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부동산, 공정가치평가와 손익 반영의 진짜 의미1. 투자부동산이란 무엇인가?회계에서 말하는 **투자부동산(Investment Property)**이란,기업이 자기 사업에 사용하기 위해 보유하는 부동산이 아니라,임대수익을 얻거나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는 부동산을 말합니다.즉, 다음과 같은 목적이라면 투자부동산으로 분류합니다:외부에 임대해서 매달 임대료를 받기 위한 건물되팔아서 시세차익을 얻으려는 토지아직 건설 중이지만 임대용으로 계획된 부동산반대로 본사 사옥이나 공장처럼 직접 사용하는 건물은 투자부동산이 아니라 유형자산입니다.또한 건설업체가 팔려고 보유 중인 아파트는 재고자산이지 투자부동산이 아닙니다.2. 투자부동산의 회계처리: 원가모형 vs 공정가치모형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된 자산은 기업이 선택한 ..
✅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이란?📌 정의:회계정보가 **이용자(투자자, 채권자, 경영자 등)**에게유용한 의사결정 정보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 조건재무제표는 단순히 수치를 나열한 표가 아니라,이용자가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구조도회계기준에서는 질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 │ 목적적합성 │ └─────────────┘ ▲ │ ┌─────────────┐ │ 충실한 표현 │ └─────────────┘ ▲ ┌─────────────..
F1 스코어는 왜 조화평균을 쓸까?— 두 지표가 모두 ‘기여 단위가 역수 구조일 때’ 최적의 결합 방식이기 때문입니다.1️⃣ 우선 구조부터 짚고 갑시다: Precision vs RecallPrecision (정밀도):내가 ‘정답’이라고 판단한 것 중 실제 정답인 비율Precision=TPTP + FP\text{Precision} = \frac{\text{TP}}{\text{TP + FP}}Recall (재현율):실제 정답 중에서 내가 정답이라고 맞춘 비율Recall=TPTP + FN\text{Recall} = \frac{\text{TP}}{\text{TP + FN}}둘은 다른 차원의 정확도입니다.Precision은 내가 한 선택의 질Recall은 전체 중에서 내가 잘 포착했는지의 정도즉, 두 지표는 서로..
정답률(Accuracy)이 전부일까? — Precision과 Recall이 등장하게 된 이유세상에는 많은 머신러닝 모델이 있습니다. 그 모델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평가하는 기준이 필요하죠. 이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정확도(Accuracy)일 겁니다. 예를 들어 100명 중 95명을 맞췄다면 정확도는 95%니까 꽤 괜찮아 보이죠.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오늘은 정답률만으로는 볼 수 없었던 문제들을 짚어보고, 그 문제를 해결하려 등장한 Precision(정밀도) 과 Recall(재현율) 의 개념을 이해해보려 합니다.왜 Accuracy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까?정확도는 가장 직관적인 지표입니다. 예측이 얼마나 맞았는지를 보는 거니까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예시: 암 진단 모델전체 사람:..
블로그 포스팅: 살살 혼내는 게 더 효과가 좋다? - 장난감 실험으로 본 금지의 심리학부모님들, 혹은 아이들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 봤을 문제입니다. 아이가 위험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하려고 할 때, 어떻게 해야 그 행동을 멈추게 하고 다시는 하지 않도록 가르칠 수 있을까요?가장 쉬운 방법은 강력한 보상을 주거나 무서운 벌을 주는 것입니다. "말 잘 들으면 장난감 사줄게!" 또는 "또 그러면 엄청 혼날 줄 알아!" 처럼요. 당장의 효과는 확실하겠죠. 하지만 이런 방식이 아이의 마음 깊은 곳까지 변화시킬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진행된 고전적이면서도 아주 흥미로운 심리학 실험 하나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엘리엇 애런슨(Elliot Aronson..
왜 우리는 고생해서 얻은 것을 더 좋아할까? - 애런슨과 밀스의 혹독한 신고식 실험 파헤치기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마음속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흥미로운 현상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혹시 무언가를 얻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아부었을 때, 그것이 더 소중하고 가치있게 느껴졌던 경험 없으신가요? [1]예를 들어, 큰맘 먹고 비싼 돈을 주고 산 명품 가방이 더 애착이 간다거나, 힘들게 등반해서 정상에서 본 풍경이 유난히 더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처럼요. [2] 아니면 밤새 줄 서서 겨우 구한 한정판 운동화가 그냥 쉽게 산 운동화보다 훨씬 더 멋져 보일 수도 있죠. 이런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식의 생각, 혹은 '내가 이렇게까지 했는데, 이건 분명 가치 있을 거야!'라고 스스로를 다독이는 듯한 ..
말한 대로 믿는 사람들왜 적은 보상은 더 큰 설득을 낳는가?우리는 종종 이런 장면을 겪습니다.처음에는 마음에도 없는 칭찬을 건넵니다.“진짜 재밌었어요.”속으로는 ‘정말 재미없었는데…’라고 생각하면서도 말이죠.그런데 며칠 뒤, 그 대화를 떠올리다 보면‘뭐, 그 정도면 재미있었다고 할 수도 있지’라고 생각하는 자신을 발견합니다.이건 단순한 기억 왜곡이 아닙니다.사람은 자신이 한 말을 믿는 방향으로 마음을 바꾸기도 합니다.심지어, 그것이 거짓이라는 걸 알고 있었음에도 말이죠.이런 현상을 보고 심리학자들은 질문했습니다.“왜 사람은 자기 말에 스스로 설득당하는가?”이 글은 그 질문에 대한 실험적 해답을 보여준 고전 연구,Festinger와 Carlsmith의 1959년 실험을 소개합니다.1. 말하면서 믿게 되는 ..
✅ 표준원가계산(Standard Costing)이란?📌 표준원가계산의 정의표준원가계산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 때 필요한 재료비, 노무비, 제조간접비 등을**사전에 정한 기준 원가(표준원가)**로 계산하고,실제로 발생한 원가와 비교하여 **차이(Variance)**를 분석하는 원가관리 기법입니다.실제 원가가 아닌,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계산하기 때문에생산 효율성, 원가 통제, 성과평가에 매우 유용한 방식입니다.✅ 왜 표준원가계산을 사용하는가?생산 활동에서 실제 원가는 매번 다르게 발생합니다.이를 하나하나 추적하기는 비효율적이므로,**합리적인 기준을 사전에 설정(표준원가)**하고실제 원가와 비교하여 차이 분석을 통해비효율을 찾아내고 개선하기 위함입니다.✅ 표준원가의 구성요소원가 항목 계산 방식직접재료..
- Total
- Today
- Yesterday
- 열혈프로그래밍
- 인지부조화
- 일본어
- K-MOOC
- stl
- 통계
- 심리학
- 보세사
- 뇌와행동의기초
- 일문따
- 데이터분석
- C
- 정보처리기사
- c++
- 통계학
- 파이썬
- C/C++
- Python
- 인프런
- 류근관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코딩테스트
- 백준
- 윤성우
- 오블완
- 사회심리학
- 강화학습
- 여인권
- 티스토리챌린지
- 회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