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고전적 조건형성에서는 무엇을 배우는가?

🧠 고전적 조건형성에서는 무엇을 배우는가?

Pavlov에서 Rescorla까지 — 연결 이론과 행동실험 이야기




🔷 1. 들어가며: 침 흘리는 개, 그리고 그 이상의 질문

러시아 생리학자 이반 파블로프(Ivan Pavlov) 님은 개에게 음식(US, 무조건자극)을 줄 때마다 종소리(CS, 조건자극)를 들려주었습니다.

처음에는 개가 음식에만 침을 흘렸습니다.
하지만 종소리와 음식의 반복적 결합 후, 음식이 없는데도 종소리만으로 침을 흘리기(CR, 조건반응)를 보였습니다.

질문:
*개는 단순히 "종소리 → 침 흘리기"를 학습한 걸까요?*
*아니면 "종소리가 들리면 음식이 나온다"는 예측 정보를 학습했을까요?*

이 질문이 20세기 학습심리학의 가장 중요한 논쟁을 이끌었습니다.




🔷 2. 파블로프의 뇌 연결 가설 — 자극과 반응을 잇는 다리

조건형성 이전 — 선천적(본능적) 연결

파블로프 님은 행동을 넘어서, 뇌에서 자극과 반응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상상하셨습니다.

조건형성 이전, 모든 개는 음식(US)을 보면 자동적으로 침을 흘립니다.
이 반응은 학습이 필요 없는 본능적 연결입니다.

뇌에는 음식을 감지하는 영역(US 센터)반응을 조절하는 영역(반응 센터)가 있으며,
음식이 감지되면 US 센터가 반응 센터로 신호를 보내 침 흘리기 반응이 발생한다고 생각하셨습니다.

예시:
고기를 보면 자동으로 침을 흘리는 개.

본능적 연결 도식

[US 센터] ————> [반응 센터]  
    음식                  침 흘리기

설명:
이 연결은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며, 학습되지 않아도 발생하는 자연적 반응입니다.




조건형성 이후 — 학습된 새로운 연결

조건형성 훈련 후, 개는 음식 없이 종소리만 듣고 침을 흘립니다.

파블로프 님은 뇌에 새로운 연결이 형성되었다고 상상하셨습니다.
CS 센터(종소리 담당)반응 센터 사이에 학습된 연결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예시:
종소리가 울리면 개는 "이제 곧 음식이 나오겠군" 이라고 예측하게 됩니다.

학습된 연결 도식

[CS 센터] ————> [반응 센터]  
   종소리                 침 흘리기

설명:
훈련을 통해 새롭게 형성된 학습적 연결입니다.




반응형

 


🔷 3. 학습된 연결의 두 가지 이론 — S-R vs S-S

S-R 연결 이론 (Stimulus-Response)

주장:
조건자극(CS)이 직접 조건반응(CR)을 유발합니다.
음식(US)에 대한 생각이나 예측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설명:
종소리(CS)가 반응 센터를 직접 자극하여 침 흘리기(CR)가 발생합니다.

일상 예시:
전화벨 소리를 듣고 깜짝 놀라 손을 드는 반사적 행동.

S-R 연결 도식

[CS 센터] ————> [반응 센터]  
   종소리                침 흘리기

설명:
CS와 CR 사이에 직접 연결이 형성됩니다. 음식에 대한 인지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S-S 연결 이론 (Stimulus-Stimulus)

주장:
조건자극(CS)은 무조건자극(US)에 대한 기대(심상)를 떠올리고, 그 기대가 조건반응(CR)을 유발합니다.

설명:
종소리를 들으면 개는 "음식이 곧 나오겠군" 이라는 기대를 형성하고, 이 기대가 침 흘리기로 이어집니다.

일상 예시:
전자레인지 소리를 듣고 음식이 완성될 것을 예상하며 군침이 돌게 되는 행동.

S-S 연결 도식

[CS 센터] ————> [US 심상] ————> [반응 센터]  
   종소리        음식 기대              침 흘리기

설명:
조건자극이 무조건자극에 대한 기대를 활성화하고, 이 인지가 반응을 유발합니다.




🔷 4. Rescorla(1973) 실험 — 어느 이론이 옳은가?

실험 목적

행동(침 흘리기 빈도)만으로는 S-R 연결과 S-S 연결을 구별할 수 없었습니다.
Rescorla 님은 US(음식)의 가치를 조작했을 때 CR(조건반응)이 변하는지를 확인하여 이론을 검증했습니다.

가설

  • S-S 연결 이론: US 가치가 변하면 CR도 변해야 함.
  • S-R 연결 이론: US 가치 변화와 관계없이 CR 유지.



🔷 5. 실험 설계

독립변수

변수 조작적 정의 수준
US(음식)의 가치 조건형성 후 먹이에 대한 선호도 높음(통제군) / 낮음(가치 저하군)

조작 방법:
가치 저하군: 먹이 섭취 직후 쥐에게 복강 주사(염화리튬, LiCl)를 실시.
먹이에 대한 메스꺼움 조건화 → 선호도 감소.
통제군: 먹이 섭취 후 LiCl 주사 없음 → 선호 유지.




종속변수

변수 조작적 정의 측정 방법
조건반응(CR) CS(소리) 제시 시 먹이공급기 접근 행동 먹이공급기 접근 빈도, 접근 시간 비율




반응형

 


🔷 6. 실험 절차

  • 조건형성 단계: CS(소리) 제시 → 즉시 US(먹이) 제공 (전방조건형성). 반복 훈련으로 소리와 먹이에 대한 기대 연결 형성.
  • US 가치 조작: 가치 저하군 → 먹이 섭취 후 LiCl 주사 → 먹이에 대한 혐오 형성. 통제군 → LiCl 주사 없음 → 선호 유지.
  • CR 측정: CS(소리)만 제시 → 먹이공급기 접근 행동 관찰.



🔷 7. 결과

US 가치가 낮아진 집단은 CS 제시 시 조건반응(CR)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US 가치가 유지된 집단은 CR을 지속적으로 보였습니다.




🔷 8. 해석

S-S 연결 이론 지지: 조건자극(CS)이 무조건자극(US)에 대한 기대(심상)를 활성화합니다. US의 가치가 감소하자 CR도 감소했습니다.

S-R 연결 이론 반박: 만약 S-R 연결이었다면, US 가치 변화에도 CR은 유지되어야 했습니다.




🔷 9. 결론

조건형성은 단순한 자극과 반응의 연결이 아니라, 미래 사건을 예측하는 학습 과정입니다.



🔷 최종 요약 표

구분 연결 방식 실험 결과 해석
S-R 연결 CS → CR 직접 연결 US 가치 변화에도 CR 유지 실험에서 지지되지 않음
S-S 연결 CS → US 기대 → CR US 가치 감소 시 CR 감소 실험에서 지지됨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