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조건 억제: 행동을 멈추는 것도 학습일까?
✅ 1. 조건 억제란 무엇인가요?
조건 억제(Conditioned Inhibition)는 특정 자극이 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이미 형성된 조건 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하게 된 학습 현상을 말합니다.
이 개념은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이론의 일부로, 반응이 생겨나는 과정뿐 아니라 반응이 사라지는 경우에도 학습이 개입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조건 억제의 기본 구조
조건 억제는 자극 하나만의 반복으로는 형성되지 않습니다. 조건 자극+와 조건 자극−이 반복적으로 대비되는 경험을 통해서만 학습될 수 있습니다.
즉, “이 자극에서는 반응이 일어나고, 저 자극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패턴을 구별 가능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다음 항목에서는 조건 억제가 어떤 방식으로 실험적으로 형성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2. 조건 억제의 실험 구조: CS+와 CS−는 어떻게 구별되는가?
조건 억제에서 핵심은 실험자가 무엇을 했느냐보다는, 개체가 자극 사이의 차이를 어떻게 학습했는가입니다.
특정 자극이 조건 자극+인지, 조건 자극−인지는 그 자극이 조건 반응을 유발했는지, 억제했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 실험에서의 조건 설정
실험자는 강아지에게 종소리를 들려준 후 먹이를 주는 조건을 여러 차례 반복합니다.
그 결과, 강아지는 종소리만 들어도 먹이를 기대하며 침을 흘리게 됩니다. 이때, 종소리는 조건 반응을 유도했으므로 조건 자극+ (CS+)로 정의됩니다.
이제 실험자는 다음과 같은 조작을 실시합니다:
- 종소리와 함께 불빛을 동시에 제시하면서, 먹이를 제공하지 않는 조건을 반복합니다.
- 강아지는 이 조건에서 침을 흘리지 않게 되며, 점차 다음과 같은 차이를 학습하게 됩니다:
종소리 → 먹이 → 침 흘림 # 종소리는 침 흘림을 유도하므로 CS+ 종소리 + 불빛 → 먹이 없음 → 침 흘림 없음 # 불빛은 반응을 억제하므로 CS−
이처럼, 불빛은 반응을 유도하던 자극과 함께 등장했지만, 결과적으로 조건 반응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되었기 때문에, 조건 자극− (CS−)으로 간주됩니다.
📌 핵심 정리
조건 억제란, 개체가 자극 사이의 의미 차이를 학습하여, 특정 자극이 반응을 멈추게 만든다는 점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 3. 조건 억제가 실제로 학습되었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실험자가 어떤 자극을 조건 자극−(CS−)으로 설정했다고 해서, 그 자극이 실제로 억제력을 가지게 되었는지는 별도로 검증되어야 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심리학자들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 실험적 검증 방법을 사용합니다.
1️⃣ 소거 테스트 (Extinction Test)
조건 자극−이 조건 반응을 실제로 억제하고 있는지를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 CS+만 제시한 경우와,
- CS+와 CS−을 함께 제시한 경우의 조건 반응의 크기를 비교합니다.
CS−가 함께 제시되었을 때 반응이 줄어든다면, 그 자극은 실제로 억제력을 지닌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즉, 반응의 ‘감소’를 통해 억제 효과가 현재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실험입니다.
2️⃣ 지연 획득 테스트 (Retardation Test)
과거에 억제 자극(CS−)으로 학습된 자극이, 나중에 흥분 자극(CS+)으로 쉽게 전환되지 않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과거의 CS− 자극을 단독으로 제시하며 먹이를 제공합니다.
- 이 자극이 CS+로 얼마나 빠르게 학습되는지를 관찰합니다.
만약 그 자극이 억제 자극으로 학습되어 있었다면:
- 조건 반응이 형성되기까지 더 많은 반복이 필요하거나,
- 학습이 지연되거나 아예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4. 조건 억제, 핵심 정리
이로써 조건 억제는 단순히 반응이 사라졌다는 관찰로 끝나지 않고, 어떤 자극이 반복된 환경 안에서 ‘하지 말라’는 신호로 학습되며, 그 결과 뇌가 실제로 반응을 억제하는 회로를 활성화하게 된다는 사실을 설명합니다.
'심리학 > 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적 조건화와 면역작용 (0) | 2025.05.10 |
---|---|
고전적조건화: 자극일반화와 자극차별 정리 (0) | 2025.05.10 |
고전적 조건화에서 자발적회복이란? (0) | 2025.05.09 |
고전적 조건화, 습득(acquisition)과 소거(extinction) (0) | 2025.05.08 |
파블로프의 S-S, S-R 이론 정리 (0) | 2025.05.08 |
- Total
- Today
- Yesterday
- stl
- 회계
- 일문따
- c++
- 뇌와행동의기초
- C/C++
- 백준
- 여인권
- 보세사
- 강화학습
- 심리학
- 통계
- 류근관
- 인프런
- 일본어
- 코딩테스트
- 열혈프로그래밍
- K-MOOC
- C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윤성우
- 사회심리학
- 정보처리기사
- 데이터분석
- 오블완
- 통계학
- 파이썬
- Python
- 티스토리챌린지
- 인지부조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