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격증/회계

수익의 인식 기준

키성열 2025. 4. 12. 13:59
반응형
수익의 인식 기준
📘 수익의 인식 기준

회계에서 수익이란 단순히 현금을 받는 것이 아니라, 고객에게 재화나 서비스를 이전함으로써 기업이 얻게 되는 자산의 증가 또는 부채의 감소입니다. 수익 인식은 언제 얼마만큼의 수익을 기록할지를 결정하며, 이는 회사의 실적을 구성하는 핵심 기준이 됩니다.

✅ 수익 인식 5단계 모델 (IFRS 15)
  • ① 계약 식별: 고객과 명확한 계약 체결
  • ② 수행의무 식별: 이전해야 할 재화나 서비스 항목을 구분
  • ③ 거래가격 결정: 고객으로부터 받을 대가 측정
  • ④ 거래가격 배분: 여러 수행의무가 있다면 각 항목에 가격 배분
  • ⑤ 수익 인식: 수행의무가 이행될 때 수익을 인식
✅ 수익 인식 시점의 두 가지 방식
방식 기준 설명 예시
시점기준 Point in time 재화 또는 서비스가 일시에 이전될 때 수익 인식 상품 판매, 기계 납품
진행기준 Over time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이전되며, 일정 비율로 수익 분할 인식 건설공사, 장기 유지보수 계약, 맞춤형 개발
✅ 진행기준이 적용되는 조건 (택1)
  • 고객이 동시에 서비스를 소비하는 경우 (예: 광고 대행)
  • 고객이 통제하는 자산 위에서 작업하는 경우 (예: 고객 부지에 건물 건설)
  • 제작 중인 자산이 다른 고객에게 이전 불가 + 지급 권리가 있는 경우
✅ 진행률 측정 방법
측정 기준 설명
원가 투입률 총 예상원가 대비 현재까지 발생한 원가 비율
작업 완료 비율 총 작업량 중 현재 완료된 작업 비율
시간 경과 기준 계약 기간 중 경과된 시간 비율
✅ 예시: ERP 시스템 개발

- 계약금액: 100,000,000원
- 총 개발기간: 10개월
- 현재 5개월 경과, 원가투입률도 50%
→ 수익 인식액 = 100,000,000 × 50% = 50,000,000원

(차) 계약자산 or 미수금 50,000,000 (대) 수익 50,000,000
✅ 수익 인식 방식 비교 요약
항목 시점기준 진행기준
수익 인식 시점 고객이 통제권을 획득한 시점 진행률만큼 수익 점진적 인식
수익 인식 기준 재화 이전 중심 수행의무 이행 비율
관련 업종 소매, 제조, 도매 등 건설, 시스템개발, B2B 맞춤 계약 등
대표 계정 매출, 매출채권 계약자산, 계약부채, 수익
수익 발생기준 vs 진행기준 보기
✅ 마무리

수익 인식은 단순히 “돈을 받았는가?”가 아니라, 고객에게 이전한 가치가 실제로 이행되었는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이를 통해 회계정보는 기업의 실질 성과를 정확히 반영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