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건 억제: 행동을 멈추는 것도 학습일까?✅ 1. 조건 억제란 무엇인가요?조건 억제(Conditioned Inhibition)는 특정 자극이 조건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이미 형성된 조건 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하게 된 학습 현상을 말합니다.이 개념은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이론의 일부로, 반응이 생겨나는 과정뿐 아니라 반응이 사라지는 경우에도 학습이 개입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조건 억제의 기본 구조 구분 구성 요소 기능 조건 자극+ (CS+) 반응을 유도하는 자극 조건 반응(CR)을 발생시킴 조건 자극− (CS−) 반응을 억제하는 자극 조건 반응을 억제함 (반응..
>🔷 1. 서론 — 사라졌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나타난 반응Pavlov는 개에게 종소리와 먹이를 함께 제시했습니다.며칠이 지나자, 종소리만으로도 개는 침을 흘리는 반응을 보였습니다.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이 반복적으로 결합되며, 조건반응이 형성된 것입니다.그 후, 종소리만 들려주고 먹이는 주지 않았습니다.반응은 점점 약해졌고, 결국 침 분비는 사라졌습니다.Pavlov는 학습이 사라졌다고 판단했고, 이 과정을 '소거(extinction)'라고 불렀습니다.조건자극에 더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입니다.하지만 다음 날, 종소리만 다시 들려주었을 때개는 다시 침을 흘렸습니다.먹이는 주지 않았고, 새로운 학습도 없었습니다.분명히 사라졌다고 생각했던 반응이 다시 나타난 것입니다.예상소거 전: 조건자극 → 조..
- Total
- Today
- Yesterday
- 인프런
- 인지부조화
- 백준
- 데이터분석
- 여인권
- 오블완
- c++
- stl
- 통계
- 정보처리기사
- C
- 사회심리학
- 보세사
- 파이썬
- 티스토리챌린지
- 회계
- 류근관
- 뇌와행동의기초
- 일본어
- K-MOOC
- 일문따
- 통계학
- 윤성우
- C/C++
- Python
- 열혈프로그래밍
- 심리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강화학습
- 코딩테스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