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no, F., & Flynn, F. J. (2011). Give them what they want: The benefits of explicitness in gift exchange.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7(5), 915-922. Give them what they want: The benefits of explicitness in gift exchange 선물을 줄 때, 우리는 직접 물어보고 주는 사람도 있지만, 타인이 무엇을 좋아할지 선물을 주는 사람이 있다. 심지어 깜짝 선물처럼 자신이 상대의 취향을 맞춰서 선물을 줘야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를 보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5가지의 실험을..

Constraining Theories of Embodied Cognition Arthur B. Markman and C. Miguel Brendl University of Texas and INSEAD, Fontainebleau, France 논문 주제 인간에게 체화된 인지라는 것이 있다. 몸이 반응하는데 자신쪽에는 긍정적인 단어일 때 반응하고, 타인쪽에는 부정적인 단어일 때 빠르게 반응한다. 그러나 자신이라는 것이 물리적 자신이 아니라 자기가 자신이라 느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자신의 이름이나 이런 것들을 자신으로 표상할 수 있다. 자신의 표상을 자신의 육체인지 이름인지 혹은 다른 것인지에 두느냐에 따라 이 반응 속도가 달라진다. 입에 펜을 물고 있으면 만화 등을 더 재밌게 평가한다는 내용을 보았을 ..

Promotion or Prevention Messaging?: A Field Study on What Works When You Still Have to Work Marta Anna Roczniewska1* and E. Tory Higgins2 Sunday trade ban in Poland :폴란드에서 노동자를 쉬게하려고 일요일에 거래를 못하게 하는 법 이 법에서 몇 가지 노동자 부류가 생긴다 1) 예전에는 일했지만, 법으로 인해 지금 쉬는 노동자 2) 예전에도 일했고, 지금도 일하고 있는 노동자 2)번의 노동자는 non-gain 상태가 된다. 예전에도 일했고 지금도 일해서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실제로는 불공정성을 지각하게 될 것이다. 이 non-gain condition에서는 promtion foc..

How to Seem telepathic :Enabling mind reading by matching construal Tal Eyal and Nicholas Epley Ben-Gurion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Chicaco Abstract 사람들은 자신에 대해서는 낮은 수준의 분석을 하고 타인에게는 높은 수준의 분석을 한다. 낮은 수준의 분석이라함은 자기를 분석할 때는 자세히, 세부적 사항을 보고 타인을 볼 때는 큰 그림, 대충 본다는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평가할지를 고려할 떄는 높은 수준으로 봐야하며, 타인이 자신을 추론할 때는 낮은 수준으로 봐야 한다. 이 수준을 맞추면 타인을 평가할 때 정확성을 올릴 수 있다. 본문 사람들은 타인이 자신을 어..
Abstract 먹고 싶은 욕구가 시간과 적절한 것에 효과가 있는지와 이 욕구가 일반적인 욕구인지 문맥적으로 적절한 욕구와 연관되는지를 실험했다. 목표가 활성화되면, 목표충족과 연관된 것의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 목표가 선호에 끼치는 영향을 예측하는데는 참여자의 목표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냥 일반적으로 음식을 먹고 싶은지 vs 특정 종류의 음식을 먹고 싶은지) 한 목표와 관련된 것에 대한 선호의 증가를 valuation이라 부른다.

Crative mood swings: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affect mood in opposite ways Soghra akbari Chermahini - Bernhard Hommel in Psychological Research(2012) Abstract 감정이 인지적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는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수렴적 생각은 부정적 감정을 발산적 생각은 긍정적 생각을 이끈다. 방법 84명의 학생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4가지 실험을 한다. 1) MI1(mood inventory): 창의적 활동 이전의 지금의 감정을 측정 2) M12: 창의적 활동을 한 이후에 감정을 측정 3) 일반적 기분 측정(PANAS) 4) AUT or RAT 이 실험의 순..
published in Cognition The (b)link between creativity and dopamine: Spontaneous eye blink rates predict and dissociate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soghra akbari chermahini, bernhard hommel Abstract 창의성과 도파민이 관련되어있다 하는데 아직 증거는 미비하다. 그렇기에 spontaneous eye blink rate(EBR)을 사용하여 이를 측정해보고자 한다. convergent thinking과 도파민은 부적관계, divergent thiking과는 정적관계를 가진다고 본다. 1. 도입 창의성은 수렴적 창의성과 발산적 창의성 두 개가 조화를..

휴리스틱이란? 휴리스틱(heuristics) 또는 발견법(發見法)이란 불충분한 시간이나 정보로 인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없거나, 체계적이면서 합리적인 판단이 굳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사람들이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보다 용이하게 구성된 간편추론의 방법이다.[1] 의사결정하려면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정보의 부족과 시간제약으로 완벽한 의사결정을 할 수 없다. 제한된 정보와 시간제약을 고려해 실무상 실현 가능한 해답이 필요하다. 발견법은 이런 경우를 위해 가장 이상적인 해답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해답을 찾는 것이다. 발견법에서는 특히 경험이나 직관을 사용하거나 노력을 기울여 시행착오를 거쳐서 충분히 효율적인 해답이나 지식을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좋..
- Total
- Today
- Yesterday
- K-MOOC
- 데이터분석
- 심리학
- 회계
- 통계
- 오블완
- 일문따
- 윤성우
- 강화학습
- 일본어
- Python
- 인지부조화
- 여인권
- 보세사
- C
- 사회심리학
- 코딩테스트
- 뇌와행동의기초
- 백준
- 티스토리챌린지
- 류근관
- 인프런
- C/C++
- c++
- 파이썬
- 통계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정보처리기사
- 열혈프로그래밍
- st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