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 어떻게 구분할까?


레몬을 보고 침이 고이거나,
알람 소리를 듣고 손을 뻗어 끄는 행동.
이런 행동들은 모두 학습된 반응입니다.

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이 두 가지 행동을
서로 다른 방식의 학습으로 설명합니다.

하나는 고전적 조건화,
다른 하나는 조작적 조건화입니다.

그렇다면 이 두 학습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 고전적 조건화: 자극이 반응을 만든다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는
특정한 자극이 자동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학습입니다.
우리가 직접 행동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자극에 따라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이 생기는 것입니다.

🧪 예시

  • 레몬을 보면 침이 고입니다.
  • 예전에 시험이 있을 때마다 특정 알람을 들었다면,
    나중엔 그 알람 소리만 들어도 가슴이 철렁하고 긴장될 수 있습니다.

이런 반응은 내가 의식적으로 선택한 것이 아니라
조건화된 자동 반응입니다.

 


📐 고전적 조건화 도식

[레몬 냄새나 모양]  
→ [침이 고임]

📌 자극이 자동으로 반응을 일으킵니다.
침은 내가 흘리고 싶어서 흘리는 것이 아니라,
자극(레몬)에 의해 학습된 반사 반응입니다.


🔵 조작적 조건화: 행동이 결과를 만든다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는
내가 선택한 행동의 결과가 좋거나 나쁨에 따라
그 행동이 더 자주 혹은 덜 일어나는 학습
입니다.

즉, 행동 → 결과 구조이며,
여기서 행동은 내가 선택한 것입니다.

🧪 예시

  • 알람이 울려서 귀가 시끄러우면,
    손을 뻗어 알람을 끕니다.
    그 결과 조용해지고 편안해지면,
    나중에도 알람을 끄는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 학생이 손을 들었을 때 칭찬을 받으면,
    다음에도 손드는 행동이 증가합니다.

📐 조작적 조건화 도식

[알람 소리]  
→ [손을 뻗어 알람을 끔]  
→ [시끄러움이 사라짐 → 행동 강화]

📌 행동은 내가 선택했고,
그 결과가 긍정적이었기 때문에
해당 행동이 반복되어 학습이 일어납니다.


 


🧩 조작적 조건화의 3가지 구성 요소

구성 요소 기능 예시
선행 자극 (S) 행동이 일어날 조건을 제공 알람 소리, 불빛, 시험지 배포
조작 행동 (R) 유기체가 스스로 선택해 수행하는 행동 알람 끄기, 손 들기, 문제 풀기
결과 자극 (S′) 행동 이후 주어지는 결과, 행동의 빈도를 변화시킴 조용해짐, 칭찬 받음, 야단맞음

⚖️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비교 기준 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행동의 성격 자극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반응 유기체가 스스로 선택해서 수행하는 행동
무엇이 먼저 일어나는가? 자극 → 반응 행동 → 결과
결과의 역할 결과는 없어도 반응이 일어남 결과가 행동의 반복 여부를 결정함
대표 예시 레몬을 보면 침이 고인다 알람을 끄면 시끄러움이 사라져서 행동이 강화됨

✅ 마무리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는
모두 학습을 통해 형성된 행동입니다.
하지만 학습이 일어나는 원리와 구조는 전혀 다릅니다.

  • 고전적 조건화는 자극이 자동 반응을 유발하는 학습이고,
  • 조작적 조건화는 내가 한 행동의 결과가 그 행동을 변화시키는 학습입니다.

이 차이를 알고 있으면
강아지 훈련, 학생 지도, 자기 습관 만들기까지
더 효과적으로 행동을 바꾸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