7. 13. 14:31
Premack의 원리 (Premack’s Principle) 개념 및 실험 정리!

📘 Premack의 원리 (Premack’s Principle)강화물은 자극이 아니라 행동이다1. 강화란 무엇인가? 그리고 왜 헷갈렸는가?🔍 강화란?강화(reinforcement)란 어떤 행동 뒤에 어떤 결과가 주어졌을 때, 그 행동이 더 자주 반복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아이가 숙제를 하면 간식을 준다.그랬더니 숙제를 더 자주 하게 된다면,→ ‘간식’은 아이에게 강화물(reinforcer)입니다.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있습니다.왜 간식이 강화물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사전에 예측할 수 있을까요?❗ 순환 논리의 문제기존 설명은 이렇게 순환합니다:“왜 초콜릿이 강화물인가요?” → “초콜릿을 주면 행동이 늘어나니까요.”“왜 행동이 늘어났나요?” → “강화물인 초콜릿을 받았기 때문이죠.”→ 강..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2025. 6. 13. 03:11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몸속 반응을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까?

🧠 바이오피드백, 몸속 반응을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까?🤔 우리는 왜 몸속 반응을 마음대로 조절하지 못할까?팔을 들거나 눈을 감는 것처럼, 우리는 골격근을 통해 움직이는 동작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심장이 갑자기 빨라지거나, 손이 차가워지고, 복통이 생기는 현상은 왜 통제할 수 없을까요?이유는 명확합니다.이런 생리 반응은 자율신경계의 통제 아래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며,우리의 뇌는 그것들에 대한 즉각적이고 정밀한 피드백을 거의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결국, 감지하지 못하니 조절도 할 수 없는 것입니다.2025.06.11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심근과 같은 내장근에도 조작적 조건화를 작용할 수 있을까? 심근과 같은 내장근에..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2025. 6. 11. 20:14
강화학습: 학습에는 반드시 행동이 필요한가? (Learning by doing)

🐭 행동을 직접 하지 않아도 배울 수 있을까?— 쥐와 미로, 그리고 심리학자들의 흥미로운 논쟁🧠 배움이란, 직접 해봐야 가능한 걸까?어떤 행동을 했을 때 좋은 결과가 생기면, 우리는 그 행동을 더 자주 하게 됩니다. 이 원리를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이라고 합니다. 심리학에서는 이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동물을 자주 실험에 활용하곤 했어요.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쥐와 미로 실험입니다.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Thorndike)는 여기에 대해 아주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어요.“동물이 직접 행동을 해야만 학습이 일어난다.”그렇다면… 쥐가 직접 움직이지 않고도 미로를 학습할 수 있을까요?🚗 쥐를 바구니에 태운 실험이 시작되다Thorndike는 이런 실험을..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2025. 6. 11. 18:26
자극 포화(Stimulus Satiation): 너무 많이 주면 질려서 안 하게 된다?

📘 자극 포화(Stimulus Satiation): 너무 많이 주면 질려서 안 하게 된다?사람은 좋아하는 것을 반복하면 점점 익숙해지고,어느 순간부터는 더 이상 즐겁지도 않고 귀찮게 느껴지기 시작합니다.이러한 심리를 이용해문제 행동을 유발하는 보상을 아예 질릴 정도로 주는 전략이바로 자극 포화(Stimulus Satiation)입니다.✅ 1. 자극 포화란?🔍 개념 정의자극 포화(Stimulus Satiation)는어떤 행동이 특정한 보상(강화 자극) 때문에 계속될 때,그 보상을 너무 많이 제공해서 스스로 싫증나게 만들어결국 행동이 줄어들게 하는 방법입니다.즉,“좋아해서 계속하는 거라면,아예 질릴 만큼 줘서 스스로 그만두게 하자.”✅ 자극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과잉 제공하여 스스로 그 자극에 대한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2025. 6. 10. 11:19
반응 차단(Response Blocking): 강화학습과 처벌!

📘 반응 차단(Response Blocking): 위험한 행동, 막는 것이 먼저입니다아이들이 갑자기 위험한 행동을 할 때,“가만히 기다렸다가 스스로 멈추길 기대”하는 건 현실적이지 않습니다.특히 자해나 폭력처럼 즉각적인 위험이 있는 행동이라면,먼저 그 행동을 물리적으로 막는 것이 가장 필요한 조치입니다.이렇게 행동 자체가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바로반응 차단(Response Blocking)입니다.✅ 1. 반응 차단이란?🔍 개념 정의반응 차단(Response Blocking)이란문제 행동이 일어나려 할 때,행동이 실제로 일어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는 것입니다.“위험하거나 파괴적인 행동이 시작되기 전에 신체적으로 제지하여아예 행동이 일어나지 못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행동의 결과를..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2025. 6. 10. 11:08
도피 소거(Escape Extinction): 강화학습 처벌의 방법! 문제행동 차단!

📘 도피 소거(Escape Extinction): 피하려는 행동, 막으면 사라질까?사람들은 하기 싫은 일이나 불편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합니다.특히 아동이나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이러한 회피 행동이 문제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이때 해당 행동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가 도피 소거(Escape Extinction)입니다.✅ 1. 도피 소거란?🔍 개념 정의도피 소거(Escape Extinction)는 어떤 행동이‘불쾌한 상황에서 벗어나는 결과’ 때문에 반복될 때,그 결과를 차단함으로써 행동 자체를 약화시키는 절차입니다.“싫은 상황을 피하려고 하는 행동이, 더 이상 피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도피 소거의 핵심 원리입니다. 🍽️ 2. 예시 1: 음식을 거..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2025. 6. 10. 11:06
처벌에 영향을 주는 요소 3: 처벌 계획(punishment schedule)

🚨 처벌은 어떻게 주어져야 행동을 억제할 수 있을까?🔷 1. 모두 같은 처벌이 아니다우리는 문제 행동을 멈추기 위해 처벌을 사용합니다.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런 말을 자주 듣습니다.“혼냈는데 왜 또 그래요?”“몇 번 말했는데도 계속 반복돼요.”이유는 간단합니다.모든 처벌이 같은 방식으로, 같은 효과를 내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그리고 그 차이를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바로 ‘처벌이 주어지는 방식’, 즉 처벌 계획입니다. 🔷 2. 처벌 계획이란?처벌 계획(punishment schedule)은행동이 발생했을 때 처벌을 어떤 규칙 아래 주는가를 말합니다.즉, 매번 처벌하는지, 가끔만 처벌하는지,어떤 조건(시간/횟수)에 따라 주는지에 관한 ‘설계도’입니다. 처벌 계획 종류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2025. 6. 8. 16:22
이전 1 2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 학습이론
  • 일문따
  • 행동심리학
  • 회계
  • 조건형성
  • 티스토리챌린지
  • 학습심리학
  • 파이썬
  • 통계학
  • 보세사
  • 통계
  • 강화학습
  • C
  • 정보처리기사
  • 코딩테스트
  • 유통관리사
  • Python
  • 물류관리사
  • 데이터분석
  • 행동주의
  • 열혈프로그래밍
  • c++
  • 심리학
  • 백준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오블완
  • 류근관
  • 윤성우
  • 인지부조화
  • K-MOOC
more
«   2025/07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