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공정별 종합원가계산이란?

― 왜 이 방식이 필요한가, 그리고 무엇을 기준으로 작동하는가?



📌 1. 문제의 출발점: 제품 하나하나에 원가를 배부할 수 없는 상황

제조업에는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자주 존재합니다:

  • 제품이 구분이 불가능할 정도로 동질적이고
  • 생산이 여러 공정을 연속적으로 거치며
  • 각 공정에서 중간 재공품이 대량으로 존재

예를 들어, 시멘트나 화학제품처럼 매일 수만 리터, 수천 톤씩 생산되는 경우, “이 시멘트 1포대에 얼마 들었는가?”라는 질문은 개별 추적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다음의 해결이 필요해졌습니다:

“공정 단위로 총원가를 나누고,
그 공정에서 몇 개가 나왔는지를 기준으로
평균적인 단가를 구하자.”


📌 2. 공정별 종합원가계산의 철학: “공정 단위로 나누고 평균으로 배분한다”

공정별 종합원가계산은 다음과 같은 전제를 가집니다:

  • 원가는 공정 단위로 발생한다.
  • 제품은 모두 동일한 상태이며,
  • 그 공정에서 나온 수량에 균등하게 원가를 나눈다.
  • 그리고 다음 공정에서는 이전 공정의 완성품 원가를 재료비로 간주한다.

이 철학은 다음과 같은 계산 체계를 형성합니다:

  1. 공정에서 발생한 총원가를 집계
  2. 해당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의 환산량을 계산
  3. 총원가 ÷ 환산량 = 단위당 평균 원가
  4. 완성품과 기말재공품에 이 단가로 원가 배부
  5. 다음 공정에서는 이 금액을 재료비로 처리


📌 3. 회계상의 핵심: “공정공통비와 공정개별비의 구분”

공정별로 발생한 비용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항목 의미 처리 방식
공정개별비 특정 공정에만 직접 발생하는 비용 직접 배부
공정공통비 여러 공정에 걸쳐 발생한 비용 (간접비) 합리적 기준에 따라 인위적으로 배부

👉 이 원칙을 거꾸로 이해하면 틀리는 것입니다. 앞선 오답 보기에서의 1번 문항이 이를 뒤집어 설명했기 때문에 틀린 문장이 된 것입니다.



📌 4. 전 공정과 후속 공정의 연결 구조

공정별 종합원가계산은 단일한 종합원가계산의 반복 구조입니다:

  • 제1공정에서 계산된 단가로 완성품 제조원가가 정해지고,
  • 이 완성품은 제2공정으로 착수량 형태로 이월되며,
  • 이 때 제1공정의 원가는 제2공정의 재료비로 처리됩니다.

즉, 공정 간 원가 흐름이 명확하고 직렬적입니다.



📌 5. 핵심 개념 요약

항목 내용 요약
필요성 제품 식별 불가능, 공정 단위 평균 필요
계산 기준 공정별 발생원가 / 공정별 환산량
원가 흐름 앞 공정 → 다음 공정으로 재료비로 이전
원가 배부 공정개별비는 직접, 공정공통비는 배부기준 사용
공정 간 관계 전 공정 완성품 = 다음 공정 착수량

✅ 예제: 2공정 공정별 종합원가계산 (평균법 기준)



📌 [배경 설정]

A사는 시멘트를 2공정으로 생산한다:

  • 1공정: 채광 및 분쇄
  • 2공정: 소성 및 포장

단일 제품을 대량 생산하며, 각 공정에서 재료비와 가공비를 구분하여 집계하고 있다.



📌 [문제 조건]

📍 1공정 자료

  • 기초재공품: 1,000단위 (완성도: 재료 100%, 가공 60%)
  • 당기투입: 9,000단위
  • 당기완성품: 8,000단위
  • 기말재공품: 2,000단위 (완성도: 재료 100%, 가공 50%)
  • 기초원가: 재료비 3,000 / 가공비 3,000
  • 당기원가: 재료비 12,000 / 가공비 12,000

📍 2공정 자료

  • 당기착수량: 8,000단위 (1공정 완성품)
  • 기말재공품: 2,000단위 (재료 100%, 가공 25%)
  • 당기완성품: 6,000단위
  • 1공정에서 이월된 재료비: 총 26,640원
  • 2공정 가공비: 15,000원


✅ Step-by-Step 계산



🔶 [1단계] 1공정 계산 (평균법)

(1) 총원가 합산

항목 재료비 가공비
기초원가 3,000 3,000
당기원가 12,000 12,000
합계 15,000 15,000

반응형

 


(2) 환산량 계산

항목 재료비 환산량 가공비 환산량
완성품 8,000 8,000
기말재공품 2,000 1,000
합계 10,000 9,000

(3) 단가 계산

재료비 단가 = 15,000 ÷ 10,000 = 1.5

가공비 단가 = 15,000 ÷ 9,000 = 1.6667


(4) 원가 배부

  • 완성품 재료비: 8,000 × 1.5 = 12,000
  • 완성품 가공비: 8,000 × 1.6667 ≈ 13,333
  • 합계: 25,333원
  • 기말재공품 재료비: 2,000 × 1.5 = 3,000
  • 기말재공품 가공비: 1,000 × 1.6667 ≈ 1,667
  • 합계: 4,667원


🔷 [2단계] 2공정 계산 (평균법)

(1) 총원가

항목 재료비 (전공정) 가공비 (2공정)
총원가 25,333 15,000

(2) 환산량

  • 재료: 6,000 (완성품) + 2,000 (기말) = 8,000
  • 가공: 6,000 + 500 = 6,500

(3) 단가 계산

  • 재료비 단가 = 25,333 ÷ 8,000 = 3.1666
  • 가공비 단가 = 15,000 ÷ 6,500 ≈ 2.3077

(4) 원가 배부

  • 완성품 원가: 6,000 × 3.1666 + 6,000 × 2.3077 ≈ 18,999 + 13,846 = 32,845원
  • 기말재공품 원가: 2,000 × 3.1666 + 500 × 2.3077 ≈ 6,333 + 1,154 = 7,487원


반응형

 


✅ 총정리

공정 완성품수량 완성품원가 기말재공품수량 기말재공품원가
1공정 8,000 25,333 2,000 4,667
2공정 6,000 32,845 2,000 7,487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