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2.1 Rule based Machin Learning Overview

 

머신러닝의 종류

1) 규칙 기반 접근

2) 전통적 통계 기반 접근

3) 정보 이론 접근

->규칙 기반 기계학습, 의사결정트리, 선형회귀

 

A perfect world for Rule Based Learing

 

관측오류X, 에러X, 모든 정보 제공

목표함수가 정해져있다.

 

sky temp humid wind water forecst enjoyspt
sunny warm normal strong warm same yes
sunny warm high strong warm change yes
rainy cold high strong cool change no

 

Function Approximation

더 나은 함수를 만드는 것-> 머신러닝

어떤 피처에 Yes를 도출하는가?

 

데이터 훈련

가설: >햇빛, 따뜻, 일치, ? ? ?> ->Yes

 

구체적인 것(많은 것이 해당됨)

ex) 햇빛,따듯,일치해야 놀러 나감

일반적인것(적은 것이 해당됨)

ex) 햇빛만 있어도 놀러나감

 

Find-S Algorithm

가설과 피처가 일치하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가설과 피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합집합을 만들어 ?로 표시한다. (둘 중 어떤 것이든 상관 없는 상태)

 

Version Space

가설=version space가 같은 것에서 범위를 찾아내는 것.

 

Progress of Candidate Elimination Algorithm

가장 구체적인 것 - 뭘해도 안 나가는 상황

구장 일반적인 것 - 뭘해도 나가는 상황

 

이 바운더리를 좁혀준다.

 

위의 이론들은 perfect world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현실에서는 에러가 있기 때문에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의사결정트리

이분법적으로 어떨 떄 나가노는지를 고른다.

 

Entropy

불확실성을 나타낸 것.

->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P가 1/2 -> 가장 불확실한 상황, 동등할수록 불확실하다

P가 한쪽으로 치우쳐짐 -> 확실성이 높은 상황

 

H(X)= -∑P(X=x)logbP(X=x)

H(Y|X)​  조건부 확률이다. 특정 상황에서의 불확실성을 뽑는다.

H(X)-H(Y|X)

-> Information gain

일반적 상황에서 특정 상황을 제거한다.

 

 

의사결정 트리의 문제점

-> 기존의 데이터로는 잘 처리하지만,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올 경우에는 잘 적용하지 못한다!

 

 

선형회귀분석

최적의 세타를 찾는 것

 

최소자승합으로 오차를 찾는 것. 공식을 입력하고 싶지만, 블로그의 한계로 실패함

블로그에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을 알면 자세하게 기재하겠음.

반응형

'쓰레기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Probability  (0) 2022.07.15
Chapter 1 한눈에 보는 머신러닝  (0) 2022.03.18
Chapter 1. Motivations and Basics  (0) 2022.03.15
Chapter 09 동기  (0) 2022.03.1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