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객체 잘림(Object Slicing)이란?✅ 1️⃣ 한 줄 정의객체 잘림(Object Slicing)이란, 자식 클래스 객체를 부모 클래스 타입으로 값 복사할 때, 자식 클래스 고유의 데이터나 기능이 잘려나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2️⃣ 왜 잘리는가?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상속받고, 그 위에 자기만의 고유 기능을 추가합니다.그래서 메모리 구조상 자식 클래스 객체는 부모보다 큽니다.하지만 자식 객체를 부모 타입 변수에 값 복사하면,복사되는 대상(부모 변수)의 크기만큼만 담을 수 있기 때문에자식 고유 부분은 잘려나가고 복사되지 않습니다.📦 객체 잘림의 메모리 시각화[ 자식 클래스 객체 (원본) ] ┌────────────────────────┐ │ 부모 클래스 부분 │ ──..
✅ C++에서의 다이아몬드 상속 문제란?✅ 1. 다이아몬드 상속 구조란? (개발자의 기대)다이아몬드 상속(diamond inheritance)은하나의 부모 클래스를 두 자식 클래스가 각각 상속받고,그 둘을 다시 하나의 클래스가 상속하는 구조를 말합니다.class A { /* ... */ };class B : public A { /* ... */ };class C : public A { /* ... */ };class D : public B, public C { /* ... */ };이 계층 구조는 다음과 같이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A / \ B C \ / D🧭 프로그래머의 기대프로그래머는 종종 A에 공통 기능이 들어 있고,B와 C는 각각 A의 기능을 물..
✅ 인터페이스 클래스란?🔷 정의인터페이스 클래스(interface class)란, 오직 순수 가상 함수만으로 구성된 추상 클래스입니다.C++에는 Java처럼 interface라는 키워드는 없지만,순수 가상 함수만 포함된 클래스를 인터페이스 클래스라고 부릅니다. 2025.05.04 - [프로그래밍/홍정모의 따라배우는 C++] - 추상 클래스 (Abstract Class)란 무엇인가? 추상 클래스 (Abstract Class)란 무엇인가?순수 가상함수의 배경지식2025.05.04 - [프로그래밍/홍정모의 따라배우는 C++] - 순수 가상 함수 (Pure Virtual Function)란? 순수 가상 함수 (Pure Virtual Function)란?✅ 순수 가상 함수 (Pure Virtual Funct..
순수 가상함수의 배경지식2025.05.04 - [프로그래밍/홍정모의 따라배우는 C++] - 순수 가상 함수 (Pure Virtual Function)란? 순수 가상 함수 (Pure Virtual Function)란?✅ 순수 가상 함수 (Pure Virtual Function) – 완전 정리🔷 1. 정의순수 가상 함수(pure virtual function)는 부모 클래스에서 선언만 하고 구현하지 않는 가상 함수입니다.이러한 함수를 가진 클래스는 추상eunjin123123.tistory.com ✅ 추상 클래스 (Abstract Class) – 완전 구조적 설명🔷 1. 정의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는 하나 이상의 순수 가상 함수(pure virtual function)를 포함하는 클래스입니..
✅ 순수 가상 함수 (Pure Virtual Function) – 완전 정리🔷 1. 정의순수 가상 함수(pure virtual function)는 부모 클래스에서 선언만 하고 구현하지 않는 가상 함수입니다.이러한 함수를 가진 클래스는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가 되며, 이 추상 클래스는 직접 객체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목적 공통된 인터페이스를 부모 클래스에 정의하여 자식 클래스에서 동일한 함수 시그니처를 강제합니다. 다형성(polymorphism)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여줍니다. 개발자의 실수를 방지하고 코드 구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선언 방법virtual 반환형 함수이름(매개변수) = 0;✔️ 예시virtual void ma..
📘 Chapter 2 요약: 선천 행동 패턴과 습관화 (*Innate Behavior Patterns and Habituation*)🎯 학습 목표 개요 목표지향 시스템(goal-directed systems)의 구조 이해 선천 행동 유형 분류 및 예시 구분 인간의 선천적 능력과 경향 이해 습관화(habituation)의 정의와 일반 원리 설명 습관화의 신경 생리학적 기전 이해 정서 습관화를 설명하는 Opponent-Process Theory의 구조 파악🧠 목표지향 시스템과 통제 이론 (Control Systems Theory)생물의 행동은 우연이 아니라 환경 자극에 따른 목적 지향적 반응(goal-directed responses)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장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Co..
🔷 감정은 왜 반복될수록 다르게 느껴질까?✅ 감정은 왜 처음처럼 유지되지 않을까?심리학자 Richard Solomon과 John Corbit는 1974년에 독특한 감정 이론을 제안하였습니다.그들은 이렇게 질문하였습니다:“왜 처음에 강렬했던 감정은 시간이 지나면 줄어들고,자극이 사라진 뒤에는 전혀 다른 감정이 생길까?”이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실제로 우리가 경험하는 감정의 시간적 흐름과 반전 현상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 출발점: 감정은 왜 반대 감정을 불러올까요?예를 들어 보겠습니다.어떤 학생이 매우 어려운 시험을 보고 나서, 기대하지 않았는데 A− 성적을 받았다고 상상해봅니다. 처음엔 엄청난 기쁨과 흥분이 몰려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감정은 차분한 만족감으로 바뀝니다. 다음 날 성적..
🧭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란?소프트웨어의 변화와 혼란을 통제하는 핵심 도구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다 보면 이런 일이 흔히 벌어집니다."어? 이 기능 어제까지 잘 됐는데 갑자기 안 돼요!""누가 코드 수정했어요?""최신 버전이 뭔가요?""문서랑 실제 코드가 다르네요..."이런 혼란과 오류를 막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입니다.🧩 1. 형상 관리란 무엇인가요?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란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코드, 문서, 설계 등)의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무엇이, 언제, 왜,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추적하고 통제하는 과정"입니..
- Total
- Today
- Yesterday
- 오블완
- c++
- 일문따
- 류근관
- 백준
- 티스토리챌린지
- 인프런
- 데이터분석
- 통계
- 사회심리학
- 통계학
- 코딩테스트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C/C++
- 회계
- 뇌와행동의기초
- 인지부조화
- 보세사
- 일본어
- 여인권
- Python
- C
- K-MOOC
- stl
- 강화학습
- 파이썬
- 윤성우
- 정보처리기사
- 심리학
- 열혈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