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값이 확률 x 확률변수인 이유
우리는 확률변수와 확률의 곱이 평균이라는 것을 배웠을 것이다.그 이유를 고등학교 때는 이해를 못했지만 다시 통계를 공부하며 이해했던 부분을 쓰려고 한다. 주사위를 던진다고 하면 나올 수 있는 값 X는 확률변수이며, 1 ~ 6을 가진다.이 때 나올 수 있는 확률은 각각 1/6이다.이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X123456P1/61/61/61/61/61/6 위의 표를 보고 X값과 그 X값에 해당하는 확률을 곱하면 1 * (1/6) + 2*(1/6) + ... + 6 * (1/6) = 3.5다.이는 평균이며 E(X)가 된다. 왜 이렇게 되는지 이유가 궁금했는데, 모집단의 확률이 아니라 표본이 있다고 해보자.표본에서는 값이1,1,1,2,3,4 가 나왔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총 6번의 시행을 해서1은 3번..
통계학/여인권-통계학의 이해
2025. 1. 24. 23:34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심리학
- 윤성우
- 티스토리챌린지
- 여인권
- 뇌와행동의기초
- 일본어
- 일문따
- 통계
- C/C++
- 강화학습
- 열혈프로그래밍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인지부조화
- 백준
- 오블완
- 류근관
- 인프런
- 사회심리학
- stl
- c++
- 정보처리기사
- C
- 보세사
- 회계
- 데이터분석
- 파이썬
- K-MOOC
- 코딩테스트
- Python
- 통계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