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가수금, 가지급금, 미수금, 미지급금, 선수금, 선급금 구분

📘 실무자가 반드시 구분해야 할 6가지 유사 계정




✅ 왜 이 항목들이 자주 헷갈릴까?

회계는 단순히 “돈이 들어왔느냐 나갔느냐”로 판단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 돈의 목적, 거래 성격, 발생 시점, 명확성이 판단의 핵심입니다.

예: 돈이 들어왔어도 그게 수익인지, 부채인지, 계약금인지 모르겠다면 정확한 계정이 달라집니다.




✅ 각 항목의 정의 및 사용 구조

🔷 가수금 (임시 입금)

  • 정의: 입금은 되었으나 출처와 목적을 모르는 금액
  • 회계 성격: 부채
  • 예시: 입금자 불명, 거래명세서 미확인 등

🔷 가지급금 (임시 지출)

  • 정의: 지출했지만 아직 계정이 확정되지 않은 임시금
  • 회계 성격: 자산
  • 예시: 접대비, 출장비 미정산

🔷 선수금 (공급 전 입금)

  • 정의: 상품·용역을 아직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받은 돈
  • 회계 성격: 부채
  • 예시: 계약금, 예약금

🔷 선급금 (공급 전 지급)

  • 정의: 상품·용역을 받기 전에 미리 지급한 돈
  • 회계 성격: 자산
  • 예시: 선지급 임대료, 보험료

🔷 미수금 (상품 외 외상매출)

  • 정의: 상품 이외의 자산(비품, 차량 등)을 외상으로 판매한 후 아직 회수하지 않은 금액
  • 회계 성격: 자산

🔷 미지급금 (상품 외 외상매입)

  • 정의: 상품 외 자산을 외상으로 매입하고 아직 지불하지 않은 금액
  • 회계 성격: 부채



✅ 핵심 비교표

계정 정의 거래 방향 회계 성격 기준 구분
가수금 출처 미확정 입금 입금 부채 정체 확인 전 일시
가지급금 지출 후 목적 미정 출금 자산 정산 전 임시
선수금 공급 전 받은 계약금 입금 부채 계약 확정, 공급 전
선급금 공급 전 지급 출금 자산 계약 확정, 수령 전
미수금 상품 외 외상매출 입금 대기 자산 재화는 제공됨
미지급금 상품 외 외상매입 지급 대기 부채 재화는 수령됨



✅ 예상문제 및 해설

문제 1. 고객이 입금했지만 거래명세서가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이 돈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 ① 선수금
  • 가수금
  • ③ 미수금
  • ④ 예수금

해설: 출처와 내용이 불분명한 입금은 가수금으로 일시 처리해야 합니다.

문제 2. 출장비로 법인카드를 썼지만 아직 증빙이 제출되지 않았다. 이 금액은?

  • 가지급금
  • ② 미지급금
  • ③ 접대비
  • ④ 예수금

해설: 지출 목적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가지급금으로 임시 처리합니다.

문제 3. 고객으로부터 계약금을 받았으나 상품은 아직 인도하지 않았다. 이 돈의 계정은?

  • 선수금
  • ② 미수금
  • ③ 가수금
  • ④ 이연수익

해설: 공급 전 수령한 계약금은 선수금으로 처리하며 이는 부채입니다.

문제 4. 1년치 보험료를 선납했을 때, 아직 남은 8개월치 금액은 어떤 계정으로 처리되는가?

  • ① 이연수익
  • 선급금
  • ③ 보험료
  • ④ 미지급금

해설: 아직 효익이 실현되지 않은 비용은 선급금으로 처리되어 자산입니다.




✅ 정리

  • 가수금/가지급금: 정체 미확정 → 임시 계정
  • 선수금/선급금: 거래 확정 → 공급 전 or 수령 전 여부
  • 미수금/미지급금: 외상거래 → 상품 외 거래

이처럼 회계는 단순히 ‘돈의 흐름’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책임과 권리의 구조를 구분하는 작업입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