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스택 2 성공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힌 사람정답 비율
2 초 | 1024 MB | 11964 | 4529 | 3812 | 38.358% |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1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다. (1 ≤ X ≤ 100,000)
- 2: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 3: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4: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5: 스택에 정수가 있다면 맨 위의 정수를 출력한다. 없다면 -1을 대신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명령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둘째 줄부터 N개 줄에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은 하나 이상 주어진다.
출력
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명령의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9
4
1 3
1 5
3
2
5
2
2
5
예제 출력 1 복사
1
2
5
3
3
-1
-1
쓰여있는 설명대로 그대로 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int main(void)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std::stack<int> st;
int n,k,temp;
cin >> n;
for (int i = 0; i < n; i++)
{
cin >> k;
if (k == 1)
{
cin >> temp;
st.push(temp);
}
else if (k == 2)
{
if (st.empty())
cout << -1 << endl;
else
{
cout << st.top() << endl;
st.pop();
}
}
else if (k == 3)
cout<<st.size()<<endl;
else if (k == 4)
{
if (st.empty())
cout << 1 << endl;
else
cout << 0 << endl;
}
else if(k==5)
{
if (st.empty())
cout << -1 << endl;
else
cout << st.top()<<endl;
}
}
return 0;
}
조건문으로 하니까 '시간초과'가 뜬다.
그래서 switch ~ case로 했더니 잘 된다.
#include <iostream>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int main(void)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stack<int> st;
int n, k, temp;
cin >> n;
for (int i = 0; i < n; i++) {
cin >> k;
switch (k) {
case 1:
cin >> temp;
st.push(temp);
break;
case 2:
if (st.empty())
cout << -1 << '\n';
else {
cout << st.top() << '\n';
st.pop();
}
break;
case 3:
cout << st.size() << '\n';
break;
case 4:
cout << st.empty() << '\n';
break;
case 5:
if (st.empty())
cout << -1 << '\n';
else
cout << st.top() << '\n';
break;
default:
// 기본적으로 아무 작업도 수행하지 않음.
break;
}
}
return 0;
}
통과했다.
왜 if문보다 switch문이 더 빠른지 챗GPT에 물어봤다.
더보기
switch 문과 if 문 사이의 실행 속도 차이는 컴파일러의 최적화 수준과 실행되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switch 문은 상수 값에 대한 다수의 비교를 수행할 때 if 문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switch 문이 컴파일러에 의해 점프 테이블(jump table)로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점프 테이블은 여러 입력 값에 대해 실행해야 하는 코드의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해주므로, switch 문은 여러 조건을 빠르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 > 백준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 백준 9086 C/C++ (1) | 2024.01.28 |
---|---|
그대로 출력하기 백준 11718/ C,C++ (0) | 2024.01.28 |
구름톤 첼린지 5일차 (0) | 2023.08.18 |
구름톤 첼린지 4일차 (0) | 2023.08.17 |
구름톤 챌린지 3일차 (0) | 2023.08.16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티스토리챌린지
- 사회심리학
- 데이터분석
- 일문따
- Python
- 류근관
- 백준
- 코딩테스트
- stl
- 심리학
- 윤성우
- C
- K-MOOC
- 오블완
- 정보처리기사
- 인지부조화
- 보세사
- 여인권
- 회계
- 일본어
- 열혈프로그래밍
- jlpt
- 통계학
- C/C++
- 인프런
- c++
- EBS
- 뇌와행동의기초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파이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