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행동도 멈추기 어렵다? — 행동 모멘텀(Behavioral Momentum)이란 무엇인가
키성열 2025. 6. 3. 01:01반응형
🚂 행동도 멈추기 어렵다? — 행동 모멘텀(Behavioral Momentum)이란 무엇인가
🧠 행동도 ‘관성’이 있다?
우리는 과학 시간에 배웠죠.“움직이는 물체는 계속 움직이려고 한다.”
이걸 운동량(momentum)이라고 해요.
그런데 이 개념이 심리학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걸 아시나요?
심리학자 네빈(Nevin, 1992)은
행동에도 운동량처럼 “모멘텀”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어떤 행동이 오랫동안 반복되고, 강하게 강화되면
그 행동은 쉽게 멈추지 않고, 잘 지속된다는 거예요.
🐦 비둘기 실험으로 보는 행동 모멘텀
🔬 실험 내용 (Nevin, 1974)
- 비둘기들이 버튼을 쪼아서 먹이를 받는 실험이 있었어요.
- 버튼은 초록색일 때도 있고, 빨간색일 때도 있었죠.
- ✔ 초록색 버튼: 시간당 60번 먹이 지급 (많은 보상)
- ✔ 빨간색 버튼: 시간당 20번 먹이 지급 (적은 보상)
그런데 여기서 실험자는 “방해 요소”를 넣습니다.
- 아무 버튼도 안 누르는데 먹이가 그냥 주어지는 상황을 만든 거예요.
- 즉, “공짜 먹이”가 계속 주어지니까, 비둘기들은 버튼을 굳이 누르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된 거죠.
📊 결과는?
- 초록색 버튼: 쪼는 행동이 60% 줄었음
- 빨간색 버튼: 쪼는 행동이 80% 넘게 줄었음
➡ 초록색 버튼 쪼기 행동은 더 많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방해 요소가 있어도 그만큼 쉽게 줄어들지 않았던 것입니다.
즉, 더 강한 행동 모멘텀을 가지고 있었던 거죠.
🧠 행동 모멘텀의 핵심 요약
➡ 강하게, 자주 강화된 행동일수록 쉽게 사라지지 않음!
👨🔬 실험실 밖에서: 실제 적용
✅ 좋은 행동을 유지하고 싶을 때
예를 들어 직장에서,어떤 사람이 업무 시간에 집중해서 일하는 습관을 가졌다면,
그 사람을 꾸준히 강화해줘야 합니다.
- 예: "성과 보상", "칭찬", "승진 기회" 같은 보상(강화)을
업무 시간에만 주면,
그 업무 시간과 행동 사이의 연결고리가 강해지고
→ 그 습관은 오래 유지됩니다.
주변의 방해 요소가 생겨도 쉽게 무너지지 않아요.
이게 바로 행동 모멘텀의 효과입니다.
❌ 나쁜 행동이 다시 나타나는 이유
그렇다면, 나쁜 행동은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예를 들어, 약물 중독 치료를 받은 사람이
치료 센터에서는 깨끗하게 지냈는데,
집에 돌아오자마자 다시 약을 하게 되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왜 그럴까요?
➡ 그 사람이 예전에 약을 했던 환경(동네, 친구들, 습관)은
이미 약물 행동과 강하게 연결된 강화 자극들이었기 때문이에요.
→ 이 환경은 강한 행동 모멘텀을 만들어 낸 것이죠.
그래서 환경은 바뀌지 않았는데,
단지 사람만 치료받고 돌아오면
→ 다시 예전 행동이 “그대로 살아나는” 현상이 벌어집니다.
🔚 결론: 행동도 ‘탄력’이 있다
“오래 반복된 행동은 쉽게 안 멈춘다.”이 말은 단순히 습관이 무섭다는 뜻이 아니라,
강화의 역사(history of reinforcement)가
그 행동을 얼마나 강력하게 만들었는지를 보여주는 말이에요.
✔️ 좋은 행동을 오래 유지하고 싶다면?
→ 일관되고 자주 강화해 주세요.
❗ 나쁜 행동을 고치고 싶다면?
→ 단지 중단하는 것뿐 아니라
→ 그 행동이 연결된 환경 자체를 끊어내야 합니다.
📌 마무리 정리
- 행동 모멘텀은 행동의 저항력과 같음
- 더 자주, 더 강하게 강화된 행동일수록 쉽게 멈추지 않음
- 좋은 습관은 꾸준한 보상으로 강화하고,
- 나쁜 습관은 환경부터 바꾸는 것이 핵심!
📚 참고문헌 (APA 7th Edition)
- Nevin, J. A. (1974). Response strength in multiple schedules.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21(3), 389–408. https://doi.org/10.1901/jeab.1974.21-389
- Nevin, J. A. (1992). An integrative model for the study of behavioral momentum.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57(3), 301–316. https://doi.org/10.1901/jeab.1992.57-301
- Nevin, J. A., & Grace, R. C. (2000). Behavioral momentum: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history on response strength. Behavioral Science. New York: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1-4615-4475-6
- Milo, J., Mace, F. C., & Nevin, J. A. (2010). Behavioral momentum and the relapse of operant behavior. The Behavior Analyst Today, 11(2), 88–96. https://doi.org/10.1037/h0100683
- Podlesnik, C. A., & Shahan, T. A. (2010). Behavioral momentum and relapse of extinguished operant behavior in rats. Journal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 93(2), 225–240. https://doi.org/10.1901/jeab.2010.93-225
반응형
'심리학 > 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강화 후 휴지(postreinforcement pause)의 원인? (0) | 2025.06.04 |
---|---|
인간 vs 동물의 차이:수반성에 따라 조절되는 행동 vs. 말에 따라 조절되는 행동! (0) | 2025.06.03 |
강화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요인 정리! (0) | 2025.06.03 |
스키너의 4가지 강화 계획과 소거(extinction) (2) | 2025.06.01 |
미국 의회와 스키너의 고정간격 강화계획(FI) 행동 패턴! (0) | 2025.06.01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유통관리사
- 데이터분석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코딩테스트
- 인지부조화
- 조건형성
- 행동주의
- 학습심리학
- 회계
- 심리학
- 파이썬
- 윤성우
- K-MOOC
- 물류관리사
- 오블완
- 정보처리기사
- 티스토리챌린지
- 보세사
- C
- 류근관
- 백준
- 통계학
- Python
- 학습이론
- 통계
- 열혈프로그래밍
- 행동심리학
- 강화학습
- 일문따
- 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