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공부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25가지 심리학 원리

실제 적용 방법까지 정리


📌 왜 학습 원리를 알아야 할까?

많은 학생들이
"공부 방법"을 묻습니다.
하지만 정작 공부 방법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결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Winne와 Nesbit (2010)**은
수십 년간의 학습 연구를 바탕으로
학습 효과를 높이는 25가지 원리를 정리했습니다.

 


🎯 학습 효과를 높이는 25가지 원리와 구체적 실천 방법

번호 원칙명 내용 실천 방법

번호  원칙명  내용  실천 방법
1 Contiguity effects 관련된 정보는 가까이 제시할수록 학습 효과가 높다 노트 필기할 때 글과 그림, 표를 최대한 가까이 정리하기
2 Perceptual-motor grounding 지각·행동 경험과 연결하면 학습 효과가 높다 개념을 배울 때 손으로 써보고, 소리 내어 읽어보기
3 Dual code & multimedia 글, 그림, 소리 등 여러 방식으로 제시하면 좋다 교과서 읽을 때 주요 내용을 그림이나 도식으로 함께 정리하기
4 Testing effect 시험 자체가 학습을 촉진한다 스스로 퀴즈 만들고 주기적으로 테스트해보기
5 Spacing effect 분산 반복 학습이 효과적이다 하루에 5시간 몰아서 하지 말고, 1시간씩 5일에 나눠서 공부하기
6 Exam expectations 시험이 있을 거라 기대하면 학습 효과가 커진다 친구와 서로 예상 문제 내주고 답 맞춰보기
7 Generation effect 스스로 답을 만들어내야 학습 효과가 크다 배운 내용을 빈칸으로 만들어 스스로 채워보기
8 Organization effects 정보를 구조화할수록 학습 효과가 크다 배운 내용을 마인드맵이나 목차형식으로 정리하기
9 Coherence effect 불필요한 정보는 제외해야 한다 노트에 핵심 개념과 중요한 예시만 남기고, 잡다한 메모는 빼기
10 Stories & examples 사례와 이야기로 학습하면 이해가 쉬워진다 추상적 개념 옆에 실제 사례를 적어두기
11 Multiple examples 다양한 예시를 보면 추상 개념 이해가 깊어진다 수학 공식 하나를 여러 문제 유형에 적용해보기
12 Feedback effects 피드백은 학습 효과를 높인다 문제 풀고 채점할 때 바로 정답과 오답 이유 확인하기
13 Negative suggestion effects 오답 학습 위험은 즉각적 피드백으로 줄일 수 있다 틀린 문제는 그 자리에서 정답과 비교해보기
14 Desirable difficulties 적당한 어려움이 학습에 좋다 너무 쉬운 문제만 풀지 말고, 약간 어려운 문제를 일부러 풀어보기
15 Manageable cognitive load 과부하를 피해야 한다 배울 때 핵심 내용만 먼저 보고, 부가 설명은 나중에 보기
16 Segmentation principle 긴 내용을 작은 단위로 나눠야 한다 한 번에 한 단원씩 공부하고, 단원별로 퀴즈 풀기
17 Explanation effects 스스로 설명하면 학습 효과가 높다 오늘 배운 내용을 친구나 가족에게 설명해보기
18 Deep questions 깊은 질문이 학습을 촉진한다 "왜 이런 공식이 필요할까?", "만약 조건이 바뀌면 어떻게 될까?" 스스로 질문하기
19 Cognitive disequilibrium 예상과 다른 정보는 학습을 자극한다 문제를 풀고 일부러 틀린 선택지를 검토해보기
20 Cognitive flexibility 다양한 관점에서 학습하면 좋다 한 가지 주제를 여러 교재, 자료에서 찾아보기
21 Goldilocks principle 너무 어렵지도, 너무 쉽지도 않아야 한다 현재 실력보다 약간 어려운 문제를 주 학습 대상으로 선택
22 Imperfect metacognition 스스로 학습 상태를 과신하지 않기 "다 안다" 싶을 때 다시 퀴즈 풀어보기
23 Discovery learning 스스로 발견하기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기본 개념은 교재나 선생님에게 먼저 배우고, 그 후에 응용문제 스스로 풀기
24 Self-regulated learning 자기조절 전략을 배워야 한다 공부 계획 세우기 → 공부 후 체크리스트 점검 → 틀린 문제 복습
25 Anchored learning 실제 문제와 연결하면 학습 효과가 크다 수학 문제를 풀 때, 실생활 예시(쇼핑, 시간 계산 등)와 연결해보기

 


📖 공부가 어려울 때 알아야 할 25가지 심리학 원칙


📌 공부에도 법칙이 있다

공부를 하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

"왜 이렇게 외워도 외워지지 않을까?"
"열심히 해도 금방 까먹는 이유가 뭘까?"
"나보다 공부를 쉽게 하는 친구는 뭘 다르게 하는 걸까?"

