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같은 보상 조건인데도 인간과 동물은 다르게 행동할까?— 수반성에 따라 조절되는 행동 vs. 말에 따라 조절되는 행동🎯 문제 제기: 똑같은 강화계획인데, 왜 인간과 동물의 반응은 다를까?심리학 실험에서는 다양한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을 사용해동물이나 사람의 행동을 유도하거나 변화시키는 연구를 진행합니다.이 강화계획은, 쉽게 말해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어떤 식으로 보상이 주어지는가”를 정해놓은 규칙입니다.그런데 놀라운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같은 강화계획을 사용해도, 사람과 동물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행동합니다.📌 예시 1: FI 스케줄 (Fixed Interval, 고정 간격) 비둘기, 쥐 같은 동물: 일정한 시간이 지나야 보상이 주어지는 구조를 반복적으로 경험..
🚂 행동도 멈추기 어렵다? — 행동 모멘텀(Behavioral Momentum)이란 무엇인가🧠 행동도 ‘관성’이 있다?우리는 과학 시간에 배웠죠.“움직이는 물체는 계속 움직이려고 한다.”이걸 운동량(momentum)이라고 해요.그런데 이 개념이 심리학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걸 아시나요?심리학자 네빈(Nevin, 1992)은행동에도 운동량처럼 “모멘텀”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즉, 어떤 행동이 오랫동안 반복되고, 강하게 강화되면그 행동은 쉽게 멈추지 않고, 잘 지속된다는 거예요.🐦 비둘기 실험으로 보는 행동 모멘텀🔬 실험 내용 (Nevin, 1974) 비둘기들이 버튼을 쪼아서 먹이를 받는 실험이 있었어요. 버튼은 초록색일 때도 있고, 빨간색일 때도 있었죠. ✔ 초록색 버튼: 시간당 60..
🔍 강화계획의 수행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요인사람이나 동물이 어떤 강화계획에서 얼마나 자주,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느냐는 단순한 보상의 규칙뿐 아니라 다양한 다른 요인들에 의해 결정됩니다.이 장에서는 그 중 5가지 중요한 요인을 자세히 살펴봅니다.1️⃣ 강화물의 양 (Amount of Reinforcement)🧠 개념“보상이 크면 사람은 더 열심히 한다”이건 너무 당연해 보여서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실험적으로도 확실하게 확인된 사실이에요.🎮 예시 게임에서 미션을 깨면 500골드를 주는 경우와, 똑같은 미션을 깨도 50골드만 주는 경우가 있어요.당연히 대부분의 사람은 500골드 미션을 더 자주 하려고 하겠죠?실험에서도 쥐가 더 큰 먹이를 받는 경우 더 자주, 더 빠르게 레버를 누릅니다. 2️⃣..
- Total
- Today
- Yesterday
- 티스토리챌린지
- 일문따
- 보세사
- 파이썬
- 통계학
- 오블완
- 윤성우
- Python
- 행동심리학
- 유통관리사
- 학습이론
- 데이터분석
- K-MOOC
- 강화학습
- 조건형성
- 정보처리기사
- 류근관
- 행동주의
- 학습심리학
- 심리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회계
- 통계
- 인지부조화
- C
- c++
- 코딩테스트
- 백준
- 열혈프로그래밍
- 물류관리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