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물은 왜 목표를 향해 행동할까?✅ 제어 시스템 이론으로 본 생물의 자기 조절 구조📌 목표 지향 행동이란 무엇인가?목표 지향 행동은생명체가 현재 상태와 이상적인 상태(목표)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고,그 차이를 줄이기 위해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는 과정을 말합니다.이 행동은 다음의 특징을 가집니다: 외부 자극 없이도 시작될 수 있으며 행동의 방향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고 목표에 도달하면 정확히 중단됩니다.“동물의 행동은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스스로의 상태를 조절하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체계적 구조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강아지가 목이 마르면,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물 그릇이 있는 곳으로 움직입니다.물이 보이지 않더라도 물이 있는 방향을 기억하고 찾아가며,물을 마신 후에는 다시 ..
🔷 기억은 어떻게 뇌에 남는가?― 학습을 실현하는 세 가지 신경과학적 메커니즘과 그 증거✅ 0. 서론학습은 행동의 변화다. 하지만 그 변화는 뇌 어디에 남는가?우리는 매일 새로운 것을 배웁니다.익숙하지 않던 행동이 반복을 통해 익숙해지고,기억하지 못했던 정보가 어느 순간 떠오릅니다.이 모든 변화는 겉보기에 행동의 변화로 나타납니다.하지만 신경과학은 한 걸음 더 들어갑니다:그 변화는 뇌 안 어디에 남는가?뇌는 그 경험을 어떻게 기억하고, 다음 반응을 바꾸는가?학습이란 뇌의 어느 구조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밝히는 것은심리학뿐 아니라 신경과학의 핵심 질문이 되어 왔습니다.그리고 과학은 지금,그 질문에 점점 더 구체적으로 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학습은 뇌를 어떻게 바꾸는가― 세 가지 신경..
🔷 왜 행동주의자들은 ‘마음’을 설명하지 않고, 외적 사건만 보려 했는가?― 내성법의 한계와 관찰 가능한 행동을 중심으로 세 명의 행동주의자를 비교하며✅ 1. 내성법이란 무엇이며, 왜 논란이 되었는가?심리학은 본래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했습니다.19세기 후반, 독일의 빌헬름 분트(Wilhelm Wundt)는 세계 최초의 실험심리학 연구소를 열고,‘마음’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려고 했습니다.이때 사용된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내성법(introspection)입니다.내성법이란, 훈련된 피험자가 자신의 감각, 기억, 주의, 감정 등을 관찰하고 언어로 보고하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어떤 소리를 들었을 때 떠오르는 감정, 이미지, 생각의 흐름을 자세히 묘사하는 것입니다.이 방법은 처음에는 ‘마음..
🧠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이란 무엇인가? *― 연합주의 심리학을 실험으로 검증한 기억 과학의 출발점* 🔷 1. 망각곡선이란 무엇인가?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forgetting curve)이란, 인간이 새로운 정보를 학습한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기억이 얼마나, 어떤 속도로 줄어드는지를 곡선 형태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곡선은 단순히 ‘우리는 쉽게 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려 한 것이 아니라, “기억이란 무엇인가”를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연 것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갖습니다. 🔷 2. 왜 이 실험을 했는가? — 문제의식: 연합주의 이론의 검증 당시 심리학 이론의 주류는 연합주의(associationism)였습니다. 이 이론은 “반복적으로 함께 나타난 자극은 서..
📘 연합주의란 무엇인가? ― 연결의 철학에서 행동의 과학으로 🔷 1. 연합주의의 정의 연합주의(associationism)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연합주의란, 반복된 경험을 통해 서로 다른 자극이나 생각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이 기억과 행동의 변화로 이어진다고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다.” (Mazur & Odum, 2023, p. 3) 이 이론의 핵심은 간단하면서도 강력합니다. 우리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사물과 사건, 생각들을 서로 연결하여 이해하고 반응한다는 것입니다. 연합주의는 인간의 학습과 기억을 설명하는 가장 오래된 심리학 이론 중 하나이며, 그 후 행동주의와 인지심리학, 신경과학 등 다양한 이론의 기반..
IPv4와 IPv6 총정리 – 단순한 버전 업이 아닌, 네트워크 철학의 변화 🔷 1. 정의 – IPv4와 IPv6는 무엇인가?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에 부여되는 식별 번호입니다. 이 주소를 통해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등 다양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할 수 있습니다.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1981년에 도입된 인터넷 주소 체계이며, 32비트 주소를 사용합니다. 예: 192.168.0.1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1998년에 개발된 차세대 주소 체계로, 128비트 주소를 사용합니다. 예: 2001:0db8:85a3::8a2e:0..
DROP vs DELETE 차이점 – 혼동은 왜 생기고, 어디서부터 갈리는가? 🔷 1. 왜 헷갈릴까? DROP과 DELETE는 모두 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DELETE는 데이터를 지우고, DROP은 테이블을 지운다는 설명은 익숙합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 “DELETE로 테이블 안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지우면, 결국 테이블은 비게 되잖아? 그럼 DROP이랑 뭐가 다르지?” “DROP도 어차피 삭제 명령인데, DELETE처럼 나중에 취소할 수 있으면 안 될까?” 이 질문들은 단순한 혼동이 아닙니다. 둘 다 같은 '삭제'라는 단어를 쓰면서, 실제로는 전혀 다른 작동 원리, 철학, 복구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
🏗 소프트웨어 품질을 어떻게 평가할까? – ISO/IEC 25000 완전 정리 🔷 1. 정의 ISO/IEC 25000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국제 표준 시리즈입니다. 이 표준의 정식 명칭은 다음과 같습니다: Systems and software Qua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 줄여서 SQuaRE (스퀘어)라고 부릅니다. 즉, ISO/IEC 25000은 “소프트웨어의 품질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국제적인 합의이며, 이를 통해 누구든 같은 기준으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2. 왜 필요한가? 소프트웨어 품질은 애매한 개념입니다. 사람에 따라 기준이 다릅니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통관리사
- 일문따
- 윤성우
- C
- 티스토리챌린지
- 행동심리학
- 회계
- K-MOOC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Python
- 데이터분석
- 심리학
- 학습이론
- 통계학
- 코딩테스트
- 행동주의
- 통계
- 물류관리사
- 정보처리기사
- 강화학습
- 보세사
- 인지부조화
- 파이썬
- 열혈프로그래밍
- 학습심리학
- 류근관
- 조건형성
- 백준
- c++
- 오블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