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1. 부문별 원가회계란?
공장 전체를 ‘부문(部門, Department)’으로 나누고, 각 부문에서 발생한 원가를 별도로 수집한 뒤,
그것을 제품에 배부하여 보다 정확한 제품 제조원가를 계산하는 회계 시스템입니다.
✅ 2. 왜 ‘부문별’로 나눠야 하는가?
🔹 제조업에서는 다양한 부서가 간접비를 사용합니다.
- 예: 기계부, 보수부, 전력부, 검사부, 운반부 등
- 각 부서에서 발생한 비용은 직접 제품에 들어간 게 아니라, → **제조활동을 지원하는 비용(=간접비)**임
- 이걸 단순하게 일괄 평균으로 배부하면 제품 원가가 부정확해짐
🔹 해결 방법: 부문을 쪼개서, 각 부문에서 발생한 비용을 수집하고,
→ 그 부문이 지원한 정도에 따라 정확히 제품에 배부
✅ 3. 부문 구분: 크게 두 가지
구분 설명
보조부문 | 직접 제품 생산은 하지 않지만, 제조부문을 지원함예: 전력부, 수선부, 청소부 |
제조부문 | 실제로 제품 생산과 직접 관련된 부서예: 조립부, 가공부, 검사부 |
→ 보조부문 → 제조부문 → 제품 순서로 원가가 흐름
→ 따라서 보조부문 원가는 먼저 제조부문에 배부한 다음
→ 제조부문 원가를 제품에 배부합니다.
✅ 4. 왜 중요한가? (의의)
🔹 일반적인 원가계산 방식(종합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 등)에서는:
- 간접비를 뭉뚱그려서 배부 → 왜곡 발생 가능
- 예: 가공 제품 A와 B가 있는데, A는 검사부를 많이 쓰고 B는 거의 안 씀
→ 그런데 간접비를 똑같이 배부하면? → A는 원가 과소추정, B는 과대추정됨
🔹 부문별 원가계산을 하면?
- 각 부문에서 실제로 자원(전기, 인력 등)을 얼마나 사용했는지에 따라
→ 원가를 더 정확히 추적하고
→ 제품별 수익성 분석도 더 정밀하게 할 수 있음
✅ 5. 부문별 원가회계의 절차 (Step by Step)
📌 1단계: 부문 구분
→ 공장 내 부서를 보조부문 / 제조부문으로 나눔
📌 2단계: 원가 집계
→ 각 부문별로 재료비, 노무비, 감가상각비 등을 집계
📌 3단계: 보조부문 원가를 제조부문에 배부
→ 사용량, 시간, 면적 등 합리적 기준으로 배분
- 배부 방법에는:
- 직접배부법
- 단계배부법(계단식)
- 상호배부법
- 단순상호배부법
- 복잡상호배부법(수수배부법)
📌 4단계: 제조부문 원가를 제품에 배부
→ 제품이 해당 부문을 얼마나 사용했는지 기준으로 간접비 배부
✅ 6. 실제 사례 예시
📦 예시: 가구 공장
공장에는 다음과 같은 부문이 있다고 가정:
부문명 설명
전력부 | 전체 공장 전기 공급 담당 |
수선부 | 기계 수리 담당 |
조립부 | 원목 가구 조립 |
도장부 | 가구 도장(칠하기) 작업 |
- 전력부 & 수선부 = 보조부문
→ 간접비 발생함 (인건비, 전기료 등) - 조립부 & 도장부 = 제조부문
→ 실제 제품이 만들어지는 부서
원가 흐름:
① 전력부·수선부 원가 → 조립부·도장부로 배부
② 조립부·도장부 원가 → A제품, B제품으로 배부
→ 제품당 제조원가 정확도 향상
✅ 7. 장점과 단점
구분 내용
✅ 장점 | - 제조간접비를 정확하게 배부- 제품 원가의 신뢰도 향상- 부문별 성과 분석 가능 |
❌ 단점 | - 부문 구분, 자료 수집 등 복잡하고 인건비/시간이 소요됨- 중소기업에는 과도한 시스템일 수 있음 |
✅ 8. 비교: 종합원가계산 / 개별원가계산과 차이
구분 종합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 부문별 원가계산
배부 단위 | 제품 종류 | 제조지시서/작업단위 | 부문 → 제품 순서대로 |
간접비 처리 방식 | 단순 평균 배부 | 작업별 배부 | 부문 기준으로 정밀 배부 |
정밀도 | 보통 | 중간 | 가장 정밀한 간접비 배부 |
적합한 기업 유형 | 대량생산 제조업 | 주문생산 제조업 | 대규모, 복잡한 제조업 |
✅ 결론 정리
- 부문별 원가회계란?
→ 공장을 여러 부문으로 나누고, 부문별로 원가를 수집하여
→ 정확하게 간접비를 제품에 배부하는 회계 방식 - 목적:
→ 제조간접비 배부의 정밀성 향상
→ 부문 성과분석 및 제품 수익성 분석 정교화 - 사용 기업:
→ 규모가 크고,
→ 다양한 공정 부서를 가진 복잡한 제조업체
반응형
'자격증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가모형 vs 재평가모형 (0) | 2025.04.07 |
---|---|
내용연수와 잔존가치 (0) | 2025.04.07 |
임대료 vs 임차료, 대여금 vs 차입금 (0) | 2025.04.05 |
당좌차월 (Bank Overdraft) (0) | 2025.04.05 |
시산표(試算表, Trial Balance) (0) | 2025.04.05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조건형성
- 학습심리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인지부조화
- 행동주의
- 물류관리사
- 윤성우
- 파이썬
- 강화학습
- 열혈프로그래밍
- 일문따
- C
- Python
- 심리학
- 회계
- 통계학
- 학습이론
- c++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류근관
- 유통관리사
- 백준
- K-MOOC
- 행동심리학
- 통계
- 정보처리기사
- 보세사
- 코딩테스트
- 데이터분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