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반응형

✅ 현금흐름표란?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일정 기간 동안 현금이 실제로 어떻게 들어오고 나갔는지를 보여주는 재무제표입니다.
다음 세 가지 활동으로 나뉘어 작성됩니다:

  1. 영업활동: 본업에서 발생한 현금 흐름
  2. 투자활동: 설비 투자, 자산 매입·처분 등에서 발생한 현금 흐름
  3. 재무활동: 자본 조달, 차입, 배당 등에서 발생한 현금 흐름

이 중 직접법/간접법은 영업활동 부분에만 적용됩니다.


✅ 직접법과 간접법의 차이

구분 직접법 간접법
기본 개념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직접 나열 당기순이익에서 비현금 항목과 운전자산 변동을 조정
계산 방식 실제로 받은 현금과 실제로 지출한 현금을 각각 표시 당기순이익에 감가상각, 재고변동 등 조정을 더해 현금흐름 도출
정보 제공 고객으로부터 받은 현금, 급여 지급한 현금 등 구체적 정보 회계 이익과 현금흐름의 차이를 보여주는 조정 정보 중심
실무 사용 빈도 상대적으로 낮음 (작성이 복잡) 대부분 기업이 사용
회계 기준 둘 다 허용 (K-IFRS, US-GAAP) 보편적으로 간접법 사용

✅ 예시 비교 (간단한 숫자 예시)

회사 A의 연간 재무정보

  • 매출: 1,000
  • 매출채권 증가: 100
  • 급여비용: 300
  • 감가상각비: 50
  • 당기순이익: 400

✔ 직접법 영업활동 현금흐름

항목 금액
고객으로부터 받은 현금 (매출 - 매출채권 증가) 900
급여로 지급한 현금 (300)
기타 현금지출 없음  
영업활동 현금흐름 600

→ 실제로 받은/지출한 항목만 직접 나열.


✔ 간접법 영업활동 현금흐름

항목 금액
당기순이익 400
감가상각비 (비현금 비용, 가산) +50
매출채권 증가 (운전자산 증가, 차감) -100
영업활동 현금흐름 350

→ 순이익에서 비현금 항목 및 자산/부채 변동을 조정하여 계산.


✅ 왜 간접법을 더 많이 쓸까?

  1. 재무제표 연결이 용이: 당기순이익에서 출발하므로 손익계산서와 연결하기 좋습니다.
  2. 회계이익 vs 현금흐름 차이 파악이 용이: 회계상 이익과 실제 현금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3. 작성 간편: 이미 있는 재무정보로 쉽게 계산 가능.

✅ 실무에서의 형식 비교

🔹 직접법 포맷 예

[영업활동 현금흐름 (직접법)]

+ 고객으로부터 받은 현금
- 공급업체에 지급한 현금
- 종업원에게 지급한 급여
- 지급한 이자
- 납부한 법인세
= 영업활동 현금흐름

🔹 간접법 포맷 예

[영업활동 현금흐름 (간접법)]

당기순이익
+ 감가상각비
+ 유형자산 손상차손
- 매출채권 증가
+ 매입채무 증가
...
= 영업활동 현금흐름

✅ 핵심 요약

항목 직접법 간접법
계산 방식 현금 수입/지출을 그대로 나열 순이익에서 조정항목을 더하고 빼는 방식
대표 항목 고객 현금 수취액, 급여 지급액 등 감가상각, 운전자산 변동 등
실무 사용 적음 매우 흔함
장점 현금흐름이 더 직관적임 순이익과 현금흐름 차이를 설명하기 좋음

반응형

'자격증 >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  (1) 2025.04.08
출금전표와 대체전표  (0) 2025.04.08
투자부동산이란?  (0) 2025.04.07
회계 정보의 질적특성  (0) 2025.04.07
표준원가계산(Standard Costing)  (0) 2025.04.0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