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커널 오브젝트와 핸들, 도대체 뭐야?
🎯 왜 이런 걸 배워야 해?
우리는 매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써요. 그 안에는 수많은 앱(프로그램) 들이 돌아가고 있고, 그 앱들은 파일을 열고, 인터넷을 쓰고, 음악을 틀고, 게임을 실행하죠.
그런데 중요한 질문 하나.
이 앱들은 그 많은 자원들을 도대체 어떻게 나눠 쓰고 있을까요?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게 바로
📌 커널 오브젝트(Kernel Object)
📌 핸들(Handle)
이라는 개념이에요.
이 둘을 알면, 컴퓨터가 내부에서 자원을 어떻게 나누고 관리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어요.
🧠 먼저, '커널(Kernel)'이 뭐야?
컴퓨터 안에는 모든 걸 총괄하는 왕이 있어요.
이 왕이 바로 **커널(Kernel)**이라고 불리는 운영체제의 핵심이에요.
- 우리가 마우스를 클릭하거나, 게임을 실행하면
- 커널이 뒤에서 "얘가 지금 이거 하려는구나" 하고 다 처리해줘요.
그런데, 이 커널이 자원을 관리할 때 어떤 방식으로 관리할까요?
그게 바로 커널 오브젝트입니다.
🧱 1. 커널 오브젝트란?
운영체제가 만들어놓은 자원 덩어리
💬 쉽게 말하면?
“운영체제가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기 쉽게 포장해 놓은 물건들”
예를 들어,
- 음악 파일을 열고 싶다 → 파일이라는 커널 오브젝트 사용
- 쓰레드(작업 단위)를 만들고 싶다 → 쓰레드 커널 오브젝트 사용
- 게임에서 버튼 클릭을 기다린다 → 이벤트 커널 오브젝트 사용
- 여러 앱이 하나의 자원을 같이 쓰고 싶다 → 뮤텍스, 세마포어 같은 커널 오브젝트 사용
모두 커널이 미리 만들어 놓은 자원이자 도구들이에요.
이걸 하나의 ‘오브젝트(객체)’로 관리하니까 이름도 “커널 오브젝트”라고 부르는 거예요.
🧾 2. 핸들이란?
커널 오브젝트에 접근하기 위한 열쇠, 번호표
💬 더 쉽게 말하면?
“커널 오브젝트를 빌려 쓸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번호표”
여러분이 도서관에 갔다고 생각해 봅시다.
책은 책장에 있지만, 여러분이 직접 들어가서 꺼낼 수 없어요.
→ 사서에게 요청하면 사서가 대신 꺼내주죠.
그리고 사서는 여러분에게 **열람증 번호표(핸들)**를 줍니다.
그걸 갖고 있으면 책을 빌릴 수 있고, 다 읽고 나면 반납하죠.
즉,
- 책 = 커널 오브젝트 (공용 자원)
- 열람증 번호표 = 핸들
- 도서관 사서 = 운영체제 커널
핸들은 그냥 숫자처럼 보이지만, 운영체제 입장에서 “누가 어떤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구분하는 중요한 키입니다.
📦 3. 커널 오브젝트 + 핸들 구조도 (중학생용)
[커널 오브젝트: 파일]
└─── 접근하고 싶어!
↓
[커널: 운영체제] → "자, 너는 이 번호표를 써"
↓
[핸들: 0x001F3C10]
✔️ 프로그래머는 커널 오브젝트를 직접 건드릴 수 없고,
❗ 오직 이 핸들을 통해서만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요!
🔧 4. 실제 프로그램에서는 어떻게 쓰일까?
🎮 예: 게임에서 음악 파일을 열 때
- 게임은 음악 파일을 연다 → CreateFile() 함수 호출
- 커널이 파일 오브젝트를 만든다
- 커널은 핸들(예: 0x0024A880)을 게임에게 넘긴다
- 게임은 ReadFile(핸들)로 음악 데이터를 읽는다
- 음악 재생 완료 후 CloseHandle(핸들)로 닫는다
🧰 5. 이런 커널 오브젝트는 어디서 쓰일까?
커널 오브젝트 이름 뭐 할 때 쓰이는지?
파일(File) | 파일 열고 읽을 때 |
프로세스(Process) | 앱을 실행할 때 |
쓰레드(Thread) | 여러 작업을 동시에 실행할 때 |
뮤텍스(Mutex) | 자원을 하나씩만 쓰게 할 때 |
세마포어(Semaphore) | 제한된 인원만 접근하게 할 때 |
이벤트(Event) | “클릭 기다려!” 같은 작업에 사용 |
타이머(Timer) | 몇 초 후에 자동 실행되게 할 때 |
이 모든 건 “운영체제의 자원”이에요.
우리는 직접 손댈 수 없기 때문에 “핸들”을 통해 요청만 할 수 있어요.
🔒 6. 커널 오브젝트는 왜 중요한가요?
운영체제는 수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켜요.
만약 모든 프로그램이 자원을 마음대로 막 쓸 수 있다면?
- 충돌 발생
- 데이터 망가짐
- 보안 문제 발생
그래서 운영체제는 커널 오브젝트로 자원을 꼼꼼히 감싸서 관리하고,
핸들을 통해서만 접근하도록 만들어 놓은 거예요.
🧠 7. 정리: 중학생을 위한 핵심 요약
개념 한 줄 정의 비유
커널 오브젝트 | 운영체제가 만든 자원 덩어리 | 도서관 책 |
핸들 |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번호표 | 열람증 |
- 운영체제는 자원을 직접 사용하게 안 해요.
- 대신 핸들(handle)을 줘서 간접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게 해요.
📌 마무리 Q&A
Q. 핸들을 잃어버리면 어떻게 돼요?
→ 자원에 접근 못 해요. 그리고 운영체제가 "이거 안 쓰나 보다" 하고 자원을 회수해 갈 수 있어요.
Q. 모든 자원이 커널 오브젝트인가요?
→ 아니요. 꼭 커널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자원들도 있어요. 하지만 공유 자원이나 운영체제가 직접 관리해야 하는 자원들은 대부분 커널 오브젝트로 처리돼요.
'프로그래밍 > 시스템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C는 왜 필요할까? (0) | 2025.03.24 |
---|---|
🧠 UC Count란 무엇인가? (0) | 2025.03.24 |
프로세스(Process)란? (0) | 2025.03.21 |
주소 참조 방식(Direct vs Indirect) (0) | 2025.03.21 |
파이프라이닝을 쓰면 속도가 빠른 이유 (0) | 2025.03.21 |
- Total
- Today
- Yesterday
- K-MOOC
- 일본어
- 일문따
- stl
- 류근관
- c++
- 파이썬
- 보세사
- C/C++
- 티스토리챌린지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윤성우
- 통계학
- 백준
- 인지부조화
- 여인권
- 회계
- 데이터분석
- 코딩테스트
- 강화학습
- 오블완
- Python
- 심리학
- 뇌와행동의기초
- 인프런
- jlpt
- 사회심리학
- 통계
- 열혈프로그래밍
- C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