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Promotion or Prevention Messaging?: 

A Field Study on What Works When You Still Have to Work

 

Marta Anna Roczniewska1* and E. Tory Higgins2

 

 

 

Sunday trade ban in Poland

:폴란드에서 노동자를 쉬게하려고 일요일에 거래를 못하게 하는 법

 

이 법에서 몇 가지 노동자 부류가 생긴다

1) 예전에는 일했지만, 법으로 인해 지금 쉬는 노동자

2) 예전에도 일했고, 지금도 일하고 있는 노동자

 

2)번의 노동자는 non-gain 상태가 된다. 예전에도 일했고 지금도 일해서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실제로는 불공정성을 지각하게 될 것이다.

 

이 non-gain condition에서는 promtion focus를 더 잘처리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리고 유창성을 처리하는 것은 공정함의 인식을 증가시킬 수 있을 거라 예측한다.

 

 

본문

The Status Quo "0"

현재 상태가 변한 게 없어서 0인 상태겠지만, 더 나은 상황 +1과 비교한다면, 이는 자신의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기에 접근동기(promotion focus)가 작동할 것이다.

 

Commuicating Non-gains

이 지각된 불공정성도 접근 동기를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From Fit to Fair

가설1: 논 게인 컨디션일 때는 접근동기가 회피동기보다 더 잘 처리된다.

가설2: 이 동기과 핏이 맞으면(접근-접근, 회피-회피) 유창성을 통해 공정성 인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방법

참가자 201명을 섭외

50명은 gain condition(예전에 일요일에 일했지만, 지금은 안 함)

78명은 non-gain condition(예전에도 하고 지금도 일을 한다)

73명은 neither(예전에도 안 하고, 지금도 안 한다)

 

73명은 제외, 128명 중 67%인 86명이 여자, 나이는 18세에서 53세(평균 24.40, 표준편차 6.38)

 

Materials

sunday trade ban 이전에 일했는지, 이후에도 일하고 있는지를 물어봤다.

 

Message Framing

참가자를 무선할당하여, 접근동기와 회피동기 조건으로 나누었다.

접근동기에서는 family ideals로  sunday trade band을 묘사했다. 이것이 가족의 유대를 증진시키고 가족간의 시간을 더 갖게한다고 말했다.

 

회피동기에서는 이것을 가족의 의무로 묘사했다. 가족의 유대를 지키고 가족간 시간을 지키는 것으로 말했다.

 

Message Fluency(α=0.90)

3가지 항목을 1~7점척도로 측정했다.

메시지를 처리하는 용이성(ease), 이해성(comprehensibility), 명확성(clearity)

 

Perceptions of Changes Fairness(α=0.92)

7개의 항목을 1~5점척도로 했다.

ex) 선데이 트레이드 벤은 편견으로부터 자유롭다(free of bias)

 

 

Results

 

 

 

가설1: 논 게인 컨디션일 때는 접근동기가 회피동기보다 더 잘 처리된다.

 

가설1을 2x2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F(1,124)=3.77, p=0.055

 

non-gain

promotion M=6.19, sd=1.12

prevention M=4.85, sd=1.86

p<0.001

 

gain

promotion m=5.92, sd=1.49

prevention, m=5.70,sd=1.37

p=0.622

 

 

가설2: 이 동기과 핏이 맞으면(접근-접근, 회피-회피) 유창성을 통해 공정성 인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매개분석(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을 사용

non-gain 상황에서는 유의

estimate =0.1387, SE=0.0882, CI (0.0024, 0.3570)

gain에서는 유의하지 않음

estimate 0.0230, SE= 0.0483, CI 95% (-0.0498, 0.1615)

 

 

나의 생각

접근 동기일 때, 접근을 쓰는 게 좋다는 것으로 뭔가를 알아내려 한 것 같은데 사실 뭘 알아냈는지는 잘 모르겠다. 왜 접근과 접근 핏이 맞으면 불공평의 지각이 줄어든다고 말하는 걸까? 그 타당한 이유가 안 써있는 것 같다. 그래서 메시지를 잘 처리하게 싶으면 접근동기를 쓰라는 것인가?

 

 

반응형

'논문 리뷰 > 1일1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물을 줄 때 직접 물어보자.  (1) 2024.01.01
Constraining Theories of Embodied Cognition  (0) 2023.03.10
How to Seem telepathic  (0) 2022.09.22
Preference and the Specificity of Goals  (0) 2022.09.01
Creative mood swings  (0) 2022.07.3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