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료라는 것은 한 가지 시점이 아니라 두 가지 시점에 대한 이야기다. 한국어에는 이 개념이 없기에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한국인에게는 이해하기 쉽지가 않다. 우리는 이러한 그림을 많이 봐왔을 것이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 계속됨을 의미한다. 이런 류의 말을 들어왔을 것이다. 물론 그것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좀 더 완료에 대해 알아보자면, 완료는 '불특정성', 단순시제는 '특정성'이 있다고 보면 된다. I saw him 나는 그를 봤어. I have seen him 나는 그를 본 적이 있어 둘다 과거에 그를 봤다는 의미는 같고, 실제로 둘을 혼용해서 쓴다. 그러나 학술적으로 좀 더 따져본다면, 위에 것은 어떤 날에 그를 봤다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거는 언젠지 모르는데 특정 기간 동안 본 적이 있다..

진행시제와 진행시제가 아닌 것의 차이는 우리는 이전에 봤다. What do you do? what are you doing? 위에 것은 직업이 뭐야? 아래 것은 뭐하고 있어? 일반 시제는 평소, 일반적인 내용을 나타낸다면, 진행형은 '일시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평소 알듯이 지금 진행되고 있다고 이해를 하면 편하다. 진행형에서 현재진행/과거진행/미래진행을 다루는 것은 큰 의미는 없을 것이다. 현재에 하고 있는 것, 과거에 하고 있는 것, 미래에 하고 있을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진행동사로 쓰지 않는 '동사'이다. 동사에는 동작동사와 상태동사가 있는데, 동작동사에만 진행을 사용한다. ex) I am playing football (나는 축구를 한다) play라는 동삭는 명백히 ..
시제 시제라는 것은 시간 표현에 따라 '동사'가 바뀌는 것이다. 시간 표현은 보통 시간 부사어구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보자. 다음 중 시제가 틀린 문장을 찾으시오. 1) I eat a hamburger 2) I ate a hamburger 3) I will eat a hamburger 답을 골랐는가? 그렇다. 정답은 틀린 문장은 없다. 그럼 이 문장에서는 틀린 문장을 찾을 수 있을까? 1) I eat a hamburger yesterday 2) I ate a hamburger tomorrow 3) I will eat a hamburger a month ago 세 문장은 모두 틀렸다. 첫 문장에서 단지 시점을 나타내는 부사구 추가됐을 뿐이다. 영문법 문제를 본다면 적절한 시간부사어구와 시제(동사의 형..
A. 현재완료 진행을 최근이나 말하는 시점까지 진행중인 활동을 표현할 때 쓴다. 진행형은 동작, 그리고 종결되지 않은 것이 중요하다. 동작이 아닌 상태와는 쓰이지 않는 것이 기본이다. Have you been working in the garden all day? She's been writing the book since she was in her twenties and at last it's finished work아 write는 모두 동작동사이다. 이럴 때는 진행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태동사에는 쓰지 않는다. (belong, know, dislike) Have you known each other long? 안다는 동작을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진행을 쓰지 않는다. 알고 있는 중이다 = 알다..
A. 이야기에서는 첫 번째의 말만 진행형 쓰고 그 이후부터는 현재형을 쓴다. ex) This man's playing golf when a kangaroo bounds up to him, grabs his club and hits his ball about half a mile 이야기에서는 짧게 쓰는 것이 이야기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형을 쓴다. 배경은 진행형으로 쓰고, 연속된 동작은 단순형으로 쓴다. all of a sudden이나 suddenly다음에 과거시제와 더불어서 현재형을 쓸 수 있다. 현재형은 사건을 강조한다. I was sitting in the park, reading a newspaper, when all of a sudden this dog jumps at me B. ..
Unit1 Present continuous and present simple1 A. state verb(상태동사) We can use the present continuous to emphasise that a situation is temporary or for a period of time around the rpesent. ex) attract, like, look, sound, believe, consist of etc 일시적인 상황을 강조할 때 쓰인다. The children love having her here. The children are loving having here. 이 두 예문의 차이에서 알아야 할 점은 단순시제와 진행시제의 차이에 있다. 현재라는 것은 지금 일어나는 일을 가리키..
- Total
- Today
- Yesterday
- 데이터분석
- 열혈프로그래밍
- 보세사
- K-MOOC
- c++
- 인프런
- 통계학
- 강화학습
- 코딩테스트
- 윤성우
- 일문따
- 류근관
- stl
- 일본어
- 정보처리기사
- 오블완
- 사회심리학
- 티스토리챌린지
- C
- 회계
- 인지부조화
- 뇌와행동의기초
- 통계
- Python
- 파이썬
- C/C++
- 백준
- 여인권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심리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