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습관화란?습관화(habituation)는 반복되는 자극에 대해 생물체가 점차 반응을 줄이는 학습 현상입니다.이 현상은 인간뿐 아니라 다양한 동물 종, 심지어 단세포 생물에서도 관찰되며,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학습 형태로 간주됩니다.자극이 계속해서 반복되면, 생물체는 ‘이건 더 이상 반응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고 반응을 줄이는 것입니다.🔍 예시새로 산 냉장고의 웅웅거리는 소리가 처음엔 꽤 거슬릴 수 있습니다.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어느새 그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처럼 느껴집니다.이건 소리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뇌가 그 자극에 더 이상 주의를 기울이지 않도록 학습한 결과입니다.새로운 자극이 등장하면 우리는 고개를 돌리거나, 귀를 기울이거나, 눈을 크게 뜨는 등의 주의 반응을 보입니다.이러한 ..
🧠 생물의 행동은 왜 순서대로 일어나는가?🔷 고정 행동 패턴과 반응 사슬, 그 구조를 이해한다🔷 1. 행동 연쇄란 무엇인가아침에 일어나는 순간부터 우리 몸은 하나의 순서를 따릅니다.눈을 뜨고, 이불을 걷고, 세수를 하고, 옷을 입고, 밥을 먹는 과정은서로 다른 행동들이지만 늘 일정한 흐름을 따라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입니다.이때 행동 하나하나는 독립적이지만,그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것은 행동들이 연결되는 방식입니다.만약 순서가 어긋나거나 빠진다면, 전체 행동의 목적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세수보다 옷을 먼저 입는다면 불편하고,밥을 먹고 이를 닦지 않는다면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겠지요.이처럼 생명체의 행동은 단지 ‘무엇을 했는가’보다‘어떤 순서로 했는가’가 더 중요할 때가 많습니다.심리학과 행동생물학..
🧠 굴성(Tropism): 방향 없이 움직일 수는 없다📍 1. 굴성이란 무엇인가 — 자극이 이끄는 자동 행동생명체는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특히 빛, 중력, 냄새, 온도처럼 방향성이 있는 자극에 대해,생물은 자주 특정한 방향으로 몸 전체를 움직이는 행동을 보입니다.이런 반응을 과학에서는 ‘굴성(Tropism)’이라고 부릅니다.굴성이란, 외부 자극이 특정 방향성을 가질 때,생물체가 이에 따라 자동으로 전체 몸을 움직이는 비의식적 반응을 말합니다.이 정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이 반응이 생물의 의식적 판단 없이 자동으로 일어난다는 것입니다.즉, 자극이 존재하면 항상 일정한 방식으로 반복되는 반응이라는 뜻입니다.이 개념은 자크 뢰브(Jacques Loeb)에 의해 1900년에 과학적으로 정립됩니다.그는..
⚡ 반사: 생존을 위한 가장 빠른 행동— 자동 반응으로 생명을 지키는 신경 시스템의 시작🧩 1. 반사란 무엇인가?반사(reflex)는특정한 자극이 주어졌을 때 항상 같은 반응이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자동 행동입니다.이 반응은 학습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극이 주어지면 무의식적으로 발생합니다.예를 들어, 무릎 아래를 두드리면 다리가 자동으로 튀어나오고 갑자기 밝은 빛이 들어오면 눈을 깜빡이며 손이 뜨거운 것에 닿으면 생각할 겨를도 없이 바로 떼게 됩니다.반사는 생명체가 위협적인 자극에 신속히 반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가장 기본적이고 본능적인 신경 회로입니다.❗ 왜 반사가 필요한가?생명체는 외부 환경의 위협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면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뇌가 생각하고 판단하는 데는 시간이..
🔷 동물은 왜 목표를 향해 행동할까?✅ 제어 시스템 이론으로 본 생물의 자기 조절 구조📌 목표 지향 행동이란 무엇인가?목표 지향 행동은생명체가 현재 상태와 이상적인 상태(목표)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고,그 차이를 줄이기 위해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는 과정을 말합니다.이 행동은 다음의 특징을 가집니다: 외부 자극 없이도 시작될 수 있으며 행동의 방향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고 목표에 도달하면 정확히 중단됩니다.“동물의 행동은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스스로의 상태를 조절하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체계적 구조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강아지가 목이 마르면,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물 그릇이 있는 곳으로 움직입니다.물이 보이지 않더라도 물이 있는 방향을 기억하고 찾아가며,물을 마신 후에는 다시 ..
🔷 기억은 어떻게 뇌에 남는가?― 학습을 실현하는 세 가지 신경과학적 메커니즘과 그 증거✅ 0. 서론학습은 행동의 변화다. 하지만 그 변화는 뇌 어디에 남는가?우리는 매일 새로운 것을 배웁니다.익숙하지 않던 행동이 반복을 통해 익숙해지고,기억하지 못했던 정보가 어느 순간 떠오릅니다.이 모든 변화는 겉보기에 행동의 변화로 나타납니다.하지만 신경과학은 한 걸음 더 들어갑니다:그 변화는 뇌 안 어디에 남는가?뇌는 그 경험을 어떻게 기억하고, 다음 반응을 바꾸는가?학습이란 뇌의 어느 구조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밝히는 것은심리학뿐 아니라 신경과학의 핵심 질문이 되어 왔습니다.그리고 과학은 지금,그 질문에 점점 더 구체적으로 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학습은 뇌를 어떻게 바꾸는가― 세 가지 신경..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프런
- 일본어
- C
- 통계학
- 심리학
- 윤성우
- 사회심리학
- 코딩테스트
- 데이터분석
- C/C++
- 백준
- stl
- 보세사
- K-MOOC
- 티스토리챌린지
- 여인권
- 파이썬
- 회계
- 통계
- 일문따
- 뇌와행동의기초
- 인지부조화
- 강화학습
- Python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정보처리기사
- 류근관
- c++
- 열혈프로그래밍
- 오블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