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Direct 모드 vs Indirect 모드

💬 "컴퓨터가 어디서 데이터를 가져오는지 방법이 다르다!"


🧠 먼저 알아야 할 기초:

컴퓨터에서 데이터는 ‘주소’를 통해 찾아간다

예를 들어 볼게요:

컴퓨터는 이렇게 생긴 ‘서랍장’을 가지고 있다고 상상해보세요.
그 안에는 수많은 칸(서랍)이 있고,
각 칸마다 번호(주소)가 붙어 있습니다.

[0]   [1]   [2]   [3]   [4]   [5] ...
 8     3    11    45    22    91  ← 칸 안에 들어 있는 값
  • [0]번 칸에는 8이 들어 있고,
  • [3]번 칸에는 45가 들어 있는 식입니다.

이때 컴퓨터가 “45를 가져와”라고 하면
→ 그냥 [3]번 칸에 가서 꺼내는 것이죠.
이게 바로 “주소를 통해 값을 꺼내는 것”입니다.


✅ Direct 모드는 이렇게 작동해요

“어디에 있는지를 바로 알려줄게, 그 주소로 가서 꺼내 와!”

예를 들어, 명령이 이렇게 주어집니다:

LOAD 3

이 말은 컴퓨터에게 이렇게 말하는 겁니다:

“3번 칸으로 가서 거기에 뭐가 들어 있는지 가져와!”

서랍으로 보면:

[3] → 45

👉 컴퓨터는 3번 칸에 가서 45를 가져옵니다. 끝.

💡 즉, 주소 하나만 보고 바로 데이터 찾기 = Direct (직접)


✅ Indirect 모드는 이렇게 작동해요

“먼저 주소 하나를 가르쳐줄게.
그 주소에 가면 또 다른 주소가 적혀 있어.
거기 가서 진짜 값을 가져와야 해!”

예를 들어, 명령이 이렇게 주어집니다:

LOAD (3)

(괄호가 붙은 게 중요합니다. 이건 “간접적으로 가”라는 뜻이에요.)

Step by step 예시:

1️⃣ 컴퓨터가 3번 칸에 가봅니다

[3] → 5  ← 오! 진짜 데이터가 아니고 ‘5번 칸에 가라’는 뜻이네?

2️⃣ 이제 5번 칸으로 갑니다

[5] → 91

3️⃣ 드디어 91이라는 진짜 값을 찾았어요!


📦 비유로 다시 쉽게

✅ Direct 모드:

  • “너희 집 주소 알려줄게. 거기 가서 물건을 가져와.”
  • → 주소 = 물건이 있는 곳

✅ Indirect 모드:

  • “내 방 책상에 쪽지 하나 있어.
    그 쪽지에 진짜 주소가 적혀 있어.
    거기 가서 물건을 가져와.”
  • → 주소 = 주소가 적힌 쪽지 위치

📊 비교 표 (중학생 눈높이)

구분 Direct (직접) Indirect (간접)
주소를 바로 알려줌 주소가 적힌 쪽지를 먼저 가야 함
몇 번 가야 하나? 1번 2번
예시 "3번 칸 가서 꺼내 와" "3번 칸 → 쪽지 → 진짜 칸 → 꺼내 와"
비유 배달 주소 그대로 감 배달지 주소가 쪽지에 적혀 있음
장점 빠름, 단순 유연함, 주소를 바꿀 수 있음
단점 주소 고정 느림, 복잡할 수 있음

🎯 핵심 요약

질문 설명
Direct가 뭔가요? 주소 그대로 가서 값을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직접 찾아감)
Indirect는요? 주소에 또 다른 주소가 적혀 있고, 그걸 따라가야 값을 찾는 방식입니다. (간접적으로 찾아감)
왜 굳이 간접으로 찾나요? 나중에 주소가 바뀌어도 쪽지만 바꾸면 돼서 더 유연합니다!
어느 게 더 빠르나요? Direct가 빠릅니다. Indirect는 두 번 가야 하니까요.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