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시스템2의 결정적인 특징은 노력을 해야 작동한다. 시스템2는 게으르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노력하기를 꺼린다.

시스템1의 직관과 충동을 뛰어넘는 노력과 자제력이 필요한 일을 시스템2가 한다.

 

시스템2를 경험하고 싶다면 숫자 4개에 각각 1을 더하는 계산을 해보자.

1234가 있다면 각 자릿수에 1씩 더해서

2345가 되어야 한다.

더 난이도를 높이려면 3을 더해보자.

2345에 3을 더하면

5678이 된다.

 

카너먼은 이러한 정신적 활동을 할 때 인간의 동공의 크기가 커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동공의 크기가 정신적 노력의 강도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동공의 크기를 재는 도구에 사람을 앉혀두고 어려운 계산을 시키니 실제 동공이 커졌고, 계산을 멈추는 시점까지 알아낼 수 있었다. 

시스템2는 주의의 할당을 요한다. 정신적으로 전력을 다할 떄 우리는 눈뜬 장님이 되며, 지나가는 고릴라조차 볼 수 없다.

 

하지만 기계는 전력량이 한도를 초과하면 두꺼비집이 내려가지만, 인간은 그 부분은 유지한채 나머지 부분에만 주의가 할당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는 주의능력이 섬세하게 발달되었음을 보여준다.

 

인간에게는 최소 노력의 법칙(law of least effor)라는 것이 있는데, 똑같은 목표를 성취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을 때 사람들은 가장 힘들이지 않는 방법을 선호한다. 인지적 게으름은 우리의 깊숙히 박혀있다.

 

이러한 게으른 시스템2의 중요한 능력은 과제 집합(task set)의 채택이다.

습관적 반응보다 중요한 지시를 따르도록 기억을 프로그램화하는 것이다.

ㅂ이 몇번 나왔는지 세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지만 노력을 기하면 할 수 있다. 또한 할 수록 실력이 는다.

이후에 ㅂ말고 ',' 를 세라고 하면 더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한 가지 일을 하다가 다른 일을 할 때 특히 시간의 압박을 받는 경우에 더 많은 수고가 필요해진다.

 

 

Kahneman, D., Tursky, B., Shapiro, D., & Crider, A. (1969). Pupillary, heart rate, and skin resistance changes during a mental task.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79(1p1), 164.

Gopher, D. (1982). A selective attention test as a predictor of success in flight training. Human factors, 24(2), 173-183.

Kahneman, D., Ben-Ishai, R., & Lotan, M. (1973). Relation of a test of attention to road acci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8(1), 113.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