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심리학/태도

2. Attitude Extremity

키성열 2024. 2. 15. 19:29
반응형

Robert P. Abelson

Yale university

 

태도의 극단성(attitude extremity)는 보통 자기평가로 측정된다.

두 극단이 있는데,

1) 한 극단은 극단적으로 선호한다

2) 한 극단은 극단적으로 선호하지 않는다.

3) 중립이다.

 

Background

태도에 관해 많은 잘못된 오해들이 있다.

어떤 태도에 대한 태도는 몇 가지 체계를 통해 유지되는데, 예를 들면 공산주의자가 하는 일은 모두 나쁜 일이고 자유주의 국가가 하는 일은 모두 좋은 일이다라는 생각을 갖는 것이다.

이를 hot cognition(Abelsion, 1963)이라 하고, 인지적 불균형(cognitive imbalnce)을 피하려는 전략이고, cold cognition는 이미 만들어진 스크립트대로 사건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후에 태도를 소유물에 비유를 했다. 소유물이나 태도를 잃어버리는 것은 정체성을 바꾼다.

그러나 이러한 비유는 문제점이 있는데, 소유물을 잃어버리면 그 소유물이 자신에게서 없어지지만 태도가 부정적으로 바뀌었다고 해서 태도가 없어진 것은 아니다.

이후에 수학적 모델이 만들어졌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 극단으로 나뉘어진다고 한다.

 

 

 

Processes Leading To Extremification

1) Group polarization

2) insults

3) Thought polarization

4) Expression polarization

5) Belief Polarization

6) Salience of group conflict

7) Social modeling and normatization of extremity

8) The group-in-the-door effect

9) Formation of hard-core subgroups

10) Commitment and suffering

11) Anger as a cue to attributed malevolence

12) Triggered crowed response

13) Perception of a monolithic outgroup

 

Group Polarization

하나의 뚜렷한 현상은 그룹 양극화 효과(group polarization effect, Myers & Lamm, 1976)이다.

비슷한 마음을 가진사람끼리 이슈에 대해 토론을 하면 태도가 더 극단적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전원 합의에 이르려는 사회적 집단의 압박도 있겠지만, 이 결과는 단순한 평균적인 초기값으로 수렴하는 것이 아니다.

만약 10점 척도에서 7점에 위치했다면 토론을 함에 따라 8점으로 그 척도가 옮겨가게 된다.

 

두번째로 자기강화(self-enhancement bias)는 자기 개인을 그 집단에서 더 극단으로 보내려고 하는 것 같다. 자신이 순수한 그 집단의 입장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세번째로 그룹과 다름을 줄이기 위해 순응하려는 것이다. 개념적으로는 좋지만 극단성을 낮게 예측하는 경향이 있다.

 

 

Insults

기존의 태도에 대해 모욕을 받으면 원래의 태도를 더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명시적인 원래 태도의 도전은 원래의 태도를 강화하고 더 저항하게 한다고 한다.

 

Thought Polarization

이미 스키마를 갖고 있다면 그 생각이 더 극단화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축구를 좋아하는 학생이 있다면 그 학생에게 축구 스킬에 대해 생각하게 하면 그 생각은 더 극단화된다. 반면에 여자의 옷에 대해 생각하게 하면 극단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Expression Polarization

평가의 표현을 하는 것이 태도를 극단으로 만든다고 한다

 

Belief Polarization

자신의 기존 의견에 반대되는 증거를 봤을 때, 의견을 받아들이는 것을 꺼렸다.

반대로 일치하는 증거를 봤을 때는 매우 반응이 좋았다.

 

Salience of Group Conflict

그룹의 소속감에 대해 상기시켰을 때, 그룹의 규범에 대한 잘못에 대해 더 저항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한 집단에서 이혼이 잘못이라 여겨질 때, 그 집단에 대핸 소속감을 말해주면 이혼에 대해 더 저항한다.

 

Social Modeling and the Normatization of Extremity

왜 자기강화를 한다면 10점 척도에서 7점에서 8점으로만 갈까? 10점으로 가지 않고?

그 이후는 극단에 있는 것은 사회적으로 적절치 않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또한 방어할 수 있는 믿음이 방어할 수 없는 믿음보다 좋게 여겨진다. 

극단으로 갈수록 방어가 더 어려워진다.

 

하지만 중도의 입장을 가지는 것을 집단의 목표를 성취하는 것을 어렵게한다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다른 편의 말이 맞다고 하는 것은 아마도 배신자로 여겨질 수 있다.

 

The group-in-the-Door Effect

문두드리기 효과는 작은 호의를 들어준 사람은 더 큰 호의도 하게 되어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다른 사람이 요구하거나 다른 호의를 요구해도 말이다.

집단에서도 작은 일에 사인하기 시작하면 좀 더 큰 일을 하게 되어있을 수도 있다.

 

Formation of Hard-Core Subgroups

만약 작은 부탁을 거절하게 된다면, 그 사람은 집단에서 빠지게 될 것이다.

그러면 점차 부탁을 들어주는 사람만 남게되고 더 극단적으로 집단이 나뉠 것이다.

 

Commitment and Suffering

그룹에 헌신하는 것은 양보와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부조화감소를 위해 태도를 유지할 것이다.

 

Anger as a Cue for Attributed Malevolence

인지가 일어나고 감정이 영향을 미치는게 아니라 감정이 일어나고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자신이 길가다가 트럭에 치일뻔 했다면 나쁜 의도로 자신에게 그 행위를 했다고 귀인할 수도 있다.

 

Triggered Crowd Response

사소한 사건으로 감정이 촉발되면 이 감정이 전염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는 결국 더 극단으로 가게 된다.

 

Perception of a Monolithic Outgroup

자신을 한 집단으로 보고 다른 집단의 사람을 그냥 집단으로 보는 것은 그 집단의 특성, 고정관념에 갇히게 한다.

행동의 통일성을 인식하는 것은 극단성을 강조하며 이를 평범한 것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The Joint Operation of Polarizing Processes

위의 13개의 리스트가 어떻게 서로 조화해서 이루어지는가?

 

What Does Extremity Mean, Anyway?

1) Intensity of feeling on the issue

2) Unqualifiedness of issue position

3) Lengths to which the group should go to defend its position

4) Lengths to which the indicidual would go

 

극단에 다다르려면,

1) 무조건적인 행동에 감정적인 부분이 있어야 한다

2) 극단적 행동에 보통화가 있어야 한다. 극단적 행동을 자연스럽게 여긴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