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무자가 반드시 구분해야 할 6가지 유사 계정✅ 왜 이 항목들이 자주 헷갈릴까?회계는 단순히 “돈이 들어왔느냐 나갔느냐”로 판단하지 않습니다.오히려 그 돈의 목적, 거래 성격, 발생 시점, 명확성이 판단의 핵심입니다.예: 돈이 들어왔어도 그게 수익인지, 부채인지, 계약금인지 모르겠다면 정확한 계정이 달라집니다.✅ 각 항목의 정의 및 사용 구조🔷 가수금 (임시 입금) 정의: 입금은 되었으나 출처와 목적을 모르는 금액 회계 성격: 부채 예시: 입금자 불명, 거래명세서 미확인 등🔷 가지급금 (임시 지출) 정의: 지출했지만 아직 계정이 확정되지 않은 임시금 회계 성격: 자산 예시: 접대비, 출장비 미정산🔷 선수금 (공급 전 입금) 정의: 상품·용역을 아직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받은 돈 ..
📘 금융자산이란 무엇인가?✅ 금융자산의 정의금융자산(Financial Assets)이란 기업이 보유한 자산 중에서 현금 또는 타인으로부터 현금을 받을 권리돈이거나 돈 받을 권리가 있는 것✅ 회계 기준에 따른 정의국제회계기준(IFRS 9)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자산이 금융자산으로 분류됩니다: 금융자산에 해당하는 항목 ① 현금 ② 타인에 대한 현금 수취 권리 (예: 외상매출금, 대여금) ③ 주식, 채권 등 지분상품 또는 채무상품 ④ 금융상품을 통한 현금흐름 또는 지분상품의 취득 권리 (예: 옵션 등) ✅ 대표적인 금융자산 예시 계정과목 금융자산 해당 여부 설명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해당 그 자체로 ..
- Total
- Today
- Yesterday
- c++
- 인프런
- 뇌와행동의기초
- 통계학
- 회계
- 데이터분석
- 사회심리학
- 일본어문법무작정따라하기
- 티스토리챌린지
- 통계
- jlpt
- 파이썬
- 열혈프로그래밍
- 일본어
- 윤성우
- 심리학
- 백준
- 류근관
- 인지부조화
- C
- 보세사
- C/C++
- 오블완
- 코딩테스트
- Python
- 여인권
- 일문따
- stl
- K-MOOC
- 강화학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