사실 이런 고민은 노력 부족 때문이 아닙니다.
공부에도 과학적 법칙이 있기 때문이죠.

심리학자 Winne와 Nesbit는
수십 년 동안의 연구를 통해
학습 효과를 높이는 25가지 원칙을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이 원칙들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누구나 바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그 25가지를
구체적인 방법과 함께 풀어보겠습니다.


🎯 25가지 학습 원칙과 실천 방법

1. 정보를 가까이 두자 (Contiguity Effect)

관련된 정보는 서로 가까이 배치할수록 기억에 잘 남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 공식과 예시 풀이가 같은 페이지에 있는 교재
공식은 앞쪽, 예시는 뒤쪽에 따로 있는 교재보다
학습 효과가 좋습니다.

👉 실천법:
노트 정리할 때 개념과 예시를 한눈에 보이게 써두기
예) "분수 곱셈 공식 옆에 바로 예시 문제 풀기"


2. 직접 손과 눈으로 익혀라 (Perceptual-Motor Grounding)

배우는 내용을 손으로 써보고, 입으로 말해보면 더 잘 배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 단어를 배울 때 손으로 써보고, 소리 내어 읽기
그 과정이 뇌에 더 깊이 남습니다.

👉 실천법:
암기할 때 소리 내서 읽고 손으로 써보기


3. 글과 그림을 함께 활용하라 (Dual Code & Multimedia Effect)

텍스트만 보지 말고, 그림, 표, 도식과 함께 보면 기억이 오래 갑니다.

예를 들어,
역사 공부할 때
사건 연표와 지도를 함께 보면
더 잘 이해되고 기억됩니다.

👉 실천법:
공부할 때 그림, 연표, 도식 함께 정리하기


4. 스스로 시험을 보라 (Testing Effect)

시험을 보는 것 자체가 학습을 촉진합니다.

실제로 퀴즈를 풀거나 시험 문제를 만들어보는 과정
암기보다 더 효과적입니다.

👉 실천법:
공부 끝나고 스스로 예상 문제 5개 만들기


5. 나눠서 여러 번 공부하라 (Spacing Effect)

한 번에 몰아서 공부하는 것보다, 여러 번 나눠서 반복하는 게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5시간 동안 한 번에 벼락치기 하는 것보다
1시간씩 5일에 걸쳐 공부하면 기억이 오래 남습니다.

👉 실천법:
시험 일주일 전부터 30분씩 나눠 복습 스케줄 짜기


6. 시험을 예상하라 (Exam Expectations)

시험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만으로도 학습 효과가 커집니다.

시험을 준비한다고 생각하면
더 깊이 공부하게 되죠.

👉 실천법:
친구와 서로 문제 내주기 → 시험처럼 연습


7. 스스로 답을 만들어라 (Generation Effect)

정답을 알려주는 것보다
스스로 답을 떠올리는 과정에서 학습 효과가 커집니다.

👉 실천법:
배운 내용을 빈칸 카드로 만들어서 스스로 채워보기


8. 정보를 구조화하라 (Organization Effects)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구조화하면 더 잘 기억됩니다.

👉 실천법:
단원 끝날 때마다 마인드맵으로 핵심 개념 정리하기


9. 불필요한 정보는 빼라 (Coherence Effect)

공부할 때 군더더기 정보가 많으면 오히려 방해됩니다.

👉 실천법:
노트 필기할 때 핵심 개념과 꼭 필요한 예시만 남기기


10. 이야기를 활용하라 (Stories & Example Cases)

사례나 이야기는 추상적 개념보다 기억에 잘 남습니다.

