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투자부동산, 공정가치평가와 손익 반영의 진짜 의미
1. 투자부동산이란 무엇인가?
회계에서 말하는 **투자부동산(Investment Property)**이란,
기업이 자기 사업에 사용하기 위해 보유하는 부동산이 아니라,
임대수익을 얻거나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부동산을 말합니다.
즉, 다음과 같은 목적이라면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합니다:
- 외부에 임대해서 매달 임대료를 받기 위한 건물
- 되팔아서 시세차익을 얻으려는 토지
- 아직 건설 중이지만 임대용으로 계획된 부동산
반대로 본사 사옥이나 공장처럼 직접 사용하는 건물은 투자부동산이 아니라 유형자산입니다.
또한 건설업체가 팔려고 보유 중인 아파트는 재고자산이지 투자부동산이 아닙니다.
2. 투자부동산의 회계처리: 원가모형 vs 공정가치모형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된 자산은 기업이 선택한 회계모형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장부에 반영됩니다.
항목 원가모형 공정가치모형
최초 인식 | 두 모형 모두 취득원가로 인식 | 동일 |
이후 측정 방식 | 감가상각 적용, 손상차손 반영 | 매기말 공정가치로 재평가, 감가상각 없음 |
손익 반영 방식 | 감가상각비·손상차손만 비용처리 | 공정가치 변동 전액을 ‘당기손익’에 인식 |
적용 범위 | K-IFRS 1040 기준 | K-IFRS 1040 기준 |
기업은 이 두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며, 선택한 방식은 동일한 성격의 모든 투자부동산에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3. “공정가치 평가손익을 반영한다”는 말의 정확한 의미
여기서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표현이 하나 있습니다:
“공정가치모형은 공정가치 변동에 따라 손익을 반영한다.”
이건 무슨 뜻일까요?
자산을 처음 샀을 때는 당연히 **자산(투자부동산)**으로 회계처리를 합니다:
(차) 투자부동산 ₩500,000,000
(대) 현금 ₩500,000,000
그런데 공정가치모형을 적용하면, 매기말(분기 말 또는 연말)에 이 자산의 **시장가치(공정가치)**를 다시 평가합니다.
그때 자산의 가치가 달라졌다면, 그 차이를 그냥 무시하지 않고 당기손익으로 바로 반영합니다.
✔ 예시:
- 원래 장부가액이 5억인데
- 공정가치가 6억으로 상승했다면
(차) 투자부동산 ₩100,000,000
(대) 투자부동산평가이익 ₩100,000,000 ← 손익계산서에 반영
반대로 공정가치가 4억으로 하락하면,
(차) 투자부동산평가손실 ₩100,000,000 ← 손익계산서에 반영
(대) 투자부동산 ₩100,000,000
즉, 투자부동산이라는 자산의 장부금액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공정가치 변동분은 이익 또는 손실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4. 공정가치모형을 사용하면 투자부동산이 ‘유형자산’으로 바뀌는가?
아닙니다.
공정가치모형을 사용하더라도 투자부동산은 여전히 ‘투자부동산’으로 인식됩니다.
“공정가치모형 = 투자부동산 → 유형자산으로 바뀐다”는 생각은 오해입니다.
공정가치모형은 단지 자산을 어떤 방식으로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이지,
그 자산이 어떤 분류로 표시되는가의 문제는 아닙니다.
투자부동산의 분류 기준은 단 하나입니다:
“이 자산을 **내가 직접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임대/시세차익을 위해 보유할 것인가?”
→ 이 기준에 따라 유형자산 vs 투자부동산이 갈립니다.
따라서, 공정가치모형을 사용하더라도
→ 자산은 ‘투자부동산’이라는 이름으로 계속 유지됩니다.
5. 투자부동산은 재무제표 상 어디에 표시되는가?
투자부동산은 일반적으로 재무상태표의 비유동자산 항목에 포함되며,
다음과 같이 ‘투자부동산’이라는 독립 계정과목으로 따로 표시됩니다.
✔ 재무상태표 내 자산 구성 예시
[자산]
I. 유동자산
1. 현금및현금성자산
2. 매출채권
3. 재고자산
...
II. 비유동자산
1. **투자부동산**
2. 유형자산
3. 무형자산
4. 기타비유동자산
→ 즉, 투자부동산은 유형자산의 하위 항목이 아니며,
→ 자기만의 계정으로 따로 분리되어 표시됩니다.
✅ 6. 마무리 요약
질문 요약 답변
공정가치모형에서 ‘손익 반영’이란? | 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을 손익계산서에 이익/손실로 반영하는 것 |
공정가치모형을 사용하면 ‘유형자산’이 됨? | ❌ 절대 아님. 자산 분류는 사용 목적에 따라 유지됨 |
투자부동산은 어디에 표시됨? | 비유동자산 항목 중 ‘투자부동산’이라는 별도 항목으로 표시됨 |
'자격증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금전표와 대체전표 (0) | 2025.04.08 |
---|---|
현금흐름표의 직접법과 간접법 (0) | 2025.04.08 |
회계 정보의 질적특성 (0) | 2025.04.07 |
표준원가계산(Standard Costing) (0) | 2025.04.07 |
공정가치모형(Fair Value Model) (0) | 2025.04.07 |
- Total
- Today
- Yesterday
- 백준
- 인프런
- 심리학
- 오블완
- 류근관
- 강화학습
- 열혈프로그래밍
- 정보처리기사
- 일문따
- c++
- C
- 데이터분석
- 뇌와행동의기초
- 통계학
- 윤성우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보세사
- Python
- 회계
- C/C++
- 파이썬
- 코딩테스트
- K-MOOC
- 티스토리챌린지
- 사회심리학
- 여인권
- stl
- 통계
- 인지부조화
- 일본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