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사회지각
:다른 사람에 대한 인상 형성 방식 및 추론 방식에 대한 연구
비언어적 의사소통
4.1 사람들은 타인을 이해하려할 때 비언어적 단서를 어떻게 이용하나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말(언어)을 사용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얼굴표정에 담긴 정서
진화와 얼굴표정
다윈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종구체적이지 문화 구체적이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혐오감을 담은 얼굴은 정보의 양을 줄인다. 눈을 가늘게 뜨며 흡입되는 공기의 양은 줄인다. 반면 두려움이 담긴 얼굴은 정보의 양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아직 보편적이라고 확신은 내리고 있지 못하다. 문화에 의해 영향을 아직 배제하지 못하고 있다.
얼굴표정 읽기에 실패하는 이유
1) 복합 정서(affect blends)
각 부분에 따라 상이한 정서가 담겨있는 얼굴 표정
2) 얼굴표정이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3) 문화와 관련
문화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채널
정서 표명 규칙(display rules)
:언어적 행동의 표현 적절성을 두고 문화적으로 결정된 규칙
미국에서는 남자는 잘 울지않고 여자는 울어도 된다. 일본의 경우에는 웃을 때 여자들이 입을 가리지만 미국은 할짝 웃는다. 표현 방식이 다르다.
앰블럼(emblem)
:특정 문화권 내에서는 누구나 그 의미를 쉽게 파악하는 비언어적 몸짓, 대게는 쉽게 말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이다.
빠르지만 오래 지속되는 첫인상
4.2 첫인상은 얼마나 빨리 형성되며, 왜 그렇게 오래 지속되는가
단편기반능력(thin-slicing)
:행동의 극히 작은 조각을 기초로 이루어내는 사회지각능력
사람들은 금방 첫인상을 형성하고 그 정확도가 꽤 높다. 동안인 사람은 성격도 애같을 것으로 추측하는 경향이 있다.
첫인상의 지속적 영향
한 가상의 인물에 대해 긍정적 단어와 부정적 단어를 순서만 바꿔서 특성으로 제시했는데, 긍정적인 말을 먼저 했을 때 가상의 인물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초두 효과(primacy effect)
:어떤 사람에 관해 먼저 알게 된 정보 때문에 그 사람에 대한 후속 정보를 해석하는 방식이 달라지는 효과
신념집착(belief perserverance)
:나중의 정보에 의해 우리가 처음 내린 결론의 잘못이 입증되었는데도 우리는 처음 내린 그 결론을 고수하려는 고집을 버리지 못하는 것
첫인상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이롭게 활용하기
대부분 사람들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잘한다.
출력자세 연구(power posing)을 보면 몸을 앞으로 숙인 채 탁자에 손을 내민 자세를 한 고출력자세가 다리를 꼬고 팔짱을 끼는 저출력 자세보다 자신을 강하게 느낀다고 보고하고 도박에서 위험수위가 더 높은 전략을 선택했다.
그리고 테스토스테론도 더 증가했다.
귀인: '왜' 라는 질문에 답하기
4.3.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왜 그런 일을 하는지 어떻게 판단하나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자신 및 타인의 행동을 유발한 원인을 찾아내는 추론방식에 대한 묘사
귀인과정의 본질
내부 귀인(internal attribution)
:어떤 사람이 특정 행동을 감행한 원인이 그 사람의 내적 속성(예: 태도, 특징, 성격)에 있다는 이론
외부 귀인(external attribution)
:어떤 사람이 특정 행동을 감행한 원인이 그 사람이 처한 특징에 있다는 가정(예: 누구나 그 상황에서는 그렇게 말했을 것이다)하는 추론
공변 모형:내부 귀인 대 외부 귀인
공변모형
:사람들의 행동 원인에 대한 귀인을 형성할 때 가능한 요인의 존재 유무와 그 행동의 발생 유무 간의 관계 양상을 체계적으로 따져본다는 주장
자동차를 빌려달라고 했는데 빌려주지 않는다면, 정보를 찾는다. 나한테만 안 빌려줬나. 다른 물건은 빌려줬나 등등
귀인의 공변을 분석할 때 쓰는 정보는 무엇인가?
