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항 분포로는 복잡하고, 포아송 분포로는 쉬운 이유– 로또로 배우는 포아송 근사의 원리여러분은 로또를 사 본 적 있나요?로또에 당첨되기란 정말 어려운 일이죠.그런데 만약 우리가 이런 질문을 한다면 어떨까요?“오늘 로또 1등 당첨자가 정확히 3명 나올 확률은 얼마일까?”이걸 풀기 위해 수학자들은 확률 분포라는 도구를 사용합니다.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이항 분포입니다.🧮 이항 분포로 로또를 모델링해보자 전체 로또 응모자 수: \( n = 5{,}000{,}000 \) 한 사람이 당첨될 확률: \( p = \frac{1}{5{,}000{,}000} \) 관심 있는 사건: 정확히 3명이 당첨될 확률이항 분포에 따르면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P(X = 3) = \binom{5{,}000{,..
⚙️ 행동을 바꾸는 기술, 형성(Shaping)―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가?✅ 형성이란?형성(Shaping)이란, 목표 행동을 바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그와 유사한 행동부터 하나씩 강화하면서 점진적으로 목표 행동으로 유도하는 절차이 기법은 실험실을 넘어 실제 교육, 재활, 치료, 중독 교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응용행동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 ABA)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실험🔸 실험 1: 장대높이뛰기 선수의 팔 뻗기 자세 교정✔ 상황 국제 대회 출전 경험이 있는 21세 육상 선수 도약 시 팔을 완전히 뻗지 못해 기록이 정체됨✔ 절차 평균 팔 뻗는 높이: 2.25m 2.30m 위치에 광센서 설치, 이를 통과하면 “삐..
🎭 교수님도 모르게 춤을 췄다?!― 교실 속 무의식적 행동 형성의 놀라운 사례✅ 정의🔹 행동 형성이란?행동 형성이란, 목표 행동을 한 번에 유도하는 것이 어려울 때,그 목표에 조금씩 가까운 행동부터 칭찬(또는 보상)하며 점진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이를 심리학에서는 shaping(형성) 혹은 점진적 접근이라 부릅니다.그런데 이 행동 형성은 꼭 교육자 → 학생에게만 일어나는 건 아닙니다.어느 날, 학생들이 교수님의 행동을 몰래 바꾼 사례들도 있었죠. 🧪 실험🔸 연구 배경이 사례는 실험실에서 동물을 훈련시키는 것이 아니라,실제 대학 강의실에서 자연스럽게 벌어진 행동 형성 현상입니다.“교수님이 무대에서 잘 안 움직이셔. 우리가 유도해볼까?”학생들은 실제로 교수를 대상으로 의도적인 강화 실험을 해보기로 ..
🏗️ 행동을 만드는 기술: Shaping(형성)의 원리― 작은 행동부터 시작해서, 원하는 목표까지 이끄는 심리학 기술✅ 정의🔹 정의Shaping(형성)이란, 목표 행동이 자연스럽게 나타나지 않을 때,그 목표와 유사한 행동부터 점진적으로 강화하여결국 원하는 행동으로 이끄는 방법이를 점진적 접근(successive approximations)이라고도 부릅니다.🔹 설명 (비유와 예시)비유하자면,“아주 높은 산 꼭대기에 오르게 하려면,먼저 작은 언덕부터 하나씩 올라가게 해야 한다.”📌 예시 쥐에게 처음부터 레버를 누르게 하긴 어렵습니다. → 그래서 레버 근처에 오는 것부터 보상하고, → 점점 기준을 높여 결국 레버를 누르게 만듭니다. 사람이 아예 웃지 않던 아이에게 미소를 짓게 하려면..
🎲 미신 행동: ‘강화’가 만들어낸 우연의 반복✅ 정의🔹 정의미신 행동(superstitious behavior)이란, 어떤 행동이 실제로 결과(보상)와 관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우연히 결과 직전에 일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반복되는 행동이것은 결과와 행동 사이의 착각된 연결에 의해 발생합니다.🔹 설명 (예시)예를 들어, 어떤 학생이 시험을 잘 본 날 입은 옷을 계속 입으려 한다면? 축구 선수가 지난 경기에서 이긴 날 먹었던 음식을 계속 먹으려 한다면?이 행동들은 시험 성적이나 경기 승리와 직접적 연관이 없지만,우연히 맞물렸던 경험 때문에 반복되는 행동, 즉 미신 행동입니다. 🧪 실험🔸 연구 배경심리학자 B. F. Skinner는 1948년,“강화가 반드시 논리적인 원인 행동만을 강화하는가?..
🔍 학습은 ‘무엇’보다 ‘어떻게’를 기억한다― Guthrie & Horton의 정지 동작 원리 (stop-action principle)🧠 행동이 반복될 때, ‘모양’도 반복될까?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Thorndike)는 고양이에게 퍼즐 박스를 풀게 하면서“결과가 좋은 행동은 반복된다”는 효과의 법칙을 발견했습니다.그런데 이후 두 연구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런 질문을 던졌습니다:“행동이 반복된다면, 그 행동의 형태까지 똑같이 반복될까?”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낸 것이 바로 Guthrie와 Horton의 고양이 실험입니다. 2025.05.22 - [심리학/학습심리학(James E. Mazur, Amy L. Odum )] - 고양이가 알려준 학습의 원리: 손다이크의 효과의 법칙...
🧠 고양이가 알려준 학습의 원리: 손다이크의 효과의 법칙✅ 정의효과의 법칙(Law of Effect)은 1900년대 초 심리학자 에드워드 손다이크(Edward Thorndike)가 발견한 학습 원리입니다.“어떤 행동 뒤에 만족스러운 상태가 따를 경우, 그 행동은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불쾌하거나 만족스럽지 않은 상태가 따를 경우, 그 행동은 줄어들게 된다.”여기서 말하는 ‘만족스러운 상태(satisfying state of affairs)’란, 행동의 결과로 얻어지는 기분 좋은 상황이나 유익한 결과를 뜻합니다.예를 들어 배고픈 동물이 먹이를 얻거나, 숙제를 했을 때 칭찬을 받는 것처럼 행동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변화를 말합니다. 🧪 실험🔸 연구 배경손다이크는 "동물도 학습할 수 있을까?..
- Total
- Today
- Yesterday
- stl
- 인지부조화
- 코딩테스트
- 뇌와행동의기초
- 회계
- 보세사
- 정보처리기사
- 일본어
- 오블완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백준
- 통계
- 류근관
- C
- 인프런
- 열혈프로그래밍
- 일문따
- K-MOOC
- 통계학
- 티스토리챌린지
- 심리학
- 여인권
- 강화학습
- C/C++
- 데이터분석
- 사회심리학
- Python
- c++
- 윤성우
- 파이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