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부적처벌: 반응비용(response cost)과 타임아웃(time-out)이란?
키성열 2025. 6. 9. 21:09📘 부적처벌: 반응비용과 타임아웃이란?
아이들이 문제 행동을 할 때, 어떻게 하면 체벌 없이 그 행동을 줄일 수 있을까요?
심리학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적처벌(negative punishment)’이라는 기법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중에서도 실제로 많이 사용되고, 효과가 검증된
두 가지 방법인 반응비용(response cost)과 타임아웃(time-ou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1. 부적처벌이란 무엇인가요?
📌 정의
부적처벌은 나쁜 행동을 했을 때,
그 행동의 결과로 좋은 것을 잃게 하여 그 행동을 줄이는 기법입니다.
즉,
"나쁜 행동을 하면 좋아하는 것을 빼앗긴다"는 방식입니다.
💬 예시
- 아이가 장난을 심하게 침 → 오늘은 TV 금지
- 학생이 규칙을 어김 → 스티커 보상 점수 차감
이처럼, 무언가를 추가로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빼앗는 것이 부적처벌의 핵심입니다.
🪙 2. 반응비용(Response Cost): 보상을 잃게 하기
💡 개념
반응비용은,
좋은 행동을 통해 얻은 보상(예: 점수, 토큰 등)을
나쁜 행동을 할 경우 감점하거나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마치 게임에서 실수하면 점수를 잃는 것과 비슷합니다.
📌 실제 사례 (Donaldson et al., 2014)
-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입니다.
- 아이들은 집중하거나 바르게 행동하면 토큰(체크 표시)을 받았고,
- 소란을 피우면 토큰을 잃었습니다.
- 이 토큰은 나중에 작은 간식으로 교환할 수 있었습니다.
📉 결과:
- 아이들의 문제 행동이 크게 감소했으며,
- 어떤 아이들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 정리하면, 반응비용은 보상 구조 안에서 행동 조절이 가능한 실용적 처벌 방법입니다.
⏱ 3. 타임아웃(Time-Out): 좋은 환경에서 잠시 제외시키기
💡 개념
타임아웃은, 나쁜 행동이 발생했을 때
즐겁고 보상이 있는 환경에서 일정 시간 제외시키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소란을 피웠으니까 체육 시간 잠깐 쉬고 있어.”
처럼 일시적으로 활동에서 분리하는 것이죠.
📌 사례: 저장강박 행동을 보인 뇌 손상 환자의 치료 (Lane et al., 1989)
🧪 연구 배경과 목적
한 뇌 손상 환자는
담배꽁초, 먼지, 종잇조각, 음식, 작은 돌 등을
양말, 속옷, 주머니 등에 숨기며 모으는 행동을 반복했습니다.
이런 행동은 심리학적으로 저장강박 행동(hoarding)이라고 불립니다.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이러한 반복적이고 문제적인 행동을
타임아웃과 긍정적 보상(대체 행동 강화)을 통해 줄일 수 있는가?”
🧪 실험 구조: ABAB 설계
단계 | 내용 | 결과 |
---|---|---|
A (기초선 1) | 아무 개입 없이 행동만 관찰 | 하루 평균 약 10회 저장강박 행동 |
B (처치 1) | 대체 행동(예: 야구카드 수집, 쓰레기 바르게 버리기)에는 보상을 주고, 저장강박 행동 시에는 조용한 장소로 10초간 타임아웃 실시 | 행동 급감 |
A (기초선 2) | 처치 중단. 다시 아무 개입 없이 행동을 관찰 | 행동 증가 |
B (처치 2) | 타임아웃과 보상 체계를 다시 적용 | 행동 점차 감소 → 최종적으로 소멸 |
🕑 이때 사용된 타임아웃 방식은:
문제 행동이 발생하면, 조용한 공간으로 10초간 이동시키는 짧은 격리형 타임아웃입니다.
❓ 그런데 왜 ABAB 설계를 사용했을까요?
단순히 “타임아웃을 했더니 좋아졌다”고만 말하면,
그 결과가 타임아웃 때문인지, 아니면 시간이 지나서 자연스럽게 좋아진 건지, 혹은 다른 요인이 작용한 것인지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ABAB 설계라는 과학적 실험 구조를 사용했습니다.
🎯 ABAB 설계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A (기초선): 원래 행동 수준을 확인
- B (처치): 개입 시작 → 행동이 줄어들면, 효과 가능성 확인
- 다시 A: 개입을 중단 → 행동이 다시 늘어나면, 개입 효과였을 가능성 강화
- 다시 B: 개입 재도입 → 다시 줄어들면, 개입이 원인이라는 인과관계를 입증
✅ 정리하면,
“처치를 하면 행동이 줄고, 중단하면 다시 늘고, 재처치하면 또 줄었다”
→ 이것은 타임아웃과 보상이 효과가 있다는 과학적 증거입니다.
📌 또 다른 사례: 초등학교 체육시간 (White & Bailey, 1990)
- 초등학교 체육시간에 아이들이 자주 산만하고 공격적이었습니다.
- 선생님은 규칙을 만들었어요:
- 문제 행동을 하면 → 운동장에서 빠져나와 3분 동안 대기
- 반복하면 → 자유 놀이 시간 차감 (반응비용)
📉 결과:
문제 행동이 95% 이상 감소했습니다.
🧾 4. 정리: 부적처벌은 "잘 설계하면 효과적이다"
기법 | 핵심 원리 | 예시 |
---|---|---|
반응비용 | 보상된 것을 빼앗아 행동을 줄임 | 점수 차감, 놀이시간 삭감 |
타임아웃 | 즐거운 환경에서 잠시 제외시킴 | 조용한 장소로 10초간 이동 등 |
✅ 이런 처벌 기법들은 체벌 없이도 효과적으로 행동을 조절할 수 있고,
보상 전략과 함께 사용하면 효과는 더욱 강력해집니다.
📎 참고문헌
- Donaldson, DeLeon, Fisher, & Kahng (2014)
- Lane, Wesolowski, & Burke (1989)
- White & Bailey (1990)
'심리학 > 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학습 처벌의 방법: 소거(extinction) (0) | 2025.06.10 |
---|---|
📘 과잉교정(overcorrection): 행동 치료 방법, 강화학습과 처벌! (0) | 2025.06.09 |
전기 자극 처벌(CESS)이란 무엇인가? 적절한 치료인가? (0) | 2025.06.09 |
처벌(punishment)의 필요성. 언제 쓰여야 할까? (0) | 2025.06.09 |
부적처벌(Negative punishment; Omission)이란 무엇인가? - 행동심리학 기초 (1) | 2025.06.09 |
- Total
- Today
- Yesterday
- c++
- 유통관리사
- 코딩테스트
- 오블완
- 회계
- 학습이론
- 통계
- 백준
- 일문따
- 정보처리기사
- 강화학습
- 윤성우
- 열혈프로그래밍
- K-MOOC
- 데이터분석
- 물류관리사
- 보세사
- 행동주의
- 심리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학습심리학
- 통계학
- Python
- 파이썬
- 티스토리챌린지
- 행동심리학
- 조건형성
- 류근관
- 인지부조화
- 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