일치성(consensus)
:관심대상 자극에 대한 표적 인물의 반응과 동일한 반응을 보인 사람의 비율에 관한 정보
독특성(distinctiveness)
:표적 인물이 감행한 특정 행동이 상이한 자극에도 그대로 감행되는 정도에 관한 정보
일관성(consistency)
:특정 자극에 대한 표적 인물의 행동이 동일 자극에 대해서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감행되는 정도에 관한 정보
이 세가지 정보를 이용을 하며 공변을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모든 정보를 다 이용하지 않고, 인간은 그렇게 합리적이지 않다.
기본적 귀인 오류: 성격심리학자로 행세하는 사람들
사람들이 특정 행동을 감행한 원인으로 내적, 기질성 요인은 중시하면서 외적, 상황의 역할은 경시하는 경향성
기본적 귀인 오류에서 지각적 돌충성의 역할
지각적 돌출성
:사람들 주의의 초점에 놓인 정보가 두드려저 보이는 경향
상황이 아니라 그 행위자만 돌출되어 보인다.
연기자 A,B 서로 대화를 하는 상황을 관찰자가 보게했는데, 어떤 관찰자는 A만 보이게 하고, 어떤 관찰자는 B만 관찰할 수 있게하면, 각각 본 측이 대화를 더 주도했다고 생각한다.
귀인과정의 두 단계
타인의 행동을 분석할 때 자동적 내부 귀인을 먼저 형성하고 그런 후에야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며, 이미 형성된 내부 귀인을 조절하기도 한다는 생각
두 번째 단계는 조심스럽게 생각해보자라는 생각이 들 때만 시작한다.
이기적 귀인
자신의 성공을 설명할 때는 내부, 기질 요인을 내세우고 자신의 실패를 설명할 때는 외부, 상황 요인을 강조하는추론
이기적 귀인을 하는 이유
1) 자존감을 지키고 싶어하는 욕구
2) 타인에게 좋게 보이고 싶은 욕구
3) 사용 가능한 정보
공평한 세상에 대한 신념(belief in a just world)
:뿌린 대로 거두고, 거둔 만큼 뿌렸을 뿐이라고 믿는 마음
ex)강간을 당한 여학생이 있다면, 여자가 그럴만한 행동을 했다고 보는 행위
'편파 맹점'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이 귀인 편파에 빠질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하는 우리의 경향성
문화와 사회지각
4.4 문화는 사회지각 및 귀인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
전체적 사고 대 분석적 사고
동양은 전체적 사고를 하며 서양은 분석적 사고를 한다. 동양인과 서양인에게 중심에 있는 사람은 웃고 있지만 뒤에 있는 사람은 슬픈 사진과 중심과 주변 모두 웃고 있는 사진을 보여줄 경우 서양인에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동양인에겐 차이가 분명히 나타났다.
사회신경학적 증거
동양인은 사회적 상황을 무시하라는 조건에서 서양인은 사회적 상황을 신경쓰라는 조건에서 뇌가 더 활성화됐다. 이는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인다.
기본적 귀인 오류의 문화 간 차이
개인주의 문화권에서 자란 사람들은 기질 귀인을 선호하는 데 비해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자란 사람들은 상황 귀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문화와 기타 귀인 편파
동양은 성공했을 때 외적귀인, 서양은 내적 귀인을 한다.
동양은 실패했을 때 내적귀인, 서양은 외적 귀인을 한다.
'심리학 > 사회심리학 Elliot aron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7 태도와 태도변화: 사고와 감정에 미치는 태도와 태도변화 (0) | 2022.09.17 |
---|---|
Chapter 6 행동정당화 욕구:부조화 감소의 이득과 손실 (0) | 2022.09.11 |
Chapter 5 자신:사회적 상황에서 자신 이해하기 (1) | 2022.09.06 |
Chapter 3 사회인지: 우리가 사회적 세계를 생각하는 방식 (1) | 2022.08.29 |
Chapter 1 사회심리학:시작 (0) | 2022.08.27 |
- Total
- Today
- Yesterday
- 데이터분석
- 심리학
- 회계
- K-MOOC
- 인지부조화
- 뇌와행동의기초
- c++
- 코딩테스트
- 일문따
- 보세사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오블완
- 통계학
- stl
- 파이썬
- C
- 여인권
- jlpt
- 백준
- 윤성우
- 티스토리챌린지
- 사회심리학
- EBS
- 열혈프로그래밍
- 인프런
- C/C++
- 통계
- 일본어
- Python
- 류근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