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부문별 원가회계란?공장 전체를 ‘부문(部門, Department)’으로 나누고, 각 부문에서 발생한 원가를 별도로 수집한 뒤,그것을 제품에 배부하여 보다 정확한 제품 제조원가를 계산하는 회계 시스템입니다.✅ 2. 왜 ‘부문별’로 나눠야 하는가?🔹 제조업에서는 다양한 부서가 간접비를 사용합니다.예: 기계부, 보수부, 전력부, 검사부, 운반부 등각 부서에서 발생한 비용은 직접 제품에 들어간 게 아니라, → **제조활동을 지원하는 비용(=간접비)**임이걸 단순하게 일괄 평균으로 배부하면 제품 원가가 부정확해짐🔹 해결 방법: 부문을 쪼개서, 각 부문에서 발생한 비용을 수집하고,→ 그 부문이 지원한 정도에 따라 정확히 제품에 배부✅ 3. 부문 구분: 크게 두 가지구분 설명보조부문직접 제품 생산은 하지..
📘 1. 임대료 vs 임차료✅ (1) 임대료정의: 회사가 소유한 자산(건물, 장비 등)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고 받는 대가즉, 회사가 빌려주는 입장일 때 받는 돈수익 계정입니다.▶ 예시:건물 1층을 타인에게 월세 100만 원에 임대함 → 매달 임대료 수익 발생▶ 회계 처리 (받을 때):(차) 현금 1,000,000 (대) 임대료수익 1,000,000✅ (2) 임차료정의: 회사가 타인의 자산을 사용하기 위해 지급하는 대가즉, 회사가 빌리는 입장일 때 내는 돈비용 계정입니다.▶ 예시:사무실을 임대해 매달 200만 원을 임대인에게 지급 → 임차료 비용▶ 회계 처리 (지급 시):(차) 임차료 2,000,000 (대) 현금 2,000,000📘 2. 대여금 vs 차..
📘 당좌차월 (Bank Overdraft)✅ 1. 정의당좌차월이란,기업이 보유한 당좌예금 잔액을 초과하여 일시적으로 출금할 수 있도록 은행이 허용한 한도 내에서 자금을 인출하는 신용 약정을 말합니다.즉, 당좌예금 계좌에 잔액이 없어도,미리 정해진 한도 내에서는 은행이 부족한 자금을 자동으로 대출해주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하면기업이 은행과 당좌차월 약정을 맺어두면,통장에 잔액이 없어도 한도 내에서 자동으로 마이너스 통장처럼 자금 인출 가능기업은 이 금액에 대해 이자를 부담하며,통장 잔고는 **음수(-)**로 표시됨📌 2. 왜 당좌차월이 필요한가?현금 흐름이 일정하지 않은 기업은 다음과 같은 상황을 자주 겪습니다:오늘 급하게 외상매입금을 결제해야 하는데정작 고객으로부터 외상매출금 회수는 다음 주 예정..
📘 시산표(試算表, Trial Balance)✅ 1. 정의시산표란,모든 계정의 차변과 대변 잔액을 정리하여, 차변합계와 대변합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작성하는 표입니다.즉, 분개 → 전기 → 계정잔액까지의 회계 기록이정확히 맞게 처리되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검산 도구입니다.📌 2. 왜 시산표가 필요한가?회계는 복식부기를 사용하기 때문에모든 거래는 항상 차변 = 대변의 원칙을 따릅니다.하지만 사람이 수작업으로 전기하다 보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전기 금액을 잘못 썼거나한쪽만 기입했거나계정과목을 잘못 선택했거나그래서 시산표를 작성해보면, 👉 차변합계 ≠ 대변합계일 경우 → 명백히 오류가 있는 것👉 차변합계 = 대변합계일 경우 → 회계 처리 구조는 맞다는 신호(단, 모든 오류를 ..
📘 API란 무엇인가?✅ 1. API의 약자와 정의🔤 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단어 의미Application응용 프로그램 (앱, 소프트웨어 등)Programming프로그래머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Interface접점, 연결 통로 (시스템 간 소통 수단)✅ 정의:API는 응용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운영체제, 서버 등에 요청을 보내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공식적인 인터페이스입니다.즉,**“기능을 제공받기 위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받는 구조”**입니다.형태는 함수처럼 보일 수 있지만, 경계를 넘는 ‘계약된 통신’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2. 왜 API가 필요한가?이유 설명✅ 기능 재사용운영체제나 라이브러리의 ..
CreateThread()와 _beginthreadex()는 모두 Windows에서 새 스레드를 만드는 함수입니다.하지만 이 둘은 내부적으로 완전히 다른 용도이며,사용 대상, 메모리 관리, 안정성 면에서 차이가 뚜렷합니다.아래에 단순 기능 나열이 아니라,왜 두 개가 존재하는지, 언제 어떤 걸 써야 하는지,그리고 뭘 잘못 쓰면 무슨 문제가 생기는지까지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기본 개념부터 — 둘 다 스레드를 만든다함수 이름 역할CreateThread()Windows API에서 제공하는 원시(low-level) 스레드 생성 함수_beginthreadex()C 런타임 라이브러리(C Runtime, CRT)에서 제공하는 C/C++ 전용 스레드 생성 함수🚨 2. 왜 둘 다 있어야 하냐?이 질문이 핵심입니다...
🧭 함수 호출 규약과 __stdcall — 왜 중요하고, 어떻게 동작하는가?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__stdcall, __cdecl, __fastcall 같은 낯선 키워드를 마주하게 됩니다. 이들은 단순한 함수 선언의 장식이 아니라, **함수를 호출하고 실행하고 마무리하는 방식 자체를 규정하는 규약(calling convention)**입니다.그중에서도 특히 __stdcall은 Windows API, DLL, COM 등에서 널리 쓰이는 매우 중요한 호출 규약입니다. 하지만 "누가 스택을 정리하느냐"는 설명은 자칫 추상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다음 질문에 답하며 개념을 명확히 잡고자 합니다:🧩 질문 1: __stdcall이 정확히 뭐죠?__stdcall은 C/C++에서 함수 호출 시 사용..
- Total
- Today
- Yesterday
- jlpt
- 파이썬
- 뇌와행동의기초
- 보세사
- 회계
- 데이터분석
- 통계
- c++
- 백준
- 심리학
- 여인권
- 윤성우
- 통계학
- 류근관
- 일문따
- K-MOOC
- 일본어
- 강화학습
- Python
- 코딩테스트
- C/C++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C
- 사회심리학
- 인지부조화
- 인프런
- stl
- 티스토리챌린지
- 열혈프로그래밍
- 오블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