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당좌예금이란? 포함/제외 예금 완전 정리

회계나 재무관리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인 당좌예금. 하지만 실무에서는 무엇이 포함되고, 무엇이 제외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당좌예금의 정의, 포함 기준, 예시, 실무 적용

✅ 당좌예금의 정의

당좌예금(Cash in Bank)이란, 기업이 은행에 개설한 예금 중 수표 발행이 가능하고 자유로운 인출이 가능한 예금을 말합니다. 즉, 유동성이 매우 높아 현금과 거의 동일한 자산으로 간주되며, 재무상태표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 항목에 포함됩니다.

  • ✔ 수표 발행 가능
  • ✔ 만기 없이 언제든지 인출 가능 (요구불예금)
  • ✔ 일반적으로 이자 발생 없음
  • ✔ 기업 운영자금으로 즉시 활용 가능
🧭 당좌예금 포함 기준

당좌예금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수표 발행 가능성: 당좌수표, 자기앞수표 등으로 지급 가능
  • 인출 자유: 은행 창구나 온라인에서 제한 없이 인출 가능
  • 요구불 예금: 만기 없이 필요 시마다 자금 인출 가능
  • 기업 명의: 개인 명의 계좌는 제외
📋 당좌예금 포함 항목 정리
예금 종류 당좌예금 여부 이유
당좌예금 통장 포함 수표 발행 및 인출 자유
보통예금 통장 포함 입출금 자유, 수표는 제한적이나 운용 가능
자기앞수표 (입금 완료된 경우) 포함 유동성 확보됨
외화 당좌예금 포함 조건 충족 시 포함 가능 (단, 환산 필요)
결제 계좌 (POS 연결 통장 등) 포함 입금 즉시 자금 활용 가능
🧠 회계처리 시 참고사항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항목에 포함됩니다.
  • 은행계정조정표 작성 시 기준 계정으로 사용됩니다.
  • 기말잔액 조정 시, 회사장부 기준으로 조정합니다.
✅ 요약

당좌예금은 단순히 “은행에 있는 돈”이 아니라, 즉시 자금 운용 가능성, 수표 발행, 유동성 확보라는 요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기예금, 적금, CD(양도성 예금증서) 등은 포함되지 않으며, 보통예금, 당좌예금, 자기앞수표 등 유동성이 확보된 예금만 포함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