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자산이란 무엇인가?✅ 금융자산의 정의금융자산(Financial Assets)이란 기업이 보유한 자산 중에서 현금 또는 타인으로부터 현금을 받을 권리돈이거나 돈 받을 권리가 있는 것✅ 회계 기준에 따른 정의국제회계기준(IFRS 9)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자산이 금융자산으로 분류됩니다: 금융자산에 해당하는 항목 ① 현금 ② 타인에 대한 현금 수취 권리 (예: 외상매출금, 대여금) ③ 주식, 채권 등 지분상품 또는 채무상품 ④ 금융상품을 통한 현금흐름 또는 지분상품의 취득 권리 (예: 옵션 등) ✅ 대표적인 금융자산 예시 계정과목 금융자산 해당 여부 설명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해당 그 자체로 ..
📘 순액과 총액의 차이란 무엇인가?✅ 기본 개념 정의 용어 정의 총액(Gross) 관련 항목을 조정 없이 전부 표시한 금액. 예: 수익 전체, 비용 전체, 자산 전체 등 순액(Net) 총액에서 관련 차감 항목을 뺀 나머지 금액. 예: 수익 – 비용, 자산 – 감가상각 등 ✅ 왜 구분이 중요한가?회계정보는 이해가능성과 비교가능성이 중요합니다. 기업이 어떤 정보를 총액으로 표시하느냐, 순액으로 표시하느냐에 따라 재무제표의 숫자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따라서 회계기준에서는 “총액표시가 원칙”이지만, 특정 요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순액표시”를 허용합니다. ✅ 대표적인 비교 예시들🔷 1. 매출총액 vs 순매출액 항목 설명 수식 ..
📘 기타의 대손상각비란 무엇인가?회계에서 대손상각비는 익숙한 용어입니다. 하지만 이와 유사한 계정명인 **“기타의 대손상각비”**는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기타의 대손상각비”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며, 왜 별도로 존재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대손상각비란?먼저 대손상각비의 본질부터 정리하겠습니다.대손상각비란 회수가 불가능한 채권에 대해 손실을 인식할 때 사용하는 비용 계정입니다.대표적으로는 외상매출금, 받을어음과 같이 매출채권이 회수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예시:차변: 대손상각비 1,000,000대변: 대손충당금 1,000,000이때의 대손상각비는 손익계산서상 비용이며, 대손충당금은 자산 차감계정입니다.✅ 그렇다면 “기타의 대손상각비”란?이제 핵심으로 들어갑니다.“기타의..
🔄 2.5 Tracking a Nonstationary Problem— 환경이 바뀐다면, 과거를 믿을 수 없다 1. 지금까지는, 환경이 고정되어 있다는 가정앞선 2.4절에서는 다음 수식을 사용했습니다:\( Q_{n+1} = Q_n + \frac{1}{n+1}(R_{n+1} - Q_n) \)이 수식은 매우 효율적입니다. 과거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아도 되고, 계산량도 적습니다.하지만 이 수식은 중대한 전제 하나를 깔고 있습니다:환경은 정상적(stationary)이다. 즉, 시간에 따라 보상 분포는 변하지 않는다. 2. 현실은 그렇게 고정되어 있지 않다많은 실제 환경에서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행동의 결과가 달라집니다.광고 클릭률은 계절이나 유행에 따라 달라지고슬롯머신의 기계 성능은 오래될수록 저하되..
🔁 2.4 Incremental Implementation — 왜, 어떻게 점진적으로 배우는가?1. 평균은 좋은 추정 방식이다. 하지만... 강화학습에서 기계는 행동의 ‘좋고 나쁨’을 평가하기 위해 그 행동을 여러 번 했을 때 받은 보상들의 평균을 사용합니다.예를 들어 어떤 행동을 다섯 번 수행해 보상으로 3점, 6점, 5점, 4점, 2점을 받았다면, 그 평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Q_5 = \frac{3 + 6 + 5 + 4 + 2}{5} = \frac{20}{5} = 4 \)이제 여섯 번째 시도에서 7점을 받았다면:\( Q_6 = \frac{3 + 6 + 5 + 4 + 2 + 7}{6} = \frac{27}{6} = 4.5 \)이 계산을 하려면 기계는 과거의 모든 보상을 저장해야 합니다. ..
🎰 강화학습은 왜 실패를 허용해야 하는가?— 시행착오를 통해 배우는 선택, 가치, 전략의 원리우리는 날마다 정답이 없는 선택을 합니다점심시간, 늘 가던 식당에 갈지,새로 생긴 파스타집에 도전해볼지.유튜브 추천 영상 중 친숙한 채널을 고를지,처음 보는 썸네일을 눌러볼지.이런 선택에는 정해진 답이 없습니다.결과를 미리 알 수 없고,선택한 뒤에야 좋았는지 나빴는지를 알게 됩니다.강화학습은 바로 이런 구조—“결과를 통해 더 나은 행동을 학습하는 구조”를기계가 따르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1. 아무 정보 없이 보상을 최대화할 수 있을까?강화학습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여러 개의 선택지 중에서 반복된 시도를 통해가장 좋은 선택을 찾아내는 것입니다.이 구조를 k-armed bandit 문제라고 부릅니다.2. 슬롯머신 ..
📘 강화학습이란 무엇인가― 인간처럼 배우는 기계를 향한 첫걸음🧠 우리는 어떻게 배우는가?아이가 처음 숟가락을 쥐고 밥을 먹을 때,그 누구도 정답을 알려주지 않는다.다만 반복하며 행동하고, 결과를 보고, 스스로 개선할 뿐이다.이처럼 인간은 경험을 통해 배우며 성장한다.이러한 학습 방식은 단순한 정답 매칭이 아니다.우리는 행동하고 → 결과를 보고 → 다음 행동을 바꾸며세상 속에서 배우는 존재다.이것이 바로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모방하려는 구조이다.❓ 기존 학습 방식은 왜 부족한가?기계학습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지도학습: 정답이 있는 문제에서 학습한다.비지도학습: 데이터의 구조를 찾아낸다.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들은 어떠한가?로봇이 방을 청소할 때, 가장..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프런
- 사회심리학
- 데이터분석
- 정보처리기사
- 코딩테스트
- 인지부조화
- EBS
- 윤성우
- Python
- 오블완
- 파이썬
- C
- 티스토리챌린지
- 백준
- 류근관
- 보세사
- c++
- K-MOOC
- 일문따
- C/C++
- 여인권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회계
- 일본어
- jlpt
- 심리학
- 뇌와행동의기초
- stl
- 열혈프로그래밍
- 통계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