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자극 일반화와 자극 차별

🧠 학습된 반응은 어디까지 퍼지고, 어디서 멈출까?

✅ 1. 두 개념, 먼저 정의부터 정리합니다

동물이 한 가지 자극에 반응하도록 학습되었을 때, 그 반응은 오직 그 자극에서만 나타날까요?
아니면, 그것과 조금 비슷한 자극에도 나타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심리학에서는 자극 일반화자극 차별이라는 서로 연결되면서도 대조되는 두 개념을 제시합니다.

  • 자극 일반화(stimulus generalization): 학습된 자극과 비슷한 자극에도 동일한 반응이 나타나는 현상
  • 자극 차별(stimulus discrimination): 비슷한 자극 사이에서 특정 자극에만 반응하고 나머지는 구분하여 반응하지 않도록 학습하는 과정

이 두 개념은 학습된 반응의 범위를 조절하는 심리학에서 매우 핵심적인 메커니즘입니다.




✅ 2. 자극 일반화: 학습된 반응이 퍼져나가는 과정

✅ 실생활에서 이런 일이 일어날까요?

예를 들어, 어떤 토끼에게 특정한 소리(1,200Hz)를 들려준 직후 눈 근처에 전기 자극을 반복해서 가하면, 토끼는 나중에는 소리만 들어도 눈을 깜빡이게 됩니다.

그런데 그 소리와 아주 비슷하지만 정확히 같지 않은 1,100Hz나 1,300Hz의 소리에도 토끼가 눈을 깜빡인다면, 그것은 자극 일반화라는 정상적인 학습 반응입니다.

🧪 실제 실험 흐름

  • 조건 형성: 1,200Hz 소리(CS)를 들려준 뒤 전기 충격(US)을 줌 → 조건 반응(CR): 소리만 들어도 눈 깜빡임
  • 일반화 테스트: 전기 충격 없이 다양한 주파수(1,000~1,400Hz)의 소리를 제시 → 각 주파수에 대한 반응 측정

📊 실험 결과 예시

주파수 (Hz)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1,350 1,400
반응 수 (10회 중) 1 3 6 8 10 8 6 3 1

일반화 경사도(generalization gradient)는 학습된 자극과 유사한 자극에 대한 민감도가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Image 1

중앙부와 그 근처에 높은 반응비율을 보이고 옆으로 갈수록 낮은 반응을 비율을 보이게 됩니다.




✅ 3. 자극 차별: 반응의 정확도를 높이는 학습

✅ 일상에서도 일어납니다

토끼가 특정 소리(1,200Hz)에 눈을 깜빡인다면, 그와 비슷한 소리에도 반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200Hz 소리 뒤에는 전기 충격이 따르고, 1,100Hz 소리 뒤에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상황이 반복되면, 결국 토끼는 1,200Hz 소리에만 반응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자극 차별(discrimination)입니다.

🧪 실험 조건

  • 1,200Hz 소리(S+) → 전기 충격 → 반응 강화
  • 1,100Hz 소리(S−) → 아무 일 없음 → 반응 약화
  • 이를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자극 구분 학습 유도

📊 차별 학습 결과

주파수 (Hz) 1,000 1,050 1,100 1,150 1,200 1,250 1,300 1,350 1,400
반응 수 (10회 중) 0 0 1 3 10 2 0 0 0

자극 차별 학습 후에는 반응이 특정 자극에 집중되고, 다른 자극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Image 2

실제 자극에서만 높은 반응을 보이며, 비슷한 자극에서도 낮은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 4. 일반화와 차별은 함께 작동합니다

자극 일반화와 자극 차별은 반대 개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학습된 반응을 조절하는 상호보완적 메커니즘입니다.

  • 일반화: 반응의 범용성과 유연성 보장
  • 차별: 반응의 정확성과 안정성 보장

이 두 능력은 새로운 환경에 빠르게 적응하면서도 실수 없이 반응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 5. 핵심 비교 요약표

항목 자극 일반화 자극 차별
정의 유사한 자극에도 학습된 반응이 나타남 특정 자극에만 반응하고 나머지는 억제됨
반응 범위 넓고 완만한 곡선 좁고 가파른 곡선
학습 조건 기준 자극만 강화, 나머지는 단독 제시 S+ 강화, S− 무강화 반복 제시
실험 예시 다양한 주파수 소리에 대한 반응 측정 S+와 S− 학습 후 반응 비교
실생활 예시 여러 초인종에도 반응 우리 집 벨에만 반응

자극 일반화는 우리가 배운 것을 다양한 상황에 확장해 적용할 수 있게 해주고, 자극 차별은 그 활용을 정밀하게 조절해줍니다.

이 두 메커니즘 덕분에 우리는 낯선 환경에 적응하면서도 실수 없이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