👉 실천법:
새 개념을 배울 때 실생활 예시 찾아 적기
예) "시장 경제 → 시장에서 사과 값이 올라가는 사례"


11. 예시를 다양하게 보라 (Multiple Examples)

다양한 예시를 통해 개념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실천법:
하나의 개념에 대해 3~4가지 다른 예시 정리하기


12. 피드백을 받아라 (Feedback Effect)

문제를 풀고 바로 피드백을 받으면 학습 효과가 커집니다.

👉 실천법:
틀린 문제는 그 자리에서 해설 확인하고 정답 이유 써보기


13. 오답은 바로잡아라 (Negative Suggestion Effect)

틀린 정보를 방치하면 오히려 잘못 외워집니다.

👉 실천법:
틀린 문제는 별도로 표시하고 다음날 다시 풀어보기


14. 적당한 어려움이 필요하다 (Desirable Difficulties)

너무 쉬운 공부는 기억에 남지 않습니다.
적당히 어려워야 학습 효과가 큽니다.

👉 실천법:
공부할 때 익숙한 문제 + 조금 어려운 문제 섞어서 풀기


15. 머리 과부하를 피하라 (Manageable Cognitive Load)

너무 많은 정보를 한 번에 넣으면 뇌가 버거워집니다.

👉 실천법:
새로운 개념을 배울 때 한 번에 3~4개 정도씩 끊어서 학습


16. 내용을 잘게 나눠라 (Segmentation Principle)

긴 내용을 작은 단위로 쪼개서 공부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 실천법:
긴 강의나 글은 10분 단위로 나누어 정리하고 복습


17. 내 입으로 설명하라 (Explanation Effect)

누군가에게 설명하면 내가 더 잘 이해하게 됩니다.

👉 실천법:
오늘 배운 내용을 친구나 가족에게 3분 안에 설명하기


18. 깊은 질문을 던져라 (Deep Questions)

"왜?", "어떻게?", "만약에?" 질문이 학습 효과를 높입니다.

👉 실천법:
공부할 때 "왜 이 공식을 써야 하지?", "다른 방법은 없을까?" 자문해보기


19. 틀린 답도 생각해보라 (Cognitive Disequilibrium)

내 예상과 다른 정보를 만났을 때 학습이 촉진됩니다.

👉 실천법:
문제 풀고 틀린 선택지 이유도 함께 검토해보기


20. 다양한 관점에서 공부하라 (Cognitive Flexibility)

한 가지 방식으로만 공부하면 이해가 제한됩니다.

👉 실천법:
하나의 개념을 다른 교재, 다른 선생님 설명, 유튜브 영상 등에서 다시 보기


21. 너무 어렵지도, 너무 쉽지도 않게 (Goldilocks Principle)

현재 수준보다 살짝 어려운 과제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 실천법:
실력보다 한 단계 높은 난이도 문제로 연습하기


22. 내 공부 상태를 과신하지 마라 (Imperfect Metacognition)

내가 다 안다고 생각해도 실제로는 빠뜨린 부분이 많습니다.

👉 실천법:
복습할 때 "내가 제대로 이해했나?" 체크리스트 만들기


23. 발견학습만으로는 부족하다 (Discovery Learning)

스스로 깨닫는 학습도 중요하지만, 기초 지식은 먼저 배워야 합니다.

👉 실천법:
새 단원 시작할 때 기본 개념은 강의나 교재로 먼저 익히고, 이후 탐구 활동 진행


24.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훈련하라 (Self-Regulated Learning)

계획, 점검, 수정 과정을 스스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실천법:
매일 공부 계획 → 공부 후 체크 → 틀린 문제 복습까지 일지로 기록하기


25. 실생활과 연결하라 (Anchored Learning)

학습 내용을 실제 문제와 연결하면 동기와 이해가 높아집니다.

👉 실천법:
수학 문제를 풀 때 "마트에서 할인 계산할 때 어떻게 쓰일까?" 같은 현실 예시와 연결


✅ 마치며

공부에는 노력도 필요하고, 방법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방법 없이 노력만 하면
공부가 비효율적이고, 금세 지치게 됩니다.

여기 정리한 25가지 원칙은
실험으로 검증된 심리학적 방법입니다.

오늘부터
하나씩 적용해보세요.
공부가 달라지고, 결과가 달라질 것입니다.


Winne, P. H., & Nesbit, J. C. (2010). The psychology of academic achieve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1, 653–678.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093008.100348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