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수익 인식: 시점기준 vs 진행기준
📘 수익 인식 기준: 시점기준 vs 진행기준
✅ 철학적 차이
구분 시점기준 진행기준
핵심 개념 통제권이 한 번에 이전되는 시점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전
수행의무 일회성 이행 지속적 이행
수익 인식 전액 일괄 인식 진행률만큼 분할 인식
적용 예시 상품 판매, 납품 건설공사, 맞춤형 시스템 개발
✅ 시점기준: 적용 사례 vs 제외 사례
구분 사례 판단
✔️ 적용 소매점 완제품 판매 인도 시 통제권 이전
✔️ 적용 창고 출고 납품 완료 위험·보상·통제 모두 이전
❌ 제외 연간 유지보수 계약 고객이 기간 중 지속적 서비스 제공 받음
❌ 제외 재화는 인도되지 않고 선급금만 수취 수익 인식 요건 불충족 (수익 아님)
✅ 진행기준: 적용 사례 vs 제외 사례
구분 사례 판단
✔️ 적용 고객 부지에서 건설공사 수행 고객 자산에 직접 작업, 통제권 존재
✔️ 적용 고객 맞춤형 ERP 시스템 개발 전용 불가 자산 + 계약상 지급 권리
❌ 제외 표준 소프트웨어 패키지 CD 납품 단순 인도형 거래, 시점기준
❌ 제외 1회성 광고 게재 성과가 단일 시점에서 발생
✅ 적용 기준 요약
판단 기준 시점기준 적용 진행기준 적용
통제권 이전 시점 한 번에 이전됨 점진적으로 이전됨
수혜 소비 방식 결과를 일시에 소비 지속적으로 소비 또는 자산에 통제 있음
자산의 전용 가능성 다른 고객에게도 사용 가능 전용 불가한 맞춤형 자산
수익 측정 방식 전체 수익 일괄 인식 진행률(원가투입률 등)로 분할 인식
✅ 오해하기 쉬운 사례 정리
  • 할부판매: 시점기준 + 이자수익 분리 (재화는 인도 시 수익 인식)
  • SaaS형 클라우드: 진행기준 (고객이 시간에 걸쳐 가치 소비)
  • 로열티수익: 계약조건에 따라 시점 또는 기간 기준 판단 필요
  • 1년치 광고 대행: 진행기준 (시간 경과에 따라 수익 발생)
✅ 마무리 요약

수익 인식은 단순히 언제 돈을 받았는가가 아니라, 고객에게 가치가 언제 얼마나 이전되었는가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회계기준은 이를 통제권 이전 시점 또는 이행 비율로 나누어 정리하며, 기업은 그 판단에 따라 신중하고 정교한 회계처리를 해야 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