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종합원가계산제도: 선입선출법 vs 평균법

종합원가계산제도에서의 선입선출법 vs 평균법

1️⃣ 종합원가계산제도란?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연속 생산할 때 사용하는 원가계산 방식입니다.

  • 제품별로 원가를 따로 계산하지 않음
  • 공정 전체에 투입된 비용을 평균적으로 배분
  • 제품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함

2️⃣ 원가 배분이 필요한 이유

공정이 지속되므로 월말에는 완성품과 재공품이 공존합니다. 이때 원가를 정확히 나누기 위해 완성품환산량 (Equivalent Unit) 개념을 사용합니다.

3️⃣ 완성품환산량(EU) 개념

부분적으로 완성된 제품을 완전히 완성된 제품 단위로 환산한 수치
실제 단위 완성도 환산단위
100개 100% 100개
200개 50% 100개
300개 0% 0개

4️⃣ 선입선출법(FIFO)

기초재공품이 먼저 완성된다고 가정하고, 당월 투입분이 그 이후에 처리됨
  • 기초재공품: 미완성된 부분만 환산
  • 당월 완성품: 100% 환산
  • 기말재공품: 현재 완성도만큼만 환산

5️⃣ 평균법 (Weighted Average)

기초재공품과 당월 투입분을 통합하여 평균적으로 계산
  • 기초재공품: 전체를 100%로 간주
  • 당월 완성품: 100% 환산
  • 기말재공품: 현재까지의 완성도만큼 환산

6️⃣ 두 방식 비교

항목 선입선출법 (FIFO) 평균법 (WA)
기초재공품 처리 미완성분만 반영 전체를 100%로 처리
당월 투입 별도로 계산 기초와 섞어서 평균
기말재공품 현재 완성도만 반영 현재 완성도만 반영
단위당 원가 더 정확하지만 높을 수 있음 낮지만 부정확할 수 있음
용도 정확한 재무제표 작성 단순한 내부 관리 목적

7️⃣ 계산 예시

  • 기초재공품: 100개 (완성도 40%)
  • 당월 투입: 400개
  • 기말재공품: 80개 (완성도 25%)
  • 총 가공원가: 1,200,000원

선입선출법 환산량

100 × 0.6 = 60
400 - 80 = 320
80 × 0.25 = 20

합계 = 400단위
단위당 원가 = 1,200,000 ÷ 400 = 3,000원

평균법 환산량

100 + 400 - 80 = 420
80 × 0.25 = 20

합계 = 440단위
단위당 원가 = 1,200,000 ÷ 440 ≈ 2,727.27원

8️⃣ 마무리 요약

구분 선입선출법 평균법
기초재공품 처리 미완성분만 반영 전체를 100%로 처리
당월 투입 따로 계산 섞어서 평균
단위당 원가 더 정확하지만 높을 수 있음 낮지만 부정확할 수 있음
용도 정확한 재무제표 작성 단순한 내부 관리 목적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