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적강화란 무엇인가?개는 왜 전기 충격을 피하려고 점프했을까?1. 👀 일상 속 질문: 피했는데도 왜 행동은 계속될까?우리는 종종 이런 행동을 합니다:두통이 올 것 같아서 미리 약을 먹어요.혼날까 봐 숙제를 먼저 해요.버스를 놓치지 않으려고 평소보다 빨리 나가요.이런 행동은 ‘무언가를 피하려고 하는 행동’입니다.즉, 불쾌한 결과를 피하기 위해 미리 취하는 행동입니다.그런데 이럴 때마다 우리는 다음에도 똑같은 행동을 하게 됩니다.이런 걸 심리학에서는 부적강화(negative reinforcement)라고 합니다.2. 🔍 개념 정리: 부적강화란?부적강화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어떤 행동이 일어난 뒤, 불쾌한 자극이 제거되거나 회피되면서그 행동이 더 자주 반복되게 되는 것용어의미예시자극불쾌하거나 ..
⚡ 일요인이론: 자극도 공포도 없이 회피하는 이유“두려워서가 아니라, 덜 아프니까 행동하는 것”1. 🧩 또 하나의 미스터리: 자극이 없는데도 회피?앞서 심리학자들은 개가 충격을 피하려고 점프하는 행동을 보고‘이요인이론(Two-Factor Theory)’을 만들었습니다.이 이론은 두려움을 느끼는 감정(고전적 조건화)과그 감정을 없애려는 행동(조작적 조건화)이 결합된 결과라고 설명했죠.하지만 이 이론으로 설명되지 않는 행동들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문제 상황실험에서는 공포를 일으키는 신호(CS)가 존재하지 않음그런데도 동물은 회피 행동을 배우고 반복함❓ 즉, 두려움을 느낄만한 신호가 없는데도,어떻게 행동이 강화되고 유지되는 걸까요?이 질문이 바로 일요인이론이 등장하게 된 배경입니다.2025.06.06 ..
🧠 회피 행동을 설명하는 이요인이론“개는 충격을 피한 게 아니라, 두려움을 피한 것이다”1. 🐶 이상한 개의 이상한 행동1950년대, 심리학자 솔로몬과 윈은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개를 발견했습니다.이 개는 한쪽 칸에서 다른 쪽 칸으로 계속해서 점프했습니다.그런데 이상한 점은, 그 개가 더 이상 전기 충격을 받지 않고 있음에도 계속 점프한다는 것이었습니다.충격이 오지 않는데도 왜 개는 멈추지 않았을까?행동은 결과가 있어야 강화되는데, 도대체 무엇이 이 개를 계속 움직이게 한 걸까?이 현상은 단순히 “학습된 행동”으로 보기에는 설명되지 않았고,심리학자들은 이 질문 앞에서 깊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이것이 바로 오늘 우리가 다룰 주제, 회피의 역설(avoidance paradox)입니다.2025.06.06..
🧠 행동의 결과와 학습: 네 가지 기본 원리“행동은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1. 👀 서론: 강화만 있는 게 아니다?우리는 앞선 챕터에서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에 대해 배웠습니다.예를 들어, 숙제를 잘 했더니 칭찬을 받았고, 그래서 다음에도 숙제를 더 열심히 하게 되는 경우죠.하지만 이것은 행동과 결과 사이의 관계 중 하나일 뿐입니다.사실, 심리학자들은 4가지 유형의 관계가 있다고 설명합니다.이 4가지 유형을 이해하면,우리가 왜 어떤 행동을 계속하게 되고, 어떤 행동을 그만두게 되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2. 📊 행동-결과 관계의 2x2 표🔄 행동과 결과의 두 가지 기준행동이 일어난 뒤,무언가를 ‘준다’거나무언가를 ‘없앤다’는 일이 생길 수 있습니다.그리고 그 결과..
- Total
- Today
- Yesterday
- 일본어
- K-MOOC
- 파이썬
- 정보처리기사
- 류근관
- 코딩테스트
- 일문따
- 백준
- 행동심리학
- 물류관리사
- 인지부조화
- 회계
- 열혈프로그래밍
- 통계학
- Python
- 보세사
- 윤성우
- C
- 조건형성
- 행동주의
- 학습이론
- 티스토리챌린지
- c++
- 통계
- 오블완
- 학습심리학
- 강화학습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데이터분석
- 심리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